반응형

전체 글 864

'생명 과학'의 역사

'생명 과학(Life Science)'의 발전으로 인해, 인류는 건강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수명도 기하급수적으로 늘릴 수 있었다. 생명 과학은 21세기에 가장 부각 받는 산업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생명 과학의 발전 과정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 같다. '생명 과학의 발전 과정에 대해 알아가는 것'은 생명 과학에 대해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세포설(Cell Theory)'은 단번에 하나의 이론으로 정립된 것이 아니라, 수년 동안 여러 과학자들이 주장들이 누적되어 윤곽이 형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론들이 정립된 과정을 알아가다보면, 생명 과학에 대해 더 흥미를 느낄 수 있고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

유전의 메커니즘

우리가 가지고 있는 DNA는 46개의 염색체에 나뉘어 존재한다. 아버지로부터 23개 어머니로부터 23개씩 받은 것이다. 수정 때 자식에게 23개의 염색체를 넘겨주기 위해 정자와 난자는 특별한 순서를 거쳐 만들어진다. 하지만 부모로부터 받은 염색체는 그대로 자식에게 넘겨지는 것은 아니고 조금씩 바뀌어 넘겨진다. 어느 유전자가 들어있는 염색체를 어떤 부모로부터 받을지 또한 임의로 정해진다. 이 때문에 자식은 부모와 서로 다른 DNA 세트를 가지게 된다. 0. 목차 염색체의 전달 멘델의 법칙 특수한 유전의 법칙 다인자 유전 반성 유전 모계 유전 돌연변이 DNA의 메틸화 1. 염색체의 전달 혼동하는 사람이 많을 것 같지만 사실 '유전자(Gene)'와 'DNA'는 엄밀하게는 서로 다른 것이다. '유전자'는 DNA..

유전자 규명의 역사

0. 목차 멘델의 완두 교배 실험 - 유전자 존재가 제창되다. 모건의 염색체 지도 작성 유전자의 정체는 DNA DNA의 이중 나선 구조 1. 멘델의 완두 교배 실험 - 유전자 존재가 제창되다. 자식은 대체로 부모를 닮는다. 그러나 부모와 완전히 똑같이 태어나지는 않는다. 때로는 부모에게 없는 특징을 가진 자식이 태어나는 경우도 있다. 인류는 이러한 사실을 잘 알고 있었지만 왜 그런지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했었다. 이렇게 유전 현상이 오랫동안 미스터리에 싸여 있다가 1865년, 오스트리아의 브륀 박물학회에 유전에 대해 법칙성을 발표한 성직자 '그레고어 멘델'이 등장한다. 멘델은 식물인 완두에 대해 종자(씨)의 성질과 떡잎의 색깔 등 일곱 가지 형질에 주목했다. 그리고 이들 형질이 어떤 법칙성을 바탕으로 ..

'세포'의 구조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세포(Cell)'는 모든 생물의 기능적, 구조적 기본 단위이다. 세포 하나로 구성되어 있는 '단세포 생물'부터 여러 개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는 '다세포 생물'까지 다양하다. 먼저 세포는 세포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핵(Nucleus)'과 '세포질(Protoplasm)'로 구분된다. 핵 안에는 유전 정보를 가지고 있고 세포질에는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소포체, 리보솜 같은 세포 소기관이 존재한다. 동물 세포와 식물 세포도 그 구조가 조금씩 다른데 동물 세포에 식물 세포에 없는 중심체, 리소좀, 편모가 존재하고 식물 세포에는 동물 세포에 없는 엽록체와 세포벽이 존재한다. 세포는 성장하면서 분열을 통해 개수를 늘려가는데 수명이 다하면 죽게 된다. 하지만 세포가 죽지 않고 계속 분열하..

암흑 물질(Dark Matter)

NASA의 관측 위성 'WMAP'의 관측에 의하면 '보이는 물질'을 모두 합쳐도 우주를 구성하는 전체 질량의 4%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나머지 96%를 차지하는 것이 바로 '암흑 물질(23%)'과 '암흑 에너지(73%)'이다.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는 현재 어떤 망원경이나 관측 위성을 사용해도 그 모습을 발견하지 못했다. 그야말로 정체불명의 물질과 에너지인 셈이다. 도대체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의 정체는 무엇일까? 양성자와 중성자 등 3개의 쿼크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중입자(baryon)'라고 한다. 항성이나 은하 등 우주에서 우리 눈에 보이는 대부분의 물질은 양성자와 중성자, 즉 바리온을 바탕으로 만들어져 있다. 연구에 의해 우주 전체에서 바리온이 차지하는 비율이 대략 4~5%에 불과하다는 사실..

암흑 에너지(Dark Energy)

NASA의 관측 위성 'WMAP'의 관측에 의하면 '보이는 물질'을 모두 합쳐도 우주를 구성하는 전체 질량의 4%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나머지 96%를 차지하는 것이 바로 '암흑 물질(약 23%)'과 '암흑 에너지(약 73%)'이다.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는 현재 어떤 망원경이나 관측 위성을 사용해도 그 모습을 발견하지 못했다. 과연 '암흑 에너지'의 정체는 무엇일까? 0. 목차 우주의 가속 팽창 가속 팽창의 관측 암흑 에너지 존재의 간접적 증거 아인슈타인의 '우주항' 암흑 에너지의 성질 암흑 에너지의 후보 '진공 에너지' 우주 가속 팽창을 설명하는 다른 견해 1. 우주의 가속 팽창 1929년,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Edwin Hubble, 1889~1953)'은 망원경으로 은하를 관측하다..

내장지방 빼는 법

0. 목차 지방의 종류 비만의 종류 내장지방 당질 제한 당질 제한에 성공하는 비결 내장지방을 빼는 식품들 1. 지방의 종류 지방에는 다음의 세 종류가 있는데 이 세 가지를 합쳐 체지방이라고 한다. 피하지방: 피하지방은 피부 밑에 쌓이는 지방으로 체온 유지, 에너지 축적 등 외부 충격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내장지방: 배 주변에 쌓이는 지방으로 배가 툭 튀어나오는 이유가 바로 이 내장지방 때문이다. 때문에 허리둘레는 대사증후군을 진단하는 기준이 된다. 참고로 대사증후군이란 내장지방이 축적되는 과정에서 지질, 혈압, 혈당 중 2개 이상의 항목이 기준치를 초과한 상태를 말한다. 이소성 지방: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이 더 이상 쌓일 수 없을 만큼 축적되면 남은 지방은 원래 쌓이기 힘든 부위에 축적되기..

1일 1식

대부분의 사람들은 굶는 건 건강에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 심지어 의사들조차 그렇게 말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이러한 생각은 틀렸다. 뱃속에서 꼬르륵 소리가 나면, 오히려 세포 차원에서 몸에 좋은 작용들이 일어나고 젊어지는 효과가 있다. 공복이 인체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사실은 연구를 통해서도 계속 증명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연명 유전자(장수 유전자)'가 발견되었다. '공복 상태'는 이 유전자를 깨워 수명을 연장시킨다. 다양한 동물 실험을 통해서도 식사량을 40% 줄이면 수명이 1.5배 늘어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식사량을 줄인 동물은 훨씬 더 생기가 넘쳤고, 털에 윤기가 흘렀으며, 외관도 젊고 아름다워졌다. 외양은 건강을 알아보기 위한 가장 쉬운 지표이며, 젊음과 아름다움은 건..

뉴컴의 역설(Newcomb's paradox)

1960년대, 물리학자 '윌리엄 뉴컴(William Newcomb)'은 '뉴컴의 역설(Newcomb's paradox)'이라고 불리는 사고 실험을 하나 제안하였다. 사회 철학자 '로버트 노직(Robert Nozick)'이 '윌리엄 뉴컴'에게서 아이디어를 얻어 문제 형태로 공개하였고, 이후 수학자이자 대중 저술자인 '마틴 가드너(MArtin Gardner)'가 유명 잡지에 기고하면서 대중적으로도 널리 알려진 문제가 되었다.0. 목차뉴컴의 역설선택1. 뉴컴의 역설 먼 미래의 어느 날, 사람의 생각을 읽을 수 있는 장치가 발명되었다. 이 장치를 사용하면 당신이 어떠한 행동을 할지 매우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다. 이 장치를 만든 회사는 이 장치의 정확성을 보여주기 위해 게임을 하나 진행하였고, 당신은 이 게임에..

제논의 역설 (Zeno's Paradox)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기원전 332)'는 그의 저서 '자연학'에서 몇 개의 역설을 소개했다. 이 역설들은 원래 기원전 철학자인 '엘레아의 제논(그리스어: Ζήνων ὁ Ἐλεάτης, 기원전 490년경~기원전 430년경)'이 언급했던 것으로 '제논의 역설(Zeno's Paradox)'이라고도 한다. '제논의 역설'은 사물이 움직이고 있다고 우리가 느끼는 모든 것들은 환상이라는 '파르메니데스(Παρμενίδης, 기원전 510년 경~기원전 450년 경)'의 사상을 지지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0. 목차 아킬레우스와 거북의 역설 이분법의 역설 화살의 패러독스 경기장의 역설 양자역학으로 보는 제논의 역설 1. 아킬레우스와 거북의 역설 첫 번째로 소개할 '제논의 역설'은 '아킬레우..

무한 호텔의 역설 - 빈방이 없는 무한 호텔에 사람이 더 숙박할 수 있을까?

독일의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David Hilbert, 1862~1943)'는 무한 객실이 있는 '무한 호텔(infinite hotel)'이라는 기묘한 '패러독스(paradox)'를 생각했다. 무한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사고 실험이다. 0. 목차 무한의 손님이 찾아았다. 무한의 손님이 또 찾아왔다. 무한의 버스가 '무한'대 찾아왔다. 1. 무한의 손님이 찾아왔다. 무한 호텔에 '무한(∞)'의 손님이 숙박하고 있어 방이 꽉 차 있던 어느 날, 손님 한 명이 찾아왔다. 그 손님은 머물 호텔이 없으니 어떻게든 이 호텔에 묵고 싶다고 한다. 이에 호텔 지배인은 숙박객 전원을 자신의 방 번호 보다 하나 큰 방 번호의 방으로 옮기도록 조치했다. 1호실의 손님은 2호실로, 2호실의 손님은 3호실로, 3..

'2=1'이 성립하는 이상한 증명(?)

정삼각형을 이용해서 '2=1'을 증명하는 과정을 소개하겠다. 이 논리는 옳은 것일까? 0. 목차 2=1의 증명? 무엇이 오류인가? 1. 2=1의 증명? 여기에 모든 변의 길이가 1인 정삼각형이 있다. 여기에 변 AB와 변 BC의 중점에서 변 AC의 중점을 향해 선을 그어보자. 이렇게 하면 변의 길이가 1/2인 삼각형이 두 개 생긴다. 한편 새로 생긴 정삼각형의 위쪽 변을 따라 A에서 C로 향하는 꺾은선들은 길이가 1/2인 선분 4개로 이루어져 있다. 꺾인 선들의 길이의 합은 2가 된다. 마찬가지로 길이가 1/4인 정삼각형을 만들면, 역시 위쪽 변을 따라 A에서 C로 향하는 꺾은 선들은 길이가 1/4인 선분 8개가 된다. 역시 꺾인 선들의 길이의 합은 2가 된다. 이 과정을 무한히 반복하면 꺾인선은 직선 ..

톰슨의 램프(Thomson's Lamp)

'톰슨의 램프(Thomson's Lamp)'라고 불리는 간단한 사고 실험 하나를 소개한다. '아킬레스와 거북'과 비슷한 사고 실험이라서 어떤 사람은 이 사고 실험을 '제논의 역설(Zenon's Paradoxes)'의 아류작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0. 목차 톰슨의 램프 정답 1. 톰슨의 램프 영국의 수학자 '제임스 톤슨(James Thomson, 1921~1984)'은 다음과 같은 실험을 고안했다. 여기에 조금 특이한 램프가 있다. 이 램프는 불이 켜진 1분 후에 불이 자동적으로 꺼지고 다시 30초 후에 불이 꺼진다. 그리고 15초 후에 불이 다시 꺼진다. 또다시 7.5초 후에 불이 켜지고.. 3.75초 후에 불이 꺼진다. 이런 식으로 점등 시간 또는 소등 시간은 정확히 절반의 시간이 지날 때마다 끝없이..

갈릴레이의 역설 - 전체와 부분의 개수가 같은 이유

0. 목차 전체와 부분 무한집합의 농도 1. 전체와 부분 '전체'와 '부분' 중에서 어느 게 더 클까? 여러분들은 아마 '당연히 전체가 더 크다'라고 생각할 것이다. '부분'은 당연히 '전체'의 한 요소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이 논리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인다. 그런데 이 당연해 보이는 사실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면 믿겠는가? 짝수는 자연수의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보자. 1~100의 자연수 중에는 짝수가 50개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자연수는 100개이고 짝수는 50개이므로 당연히 '전체'가 '부분'보다 크다. 그런데 이번에는 자연수와 짝수의 관계를 생각해보자. 유한 집합이 아닌 무한 집합에서 말이다. 자연수는 무한 개고 짝수 또한 무한 개다. 따라서 자연수의 수와 짝수의 수..

'일론 머스크(Elon Musk)' Full Story

1. 남아공에서의 일론 머스크 '일론 머스크(Elon Musk)'는 197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수도 프리토리아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 머스크의 집안은 유복한 편이었다. 아버지는 네덜란드와 영국계 혈통의 전기 엔지니어였고, 어머니는 캐나다 출신의 모델 겸 영양사였다. 2남 1녀의 장남이었던 머스크는 어렸을 때부터 책을 아주 좋아해 하루에 10시간 이상씩 책을 읽었다고 한다. 초등학교 3~4학년 즈음에는 학교 도서관과 마을 도서관에 있는 책을 모조리 다 읽어버리게 될 정도였다. 도서관의 책을 다 읽은 이후에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심취했다. 머스크가 열 살이 됐을 때, 모아둔 용돈과 아버지가 보태준 돈으로 컴퓨터를 살 수 있었다. 컴퓨터를 산 머스크는 곧바로 베이식 프로그래밍 언어를 독학하기 시작했..

카테고리 없음 2021.10.03

'손정의' Full Story

0. 목차 손정의의 어린 시절 손정의의 미국 유학 일본에 귀국하다.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하다. 인생 최대의 위기 회사를 구하라. 투자자가 되다. 아이폰 수입의 대성공 300년 계획 1. 손정의의 어린 시절 손정의는 1957년 8월 11일, 일본 규수의 사가 현 도스 시에서 4형제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손정의라는 이름은 그의 아버지 '손삼헌'이 정의롭게 살아가라는 의미에서 지어준 것이다. 손정의는 제일 교포 3세였다. 그의 할아버지인 '손종경'은 대구에서 태어났는데 일제 강점기 때 탄광 노동자로 일본에 오게 되었다. 손정의의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어렵게 생활을 했고 그 사이에서 태어난 7형제 중 장남인 손삼헌은 중학교 졸업 후 생업에 뛰어들어야 할 정도였다. 손정의가 태어난 동네는 갈 곳 없는 조선인들이..

카테고리 없음 2021.10.03

신용 화폐 시스템 - 가장 교묘한 노예 제도

0. 목차 화폐와 돈의 차이 원시시대 16세기 영국 20세기 신용 화폐 시스템 1. 화폐와 돈의 차이 경제의 커다란 숲을 보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화폐(currency)'와 '돈(money)'의 차이에 대해서 이해해야 한다. 안타깝게도 세계적으로 저명한 경제학자들도 이 차이를 이해하지 못해, 혼동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자본주의에서 '화폐(currency)'는 교환을 가능케 하는 매개체이다. 따라서 회계 가능한 단위이면서도 휴대성, 내구성, 분할성을 가져야 하고, 돈을 대체해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반면 '돈(money)'은 앞서 말한 화폐의 특성에, 추가적으로 가치를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반대로 말하면 화폐는 가치를 저장하지 못한다는 말이다. 그런데 현대 사회에서 인류는 가치를 저장하지 못..

카테고리 없음 2021.10.03

제노봇(Xenobot)

기존에 있던 모든 기계들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같은 합성 물질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생체 세포로 만들어진 기계가 있다면 그것은 기계일까? 생명체일까?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의 자금지원을 받은 미국 '버몬트 대학교(University of Vermont)'와 터프츠 대학교(Tufts University)'의 연구진들은, 개구리의 줄기세포 조직만으로 기계를 만들어 홍색 살의 작은 덩어리처럼 보이는 새로운 '생체 형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세포의 원천인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학명: Xenopus laevis)'의 이름을 인용하여 '제노봇(Xenobot)'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0. 목차 제노봇 만들기 기술 활..

제트팩(Jetpack)

영화 속의 '슈퍼맨'처럼 하늘을 날고 싶다는 생각을 한 번쯤을 해봤을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 이렇게 날아다닐 수 있을까? 물론이다. '제트팩(Jetpack)'을 장착하고 날면된다. 그러면 제트팩은 언제 처음 만들어졌고 현재 제트팩의 기술 수준은 어느 정도까지 올라왔을까? 0. 목차 로켓벨트(Rocket Belt) 부착식 유인 이동 장치(MMU) 터보팬 제트팩 JB-9 제트팩은 지금까지 왜 실용화되지 못했는가? 개발중인 제트팩 1. 로켓벨트(Rocket Belt) 최초의 제트팩은 '벨에어로 시스템'이라는 항공 우주회사에서 1953년부터 개발에 착수한 '로켓벨트(Rocket Belt)'다. 이 로켓벨트는 1965년 '썬더볼(Thunderball)'이라는 영화에서 등장해 유명세를 치르기도 했다. 하지만 이 '..

카테고리 없음 2021.10.03

레이저 포팅(Laser Porting)

우주의 환경은 인간에게 너무나도 적대적이다. 이런 가혹한 조건에서 생물학적 육체를 가진 생명이 우주를 여행하는 일도 너무나 어려워보인다. 하지만 디지털화된 '의식(Consciousness)'은 이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레이저 포팅(Laser Porting)'으로 물리적인 육체없이 우주를 여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0. 목차'레이저 포팅'이란?'레이저 포팅'이 진행되는 방식'레이저 포팅'의 장점태양계 내에 레이저 수신 네트워크 구축하기빛의 속도 초월하기1. '레이저 포팅'이란?  '레이저 포팅(Laser Porting)'이란 레이저에 '의식(Consciousness)'을 실어서 쏘아보내는 기술을 말한다. 빛에는 '정보(Information)'를 담을 수 있다. 우리는 이미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데이터를 레..

기계가 지능을 가질 수 있는 이유

0. 목차 컴퓨터는 뇌가 될 수 있을까? 생각하는 기계는 결코 만들 수 없다? 지능에 대한 정의 AI 연구의 가장 큰 목표는 '범용 AI' 지능의 특성 1. 컴퓨터는 뇌가 될 수 있을까? 컴퓨터의 능력은 궁극적으로 얼마나 확장될 수 있을까? 인간의 뇌도 컴퓨터의 한 형태로 간주할 수 있을까? 20세기 중반 컴퓨터의 시대가 도래하자 이 두 가지 질문을 둘러싼 논쟁이 시작되었다. 첫 번째 질문의 경우, 처음에는 컴퓨터와 뇌가 기본적으로 똑같은 정보처리장치라고 보는 시각이 우세했으나, 이후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시각이 더 우세해졌다. 뇌는 컴퓨터의 일종일까? 1-1. '기존 컴퓨터의 지능'과 '인간의 지능'은 정반대로 진화한다. 1940년대 컴퓨터가 처음으로 대중적인 관심사로 떠올랐을 때, 사람들은 컴퓨터를 '..

텔레파시(Telepathy)

'텔레파시(telepathy)'란 '오감(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을 사용하지 않고 생각이나 감정을 주고받는 기술을 말한다. 우리의 뇌는 전기를 띠고 있으며,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의 일종인 '라디오파(약 1m 이상의 파장)'를 방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신호는 너무 약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되지 못한다. 전달된다고 하여도 우리의 신체는 라디오파를 감지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이를 알아차리지 못한다. 하지만 뇌에서 나오는 라디오 파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면 이를 다른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 방식을 이용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이 '텔레파시'이다. 0. 목차 공상과학물에서의 텔레파시 생각 읽기 받아쓰기 '뇌-기계 인터페이스' ..

두뇌 스캐너(Brain Scanner)

인간의 두뇌가 '뉴런(Neuron)'으로부터 전기신호를 주고받고 있다는 사실은 1875년부터 알려져 있었다. 머리 부위에 전극을 연결하면 이 신호를 측정할 수 있고, 여기서 얻어진 전기펄스를 분석하면, '뇌파(Brain Wave)'의 구체적인 형태를 알 수 있다. 과학자들은 뇌를 이해하고 싶어했고, 뇌를 탐색하기 위한 여러 기술들을 발명하였다. 신경과학의 원리를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뇌를 해독하는 기술들에 대해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다. 뇌를 탐색하는 몇 가지 핵심적인 기술들에 대해서 알아보자.0. 목차EEG 스캔MRI(자기 공명 영상법)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뇌자도 측정기(MEG)경두개 전자기 스캐너(TES)뇌심부 자극술(DBS)광유전학뇌 투명하게 만들기그외의 기술1. EEG 스캔 'E..

시공간 의식 이론

0. 목차 '의식'이란 무엇인가? 시공간 의식 이론 미래 예측 능력 '시공간 의식 이론'으로 설명하는 '인간의 행동' '나(I)'란 무엇인가? 1. '의식'이란 무엇인가? 1-1. 수천 년간 철학자들은 '의식'이 무엇인지 정의조차 하지 못했다. 의식이란 무엇일까? 수천 년간 철학자들은 '의식'에 대해 이해하려고 노력했지만 '의식'에 대한 정의조차 내리지 못했다. 철학자 '데이비드 차머스(David Chalmers)'는 의식과 관련된 논문 2천여 편을 수집해서 분석해 보았는데, 뚜렷한 경향이나 공통점을 찾지 못했다. 17세기의 독일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였던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Gottfried Leibniz)'는 '인간의 두뇌를 방앗간 크기로 확장하여 그 안을 아무리 헤집어도 의식을 찾지 못할 것'이라고..

두뇌 역설계(Brain Reverse Engineering)

2013년 1월, 의학과 과학의 역사를 바꾸는 2개의 핵폭탄이 거의 동시에 떨어졌다. '미국'과 '유럽'에서 '두뇌 연구'를 하는 프로젝트에 천문학적 예산이 할당된 것이다. 유럽에서는 '인간 두뇌 프로젝트(Human Brain Project)'를 발족했고, 미국에서는 '브레인 프로젝트(BRAIN Project)'를 발족했다. 그동안 '두뇌 역설계(Brain Reverse Engineering)'은 너무 복잡해서 불가능할 것으로 여겨졌으나, 예산이 할당된 후 두뇌 연구는 하룻밤 사이에 초유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0. 목차 두뇌 만들기 인간 두뇌 프로젝트(Human Brain Project) 브레인 프로젝트(Brain Project) 인간 커넥톰 프로젝트(Human Connectome Project) 앨런 ..

‘꿈’의 과학

0. 목차 역사에서의 꿈 꿈의 특성 꿈을 스캔해보았다. 꿈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꿈 기록하기 꿈꾸면서 외부와 의사소통하기 다른 사람의 꿈속에 들어가기 1. 역사에서의 꿈 1-1.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전쟁에서 꿨던 꿈 역사상 가장 유명한 꿈은 아마도 서기 312년에 로마의 '콘스탄티누스 대제 1세(Constantinus I)'가 일생일대의 전쟁을 치르면서 꿨던 꿈일 것이다. 어느 날 그는 아군보다 두 배나 많은 적과 대치한 상황에서 자신이 내일 죽을 것 같은 예감이 들었다. 그러나 그날 밤 꿈에 한 천사가 커다란 십자가와 함께 나타나 '이 십자가 안에서 너는 승리할 것'이라는 계시를 주었다고 한다. 다음 날 아침, 그는 일어나자마자 군단 깃발의 휘장에 십자가를 그려 넣으라고 명령했다. 역사에 기록된 바에..

인공 기억(Artificial Memory)

1999년에 개봉되어 숱한 화제를 낳았던 영화 '매트릭스(Matrix)'에서 주인공 '네오(Neo)'는 오직 기계의 에너지 공급원으로 전락한 인류를 구한다. 네오는 가짜 기억으로 형성된 '매트릭스(Matrix)'를 파괴하고 인류에게 진정한 삶을 되돌려주었다. 매트릭스의 수호자인 '센티널(Sentinel)'이 '네오'를 구석에 몰아넣고 마지막 일격을 가하려는 순간 네오는 현란한 무술을 구사하며 위기에서 탈출한다. 그전에 네오는 목뒤에 있는 플러그에 전선을 연결하여 다양한 무술을 다운로드했기 때문에, 실제로 훈련한 적이 없었음에도 고수처럼 싸울 수 있었다. 또 네오의 파트너인 트리니티는 헬기 조종법을 다운로드해, 한 번도 몰아본 적 없는 헬기를 타고 절체절명의 위기를 모면하였다. 이처럼 미래에는 뇌와 컴퓨터..

서번트 증후군(Savant Syndrome)

0. 목차 초인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서번트 증후군' 서번트 증후군에 관한 기록들 서번트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탁월한 재능을 발휘한다. 아스퍼거 증후군 서번트들의 초인적 능력의 원천은 무엇인가? 서번트들의 두뇌를 스캔해보았다. 우리도 서번트가 될 수 있는가? '사진 같은 기억력'은 망각하는 능력이 부족해서 생긴 것 1. 초인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서번트 증후군' 지금까지 보고된 바에 따르면, 전 세계 70억 인구 중 서번트 증세를 보이는 환자는 약 100명 정도라고 한다. 물론 사고 후 정신 능력이 초인적으로 향상된 사람만 100명이라는 뜻이지, 초인까지는 아니더라도 사고 전보다 능력이 향상된 사람들까지 포함하면 숫자는 훨씬 많아진다. 현재 자폐증 환자 중 약 10%는 '서번트 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

브레인넷(Brain-net)

0. 목차 인터넷을 이용하여 쥐의 두뇌를 연결하였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인간의 두뇌를 연결하였다. 브레인넷을 통한 '미래형 소셜 네트워크' '완전 몰입' 엔터테인먼트 브레인넷 구축하기 인간은 운영체제의 일부가 될 것이다. 영혼 도서관 1. 인터넷을 이용하여 쥐의 두뇌를 연결하였다. 두뇌와 두뇌를 연결하는 '뇌-뇌 인터페이스(Brain to Brain interface)'를 이용하면 '마음의 인터넷'이라고 불리는 '브레인넷(Brain-net)'을 구축할 수 있다. 2013년에 '듀크 대학교(Duke University)'의 '미겔 니코렐리스(Miguel Nicolelis, 1961~)' 박사는 영화 '스타트렉(Star Trek)'의 '생각 공유기(Mind Meld)'를 방불케 하는 장치를 만들어 세상을 놀..

우주 거주지 (Space Colony)

영화 '인터스텔라(Interstellar)'에서는 우주비행사 '조셉 쿠퍼(Joseph Cooper)'가 블랙홀 안으로 들어가 '중력 방정식(Gravity Equation)'을 풀고 인류를 구한다. '우주 거주지(Space Colony)'를 만들어 놓고도 이를 궤도 위로 올릴 방법이 없었는데, '중력 방정식'을 풀어 '우주 거주지(Space Colony)'를 궤도 위로 올릴 수 있게 된 것이다. 인류는 오래전부터 '우주 식민지(Space Colony)'를 꿈꿔왔다. 1900년 대 초 미국의 작가인 '에드워드 에버렛 헤일(Edward Everett Hale, 1822~1909)'은 그의 소설 '더 브릭 문(The Brick Moon)'에서 지구 궤도를 따라 도는 인공위성인 '브릭 문(Brick Moon)'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