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C...
-
'종교'는 악의 근원인가?ABC... 2024. 2. 18. 18:00
0. 목차'종교'는 악의 근원인가?폭력 발생에 기여하는 5가지 요인'유일신'에 대한 믿음은 분쟁의 씨앗'아브라함 종교'의 신은 유인원 무리의 최고 우두머리와 비슷하다.폭력에 의한 '성적 자원'의 독점을 정당화근대의 이슬람1. '종교'는 악의 근원인가? 2014년 토크쇼 프로그램 '빌 메이허와 함께(Real Time with Bill Masher)'에서 저명한 종교 비평가이자 신경과학자인 '샘 해리스(Sam Harris, 1967~)'와 영화배우 '벤 애플렉(Ben Affleck, 1972~)' 사이에 이슬람교도의 폭력성을 주제로 짧은 논쟁이 벌어졌다. '샘 해리스(Sam Harris)'는 이슬람을 '사악한 아이디어의 광맥'이라고 주장했고, '벤 애플렉(Ben Affleck)'은 이런 태도른 천박하고 인종..
-
카이로프랙틱(Chiropractic)ABC... 2023. 11. 3. 12:00
'대체의학(Alternative Medicine)'이란 병원의 표준화된 치료 이외에 환자들이 이용하는 요법을 말한다. 증명되지 않은 비정통적이고 보조적인 요법으로, 과학자나 임상의사의 평가에 근거하여 증명되지 않았거나, 현재 권장되지 않는 예방·진단·치료에 사용되는 검사나 치료의 방침을 통틀어 지칭한다. '카이로프랙틱(Chiropratic)'은 미국에서 시작된 '대체의학(Alternative Medicine)' 중 하나이다. '카이로프랙틱(Chiropratic)' 추종자들은 '척추 지압 요법'을 통해 뇌와 세포 간 신경전달을 원활히 하여 인체가 정상적 기능을 할 수 있다고 믿는다.0. 목차'카이로프래틱'의 기원'카이로프래틱'은 현대 의학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자석 치료(Magnetic Healing)'..
-
지구 공동설(Hollow Earth Hypothesis)ABC... 2023. 5. 10. 18:21
어떤 사람들은 지구가 북처럼 속이 비어 있고, 그 안에 숨겨진 비밀의 세계가 있다고 생각하는 '지구 공동설(Hollow Earth Hypothesis)'을 진지하게 믿는다. 이들은 어느 미지의 문명이 지하 깊숙한 곳에 숨겨진 왕국을 지배하고 있으며, 우리 발아래 깊숙한 곳에서 선사시대의 괴수들이 정글을 휘젓고 다닌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왜 '지구 공동설'이라고 하는 터무니없고 정신 나간 이야기를 믿게 되었을까?0. 목차옛날 사람들은 우주가 세 층으로 나뉘어 있다고 믿었다.존 클리브스 시머스'지구 공동설'을 반긴 사람들북극이 정복되었다.20세기에도 '지구 공동설'은 생명을 유지했다.레이몬드 아서 팔머1. 옛날 사람들은 우주가 세 층으로 나뉘어 있다고 믿었다. 옛날 사람들은 우주가 세 층으로 나뉘어 있다고 ..
-
지구 평면설(Flat Earth)ABC... 2023. 4. 15. 12:44
2018년의 몇몇 조사 결과에 의하면, 평범하게 보이는 사람 중에서도 세계가 실제로 평평하다고 확고하게 믿는 사람이 오늘날에도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지구평면설 신봉자들을 추동하는 원동력은 무엇일까? 이 질문은 흥미롭지만 상당히 복잡하게 얽혀있다.0. 목차지구평면설 신봉자들지구평면설 뒤에 숨은 종교의 그림자지구에 대한 직관젊은층이 지구평면설을 믿을 가능성이 더 높다.반박하기 쉽지 않은 지구평면설비판의 시도들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1. 지구평면설 신봉자들 '유고브(YouGov)'는 영국의 인터넷 기반 시장 조사 및 데이터 분석 기업이다. 2018년 2월 '유고브(YouGov)'의 조사에 의하면 "세계가 둥글다고 믿습니까, 아니면 평평하다고 믿습니까?"라는 질문에 미국 성인 8215명 중 84%가 '세계는 ..
-
과학의 발달ABC... 2023. 3. 23. 23:27
'문명(Civilization)'을 이룩한 인류는 어느덧 신을 믿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 세계와 자신의 존재 방식을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철학(Philosophy)'이 탄생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들은 자연 현상에 대해 여러 가지 방식으로 탐구했다. 이런 가운데 조금씩 과학의 원형이 형성되어 갔다. 인류는 과학의 발달을 통해 무엇을 얻게 되었을까? 0. 목차 과학의 기원 1차 산업 혁명 (기계 혁명) 2차 산업 혁명 (전기 혁명) 3차 산업 혁명 (디지털 혁명) 인공지능 혁명 게놈 혁명 우주 진출 1. 과학의 기원 시기: 기원전~17세기 20세기 과학을 대표하는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Abert Einstein, 1879~1955)'은 '고대 그리스'와 14~16세기의 '르네상스 시대(Ren..
-
문명의 성립ABC... 2023. 3. 23. 23:24
약 기원전 8000년 무렵, 길었던 빙기가 끝나고 지구에선는 급속히 온난화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서서히 마을의 인구가 늘어나자 수렵체집만으로는 음식물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래서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는 음식물이 될 식물을 스스로 재배하기 시작했다. '농경'을 시작으로 현대 문명으로 이어지는 여러 가지 사물의 기원에 대해 알아보자.0. 목차농경(Agriculture)신앙(Faith)포도주(Wine)도시(City)문자(Writing System)화폐(Currency)수레바퀴(Wheel)야금(Metallurgy)1. 농경(Agriculture)시기: 기원전 9000년 무렵 기원전 9000년 무렵, '서아시아(현재의 이라크와 시리아 주변)'에 있던 '호모 사피엔스'는 100명 미만의 ..
-
인류의 탄생ABC... 2023. 3. 23. 23:22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는 약 20만 년 전에 아프리카에서 탄생했다고 생각된다. '호모 사피엔스'의 특징은 두 발로 직립 보행하고, 체격에 비해 큰 뇌를 가졌으며, 손을 효율적으로 다룬다는 점에 있다. 이윽고 '호모 사피엔스'는 전 세계의 대륙으로 확산되었다. 육상에 살아가는 동물로 호모 사피엔스만큼 분포 영역을 넓힌 종은 달리 없다. 침팬지와 같은 조상에서 출발해 오랜 기간을 거친 진화 끝에 '호모 사피엔스'가 되고, 전 세계로 확산되기까지의 장대한 과정을 살펴보자.0. 목차인류의 기원뇌의 증대불의 획득호모 사피엔스의 탄생구인과의 만남예술의 태동1. 인류의 기원시기: 약 700만 년 전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 탄생의 장대한 이야기는 약 700만 년 전의 아프리카에서..
-
'13일의 금요일'을 왜 불길하게 여길까?ABC... 2023. 1. 7. 21:12
1970년 4월 11일, 미국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아폴로 13호(Apollo 13)'가 발사되었다. 아폴로 13호의 목표는 아폴로 11호처럼 달 표면에 착륙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달을 향해 가는 도중 산소 탱크가 폭발하는 바람에 아폴로 13호는 지구로 귀환할 수밖에 없었다. '아폴로 13호'의 실패 후 사람들은 13이라는 숫자에 대해 다시 한번 수군거리기 시작했다. '트리스카이데커포비아(Triskaidekaphobia)'라는 용어로 알려진 '13 공포증'은 숫자 13을 불길하게 생각하는 미신이다. 마치 한자 문화권에서 숫자 4를 꺼리는 것처럼 말이다. 서양에서 13 공포증의 역사는 아주 오래되었을 뿐만 아니라, 생활 속에도 뿌리내려 있다. 그러한 인식은 '건물의 층수', '방 번호', '비행기의 좌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