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Science)/지구 과학 (Earth Science)
-
사막(Desert)과학(Science)/지구 과학 (Earth Science) 2024. 2. 5. 17:29
0. 목차'사막'이란?암석사막, 자갈사막, 모래사막사막이 생기는 위치와 성질에 따른 사막 분류진행하는 사막화를 멈출 수 있을까?세계의 사막'사막'의 동물1. '사막'이란? 사막은 세계 육지의 약 20~25%를 차지한다. '사막(Desert)'은 '연간 강우량이 250mm 이하로 극단적으로 적고, 강우량보다 증발량이 많은 극도로 건조한 토지'로 정의된다. 강수량이 적은 토지여도 한대처럼 기온이 낮은 곳에서는 수분의 증발이 적어 사막은 형성이 형성되지 않는다. '사막(Desert)'이라고 하면, 보통 물결무늬가 이어지는 살풍경한 '사구(모래 언덕)'가 먼저 떠오를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모래만으로 이루어진 사막은 적고, '기암(기이하게 생긴 바위)'이 늘어선 황량한 대지와 선명한 색깔의 바위가 드러난 곳 ..
-
공룡 멸종과학(Science)/지구 과학 (Earth Science) 2023. 10. 14. 18:39
멕시코 유카탄반도 북부에는 '칙술루브 크레이터(Chicxulub Crater)'라는 지름 약 180km에 이르는 거대한 크레이터가 있다. 이 크레이터는 '백악기 말(약 6600만 년 전)'에 지름 10km 정도의 소천체가 충돌해서 생겼다고 추정된다. 충돌의 충격은 어마어마해서 낙하지점의 바닷물과 지면을 증발시켰으며, 대량의 암석이 주위로 날아가고, 높이 수백 m나 되는 해일이 발생해 주변 연안부로 밀어닥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 소천체 충돌을 계기로 공룡은 멸종해 버렸다. 멸종한 것은 공룡만이 아니다. 소천체 충돌을 계기로 그 당시 지구상에 존재하던 생물종의 70% 전후가 멸종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소천체가 낙하한 곳은 멕시코인데, 왜 전 세계의 공룡이 멸종했을까? 그리고 인류의 조상이 되는 포유..
-
다섯 번의 대멸종과학(Science)/지구 과학 (Earth Science) 2023. 3. 16. 13:38
과학자들은 약 46억 년 전에 지구가 형성되었고, 그로부터 10억 년이 지난 약 35억 년 전에 심해의 '열수 분출공(Hydrothermal Vent)' 부근에서 생물의 공통 조상으로 여겨지는 조상 세포가 생겼다고 추정한다. 그 후 지금까지 수많은 종류의 생물이 등장했다가 사라졌다. 점진적으로 사라진 생물도 있지만, 한꺼번에 대부분의 생물이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대멸종'은 몇 개의 종에서 부분적으로 멸종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75% 이상의 종과 그 생태계 전체가 한꺼번에 멸종하는 것이다. 과학자마다 의견 차이는 있으나, 지질 시대 동안 19번의 크고 작은 멸종이 있었고, 그중에서 5번의 대멸종이 있었다고 한다.0. 목차오르도비스기 대멸종데본기 대멸종페름기 대멸종트라이아스기 대멸종백악기 대멸종1. ..
-
주상 절리(Columnar Joints)과학(Science)/지구 과학 (Earth Science) 2023. 3. 10. 09:51
'주상 절리(Columnar Joints)'는 규칙적으로 돌기둥이 늘어서 있어 아름다운 경관을 만들어 낸다. 신기한 돌기둥 무리 '주상 절리'는 어떻게 형성되었을까? 0. 목차 균열이 만들어 내는 '주상 절리' 굳을 때까지의 시간이 좌우한다. 바다와 강이 최후의 마무리를 한다. '주상 절리' 갤러리 1. 균열이 만들어 내는 '주상 절리' '주상 절리'는 화산 분화 등으로 지표면으로 나온 '용암'과 '고온의 화쇄류 퇴적물(고온의 암석, 화산재, 화산 가스 혼합물)'이 식어서 굳어 만들어진다. 표면으로 나온 직후의 '용암'과 '고온의 화쇄류 퇴적물'은 걸쭉한 액체 상태이지만, 서서히 식어 표면에서 굳기 시작한다. 그에 따라 부피가 줄어든다. 이 부피의 수축이야말로 '주상 절리'가 형성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
초거대 지진과학(Science)/지구 과학 (Earth Science) 2023. 2. 26. 09:34
'초거대 지진'은 지구 그 자체를 뒤흔들 정도의 지진으로, 지구 전체에서 100년 동안 몇 번밖에 발생하지 않은 특별한 지진이다. 모멘트 규모로는 약 Mw9.0 이상의 지진을 말한다. 2004년의 수마트라 섬 난바다 지진이나, 2011년 3월의 동일본 대지진, 1960년의 칠레 지진은 '초거대 지진'이었다. '수마트라 섬 난바다 지진'은 규모 9.2Mw를 기록했고, '동일본 대지진'은 규모 9.0Mw을 기록했으며, '칠레 지진'은 규모 9.5Mw를 기록했다. 어떻게 이런 말도 안 되는 규모의 지진이 일어날 수 있을까? 0. 목차 초거대 지진의 사례 초거대 지진이 발생하기 쉬운 곳 판의 경계에 있는 '지진의 발생원' 초거대 지진의 재해 1. 초거대 지진의 사례 초거대 지진 시기 규모 동일본 대지진 2011..
-
눈덩이 지구(Snowball Earth)과학(Science)/지구 과학 (Earth Science) 2023. 2. 22. 03:38
'눈덩이 지구(Snowball Earth)'가설에 의하면, 지구는 과거에 3회나 순백의 눈덩이 같은 천체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이렇게 놀라운 가설이 나오게 되었을까? 지구 전체가 얼어붙는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 그리고 장래에 다시 얼음으로 뒤덮일 가능성도 있을까? 지금도 논란이 계속되는 '눈덩이 지구 가설'에 대해 알아보자.0. 목차눈덩이 지구의 증거들눈덩이 지구 가설왜 지구가 얼어붙었을까?눈덩이 지구로부터의 탈출'눈덩이 지구 가설'은 처음에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온실가스의 감소 이유전 지구 동결에서 생물은 어떻게 살아남았을까?1. '눈덩이 지구'의 증거들 과거의 지구는 완전히 얼음으로 덮여 있었다. 온난화가 진행되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이를 상상하기 어렵겠지만, 지구는 적도 부근까지 얼음..
-
2016년 경주 지진과학(Science)/지구 과학 (Earth Science) 2023. 2. 22. 03:34
2016년 9월 12일, 경주에서 발생한 리히터 규모 5.8의 지진은 관측을 공식적으로 시작한 1978년 이후 가장 강력한 지진이었다. 경주 지진은 지진에 익숙하지 않고, 그에 대한 대부도 안 되어 있던 우리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앞으로 또 일어날 수 있는 지진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지진에 대해 정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하다. 0. 목차 2016년 경주 지진의 발생 경위 2016년 경주 지진은 '내남단층'에서 발생했다. 한반도의 '활성 단층 지도'를 만든다. 1. 2016년 경주 지진의 발생 경위 2016년 9월 12일 20시 32분 54초, 경주시 남남서쪽 8.7km 지점에서 M5.8의 지진(본진)이 발생했다. 정확한 위치는 북위 35.76˚, 동경 129.19˚ 지점이며, 진원의 깊이는 15.4..
-
지자기역전(Geomagnetic Reversal)과학(Science)/지구 과학 (Earth Science) 2023. 2. 13. 02:05
'지구 자기장(Earth's Magnetic Field)'은 태양 등에서 나오는 '방사선(에너지가 높은 입자)'으로부터 지구를 지키는 '방벽(Barrier)'이다. 지구 자기를 따라 방위 자석의 N극은 북쪽을 가리키고, S극은 남쪽을 가리킨다. 그러나 과거의 지구에서는 방위 자석이 가리키는 방향이 반대가 되는 '지자기역전(Geomagnetic Reversal, 지구 자기 역전)'이라는 현상이 일어났다. 그리고 현재의 지구에서는 이미 지구 자기가 역전되기 시작했다고 해도 이상할 것이 없다고 한다. 지구를 지키고 있는 '지자기역전' 현상에 대해 알아보자.0. 목차지구 자기가 역전되는 동안 지구를 지키는 방벽은 약해진다.지구 자기의 역전은 과거에도 여러 차례 일어났다.지구 자기 역전의 증거지구의 핵의 대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