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Science)/etc...
-
'선악(善惡)'의 기원과학(Science)/etc... 2024. 2. 20. 18:00
'선악(善惡)'은 실재하는가? 어떠한 행동이 옳고 그른지 알 수 없다면, '도덕적 판단'이라는 것도 결국 취향 문제와 다름없다는 주장을 부정하기 어려워진다. 과연 '도덕(Morality)'은 취향에 불과할까?0. 목차도덕은 신이 명령하지 않았다.인간의 도덕성은 포유류가 구사하는 진화한 협동 전략의 확장선과 악의 자연적 기원도덕은 결국 주관적인가?도덕적 직관의 확신은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1. 도덕은 신이 명령하지 않았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Plato, 기원전 427~ 기원전 347)'은 도덕이 신의 명령에서 비롯된다는 주장을 했다. 하지만 도덕률이 신의 명령이라는 주장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만약 신이 우리에게 이래라저래라 명령하는 이유가 명확하지 않다면, 우리의 행동을 옳고 그르게 하는..
-
'과학'이란 무엇인가?과학(Science)/etc... 2023. 12. 1. 14:48
0. 목차 '과학'이란 무엇인가? '과학'과 '비과학'을 구별하는 기준 왜 점성술은 과학으로 간주되지 않을까? 부합하는 데이터만 사용하면 '데이터 조작' 과학자가 지켜야 할 4가지 규범 '유사 과학'에 속지 않으려면? 1. '과학'이란 무엇인가? 아침에 운세를 보았는데 '당신 곁에 귀인이 찾아오는 것만으로도 좋은 하루인데, 여러 사람에게서 좋은 평가까지 받게 되니 더할 나위 없는 하루입니다.'라는 말을 들으면 괜스레 기분이 좋아지더라도, 운세가 과학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한편, 같은 '미래 예측'이라도 날씨 예보는 대부분의 사람이 과학적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예컨대 '오늘의 강수 확률은 85%입니다.'라는 말을 들었다면, 우산을 들고나가게 된다. 당신이 운세는 과학적이 아니고 날씨 ..
-
착시(Optical illusion)과학(Science)/etc... 2023. 11. 28. 21:20
0. 목차'착시'란 무엇인가?입체 착시(Stereoscopic illusion)'착시'를 연구하는 이유'평면 착시' 작품'입체 착시' 작품1. '착시'란 무엇인가? '착시(Optical illusion)'란 시각과 관계있는 착각이다. 형태와 색깔이 다르게 보이거나, 정지 화면인데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거나, 없어야 할 것이 보이는 등 예로부터 여러 가지 착시가 알려져 있다. 최근에도 새로운 착시가 계속 발견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른바 '속임수 그림'이나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을 착시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착시를 만드는 것은 눈으로 들어온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작용이다. 우리가 물체를 볼 때 먼저 망막이 빛을 감지해 뇌에 정보를 보내는데, 여기서 잘못이 일어날 여지는 적다. 다..
-
'e스포츠'의 과학과학(Science)/etc... 2023. 11. 26. 23:53
0. 목차 'e스포츠(eSports)'란? 폭력적인 게임이 범죄율을 높인다? 게임과 건강 장시간 게임 훈련 게임 이용 장애 게임 성적과 영양학 게임이 가져오는 효과 e스포츠의 미래 1. 'e스포츠(eSports)'란? 통신의 고속화와 컴퓨터·스마트폰의 보급을 통해 게임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어, 온라인 게임을 즐기는 사람이 많이 늘어났다. 또 스스로 게임을 하는 것만이 아니라, 스포츠처럼 프로게이머의 시합을 관전하고 즐기는 사람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 예로, '도타2(Dota2)'의 2021년 세계 대회 우승 상금은 1820만 8300 달러에 달했다. 이런 국제 대회가 활발히 개최되면서 프로 선수를 목표로 한 플레이어도 증가하고 있다. 'e스포츠(e-Sports)'는 스포츠 경기로도 주목받아 202..
-
과학 저널리즘(Science Journalism)과학(Science)/etc... 2023. 4. 11. 17:33
0. 목차 과학 저널리즘 과학자는 왜 언론에 호의적이지 않은가? 과학을 대중화하려는 노력이 없던 것은 아니다. 언론은 과학의 진지한 비평가가 될 수 있는가? 또 다른 대안 '과학 커뮤니케이터' 1. 과학 저널리즘 대중은 반드시 과학을 알아야 할까? 과학은 과학자에게 맡기고 사람들은 각자에 충실하면 되지 않을까? 안타깝게도 현대사회에서는 그럴 수 없다. 신기한 구경거리로 여기기에는 과학은 우리의 삶 모든 곳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경제, 국방, 환경, 의학, 환경, 우주, 법률은 물론이고,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스마트폰, 키오스크, 자동차, 섬유, 수돗물, 에어컨 등 세상 온갖 것이 과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현대사회는 어느 때보다 과학의 발전에 의존하고 있으며, 우리는 과학을 멀리할 ..
-
'스마트폰'은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과학(Science)/etc... 2023. 4. 9. 18:13
스마트폰은 2010년대 이후 폭발적으로 보급되어, 이제는 생활 필수품이 되었다. 그런데 스마트폰이 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과연 '스마트폰'은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0. 목차 끊임없이 최적화되어 사람을 사로잡는 스마트폰 스마트폰 독서 스마트폰과 주의력 스마트폰과 어린이 온라인 게임과 뇌 디지털 건망증 스마트폰과 수면 걸으면서 스마트폰 사용 스마트폰'과 '인간 확장 공학' 1. 끊임없이 최적화되어 사람을 사로잡는 스마트폰 스마트폰은 현대인의 필수품이다. SNS, 쇼핑, 지도 검색, 메시지, 메모, 알람 시계, 뉴스 확인, 뱅킹, 투자, 이메일, 중고거래, 독서, 게임, 음악 감상, 동영상 시청, 지갑, 신분 확인, 현금 거래, 배달,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스케줄 관리, 계산..
-
식품의 '기준값'은 어떻게 정해질까?과학(Science)/etc... 2023. 4. 7. 20:49
식품에는 '유통 기한', '소비 기한', '농산물의 잔류 농약 기준' 등 다양한 '기준값'이 표시되어 있다. 이 표시는 '식품위생법' 등으로 규정된 의무사항이다. 그런데 이런 식품의 '기준값'은 어떻게 정해질까? 기준값을 조금이라도 넘으면 안전한 것일까? '기준값'의 근거와 산정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자. 0. 목차 '안전'이란 받아들일 수 있는 위험 요소 '유통 기한'과 '소비 기한' 달걀의 '산란 일자'와 '유통 기한' '잔류 농약'의 기준은 어떻게 정해지는가? 식품에 포함된 발암 물질의 기준값 우리는 발암 물질이 포함된 식품도 먹고 있다. 위험성은 알고는 있지만 줄이기는 어려운 소금 1. '안전'이란 받아들일 수 있는 위험 요소 우선 '안전(Safety)'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국..
-
[과학자]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 X선을 발견하다.과학(Science)/etc... 2023. 3. 16. 21:17
독일의 물리학자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독일어: Wilhelm Konrad Röntgen)'은 'X선(X-ray)'을 발견한 것으로 유명하다. 'X선 발견'은 '라듐 발견'과 더불어 19세기 말의 2대 발견으로 일컬어진다. 'X선'은 수술하지 않고도 신체 내부 구조를 탐색하게 하여, 의료 역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X선이 없었다면 아마도 의학이 지금처럼 발전하지 못했을 것이다. 과학계에서는 X선이 발견된 1895년을 20세기 과학사의 기점으로 삼는다. 그만큼 X선은 현대 물리학과 '진단 의학(Diagnosis Medicine)'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 111번째 원소 '뢴트게늄(Rg)'은 그를 기려 명명되었다.0. 기본 데이터이름: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독일어: Wilhelm Konrad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