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Science)/etc... 52

'선악(善惡)'의 기원

'선악(善惡)'은 실재하는가? 어떠한 행동이 옳고 그른지 알 수 없다면, '도덕적 판단'이라는 것도 결국 취향 문제와 다름없다는 주장을 부정하기 어려워진다. 과연 '도덕(Morality)'은 취향에 불과할까?0. 목차도덕은 신이 명령하지 않았다.인간의 도덕성은 포유류가 구사하는 진화한 협동 전략의 확장선과 악의 자연적 기원도덕은 결국 주관적인가?도덕적 직관의 확신은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1. 도덕은 신이 명령하지 않았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Plato, 기원전 427~ 기원전 347)'은 도덕이 신의 명령에서 비롯된다는 주장을 했다. 하지만 도덕률이 신의 명령이라는 주장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만약 신이 우리에게 이래라저래라 명령하는 이유가 명확하지 않다면, 우리의 행동을 옳고 그르게 하는..

'과학'이란 무엇인가?

0. 목차 '과학'이란 무엇인가? '과학'과 '비과학'을 구별하는 기준 왜 점성술은 과학으로 간주되지 않을까? 부합하는 데이터만 사용하면 '데이터 조작' 과학자가 지켜야 할 4가지 규범 '유사 과학'에 속지 않으려면? 1. '과학'이란 무엇인가? 아침에 운세를 보았는데 '당신 곁에 귀인이 찾아오는 것만으로도 좋은 하루인데, 여러 사람에게서 좋은 평가까지 받게 되니 더할 나위 없는 하루입니다.'라는 말을 들으면 괜스레 기분이 좋아지더라도, 운세가 과학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한편, 같은 '미래 예측'이라도 날씨 예보는 대부분의 사람이 과학적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예컨대 '오늘의 강수 확률은 85%입니다.'라는 말을 들었다면, 우산을 들고나가게 된다. 당신이 운세는 과학적이 아니고 날씨 ..

착시(Optical illusion)

0. 목차'착시'란 무엇인가?입체 착시(Stereoscopic illusion)'착시'를 연구하는 이유'평면 착시' 작품'입체 착시' 작품1. '착시'란 무엇인가? '착시(Optical illusion)'란 시각과 관계있는 착각이다. 형태와 색깔이 다르게 보이거나, 정지 화면인데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거나, 없어야 할 것이 보이는 등 예로부터 여러 가지 착시가 알려져 있다. 최근에도 새로운 착시가 계속 발견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른바 '속임수 그림'이나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을 착시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착시를 만드는 것은 눈으로 들어온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작용이다. 우리가 물체를 볼 때 먼저 망막이 빛을 감지해 뇌에 정보를 보내는데, 여기서 잘못이 일어날 여지는 적다. 다..

'e스포츠'의 과학

0. 목차 'e스포츠(eSports)'란? 폭력적인 게임이 범죄율을 높인다? 게임과 건강 장시간 게임 훈련 게임 이용 장애 게임 성적과 영양학 게임이 가져오는 효과 e스포츠의 미래 1. 'e스포츠(eSports)'란? 통신의 고속화와 컴퓨터·스마트폰의 보급을 통해 게임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어, 온라인 게임을 즐기는 사람이 많이 늘어났다. 또 스스로 게임을 하는 것만이 아니라, 스포츠처럼 프로게이머의 시합을 관전하고 즐기는 사람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 예로, '도타2(Dota2)'의 2021년 세계 대회 우승 상금은 1820만 8300 달러에 달했다. 이런 국제 대회가 활발히 개최되면서 프로 선수를 목표로 한 플레이어도 증가하고 있다. 'e스포츠(e-Sports)'는 스포츠 경기로도 주목받아 202..

과학 저널리즘(Science Journalism)

0. 목차 과학 저널리즘 과학자는 왜 언론에 호의적이지 않은가? 과학을 대중화하려는 노력이 없던 것은 아니다. 언론은 과학의 진지한 비평가가 될 수 있는가? 또 다른 대안 '과학 커뮤니케이터' 1. 과학 저널리즘 대중은 반드시 과학을 알아야 할까? 과학은 과학자에게 맡기고 사람들은 각자에 충실하면 되지 않을까? 안타깝게도 현대사회에서는 그럴 수 없다. 신기한 구경거리로 여기기에는 과학은 우리의 삶 모든 곳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경제, 국방, 환경, 의학, 환경, 우주, 법률은 물론이고,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스마트폰, 키오스크, 자동차, 섬유, 수돗물, 에어컨 등 세상 온갖 것이 과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현대사회는 어느 때보다 과학의 발전에 의존하고 있으며, 우리는 과학을 멀리할 ..

'스마트폰'은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스마트폰은 2010년대 이후 폭발적으로 보급되어, 이제는 생활 필수품이 되었다. 그런데 스마트폰이 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과연 '스마트폰'은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0. 목차 끊임없이 최적화되어 사람을 사로잡는 스마트폰 스마트폰 독서 스마트폰과 주의력 스마트폰과 어린이 온라인 게임과 뇌 디지털 건망증 스마트폰과 수면 걸으면서 스마트폰 사용 스마트폰'과 '인간 확장 공학' 1. 끊임없이 최적화되어 사람을 사로잡는 스마트폰 스마트폰은 현대인의 필수품이다. SNS, 쇼핑, 지도 검색, 메시지, 메모, 알람 시계, 뉴스 확인, 뱅킹, 투자, 이메일, 중고거래, 독서, 게임, 음악 감상, 동영상 시청, 지갑, 신분 확인, 현금 거래, 배달,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스케줄 관리, 계산..

식품의 '기준값'은 어떻게 정해질까?

식품에는 '유통 기한', '소비 기한', '농산물의 잔류 농약 기준' 등 다양한 '기준값'이 표시되어 있다. 이 표시는 '식품위생법' 등으로 규정된 의무사항이다. 그런데 이런 식품의 '기준값'은 어떻게 정해질까? 기준값을 조금이라도 넘으면 안전한 것일까? '기준값'의 근거와 산정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자. 0. 목차 '안전'이란 받아들일 수 있는 위험 요소 '유통 기한'과 '소비 기한' 달걀의 '산란 일자'와 '유통 기한' '잔류 농약'의 기준은 어떻게 정해지는가? 식품에 포함된 발암 물질의 기준값 우리는 발암 물질이 포함된 식품도 먹고 있다. 위험성은 알고는 있지만 줄이기는 어려운 소금 1. '안전'이란 받아들일 수 있는 위험 요소 우선 '안전(Safety)'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국..

[과학자]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 X선을 발견하다.

독일의 물리학자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독일어: Wilhelm Konrad Röntgen)'은 'X선(X-ray)'을 발견한 것으로 유명하다. 'X선 발견'은 '라듐 발견'과 더불어 19세기 말의 2대 발견으로 일컬어진다. 'X선'은 수술하지 않고도 신체 내부 구조를 탐색하게 하여, 의료 역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X선이 없었다면 아마도 의학이 지금처럼 발전하지 못했을 것이다. 과학계에서는 X선이 발견된 1895년을 20세기 과학사의 기점으로 삼는다. 그만큼 X선은 현대 물리학과 '진단 의학(Diagnosis Medicine)'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 111번째 원소 '뢴트게늄(Rg)'은 그를 기려 명명되었다.0. 기본 데이터이름: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독일어: Wilhelm Konrad R..

[과학자] 벤저민 플랭클린 - 피뢰침을 발명하다.

미국의 '과학자'이자 '발명가'이며, '정치가'이기도 한 '벤저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인 가정 형편이 어려워 학교도 제대로 마치지 못했찌만, '피뢰침(Lightning Rod)'을 발명한 업적으로 유명하다. '피뢰침'은 자연의 무자비한 힘을 인간이 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바꾼 대단한 과학적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성공 비결은 '시간을 금같이 여기는 자세'와 '철저한 자기 반성'에 있었다. 0. 기본 데이터 이름: 벤저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 출생-사망: 1706년 1월 17일 ~ 1790년 4월 17일 국적: 미국 출생지: 미국 0-1. 목차 가난했던 어린 시절 사업적으로 성공하다. 사업에서 은퇴하고 더욱 가치 있는 일을 찾기로 했다. 여러가지 발명품을 내..

[과학자] 닐스 보어 - 원자물리학의 교황

덴마크의 물리학자 '닐스 보어(Niels Bohr)'는 '어니스트 러더퍼드(Ernetst Rutherford, 1971~1937)'의 원자 모형에 '막스 플랑크(Max Plank, 1858~1947)'의 '양자 가설'을 적용한 새로운 원자 모형을 만들었다. 그의 연구는 '고전 원자론'과 '현대 양자론'을 결합한 것이으로, 그는 '원자물리학의 교황'이라고까지 불리었다. '닐스 보어'는 '원자 이론'의 연구로 1922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으며, 나중에는 평화 운동에도 뛰어들었다. 0. 기본 데이터 이름: 닐스 보어(Niels Henrik David Bohr) 출생-사망: 1885년 10월 7일 ~ 1962년 11월 18일 국적: 덴마크 출생지: 덴마크 0-1. 목차 유복한 어린 시절 본격적으로 물리학을 ..

[과학자] 알프레드 노벨 - 노벨상의 창시자

'알프레드 베르나르드 노벨(Alfred Bernhard Nobel)'은 스웨덴의 발명가이자 화학자로,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을 이용해 폭발력이 강하면서도 안전한 '다이너마이트(Dynamite)'를 발명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생각과 다르게 그의 발명품이 전쟁에 쓰여 많은 인명을 앗아가면서 자신이 '죽음의 상인'으로 인식되자, 인류의 발전과 평화를 위해 대부분의 유산을 헌납했다. '노벨상'을 모르는 사람은 아마 거의 없을 것이다. '알프레드 노벨'의 사망일인 12월 10일에 맞추어 해마다 '스톡홀름(Stockholm)'과 '오슬로(Oslo)'에서 열리는 노벨상 시상식은 스웨덴과 노르웨이 두 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는 '노벨상(Nobel Prize)'과 함께..

논점 바꾸기

자신의 생각이 옳은데도, 상대의 교묘한 말솜씨로 인해 농락당했다고 느껴본 적이 있는가? 어쩌면 그것은 '궤변'이라는 잘못된 논리를 사용해 논점을 바꾸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럴싸하게 들리지만 실제로는 잘못된 논리 전개를 사용하는 주장을 '궤변'이라고 한다. 흔히 사용되는 궤변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0. 목차 허수아비 인형 논법 피장파장 논법 톤 폴리싱(Tone Policing) 권위에 호소하는 논증 아침밥 논법 1. 허수아비 인형 논법 '논점 바꾸기'가 생기면, 이야기가 원래의 내용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개별 발언 자체는 의미가 통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무의식적이든 의도적이든 논점을 바꾸어 부당하게 상대를 공격하는 장면을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

흑백 논리

우리는 종종 '흑 아니면 백'이라는 식으로 사태를 확실히 구분하고 싶어 한다. 이런 논리를 '흑백 논리(Black and White Thinking)'라고 한다. 그러나 'A나 B밖에 없다는 사고는 '논리학(Logic)'에 근거해 생각하면 잘못된 것이다. 흑백 논리는 완벽주의자에게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사기의 수단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흑백 논리'의 배후에 있는 논리적 오류란 무엇일까? 이를 이해하기 위해 다음의 사례를 살펴보자.0. 목차'찬성인가? 반대인가?'유재석씨가 택할 수 있는 선택지는 4가지'A나 B밖에 없다'는 논리적으로 오류이다.세상은 흑백 논리로 넘쳐난다.흑백 논리에 빠지지 않기 위해 주의할 점1. '찬성인가? 반대인가?' 유재석씨 주변에는 최근 고층 빌딩 건설 계획에 대해 의견이..

[과학자] 헨리 캐번디시 - 수소를 발견하다.

미국의 천문학자 '할로 섀플리(Harlow Shapley, 1885~1972)'는 "만일 신이 하나의 단어로 세상을 창조했다면, 그 단어는 분명 수소였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 수소를 발견한 사람이 바로 영국의 물리학자이자 화학자인 '헨리 캐번디시'이다. 또 '헨리 캐번디시'는 지구의 무게를 재는 데 필요한 '만유인력 상수 G'를 처음으로 측정했을 뿐만 아니라, 물의 조성'과 '물질의 비열', '정전기의 다양한 특성' 등을 발견했다. 사실 쿨롱이나 옴보다 '쿨롱의 법칙'과 '옴의 법칙'도 먼저 발견했지만, 연구 결과를 발표하지 않은 '괴짜 과학자'로도 유명하다. 0. 기본 데이터 이름: 헨리 캐번디시(Henry Cavendish) 출생-사망: 1731년 10월 10일~1810년 2월 24일 국적: 영..

[과학자] 윌리엄 허셜 - 천왕성을 발견하다.

'윌리엄 허셜(William Herschel)'은 독일에서 태어난 영국의 천문학자이자 음악가이다. 태양계의 끝은 토성이라고 생각하던 당시, 천왕성을 발견해 태양계의 범위를 넓힌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또 최초로 은하의 구조를 연구해, 별의 집단인 은하들이 모여 우주가 이루어진다는 '은하 이론'을 정립했다. 쌍성 연구 등 천문학에 남긴 수많은 업적으로 '항성 천문학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0. 기본 데이터 이름: 존 프레드릭 윌리엄 허셜(Sir John Frederick William Herschel) 출생-사망: 1738년 11월 15일 ~ 1822년 8월 25일 국적: 영국 출생지: 영국 0-1. 목차 '허셜'의 어린 시절 집안에 주조 시설 갖추고 직접 망원경을 만들다. 독학으로 배운 천문 지식과 망원..

유기농(Organic Farming)

0. 목차자연이라고 다 안전한 것은 아니다.유기농 먹거리도 그다지 안전하지 않다.유기농은 환경 측면에서 바람직한가?'화학비료'가 더 효율적이다.식물입장에서는 '유기질'과 '무기질'의 차이가 없다.농약과 화학비료의 부작용은 꾸준히 개선되어 왔다.1. 자연이라고 다 안전한 것은 아니다. 문명이 발달할수록 자연주의에 끌리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아마 문명이 주는 피로가 있고, 위험 요소도 늘어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자연(Nature)'이라고 다 안전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식물을 벌레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살충제 성분을 만들어낸다. 우리가 먹는 대부분의 과일과 채소에는 극소량이나마 천연 발암 물질이 들어 있다. 아린 맛이 나는 '새순'은 독성이 더 강하다. 싹이 난 감자 눈을 먹지 않는 이유다. 천..

[과학자] 카를 란트슈타이너 - ABO식 혈액형을 발견하다.

오스트리아 출신의 미국 병리학자 '카를 란트슈타이너(Karl Landsteiner)'는 혈액형이 A, B, O, AB의 4종으로 나뉜다는 'ABO식 혈액형 체계'를 발견한 것으로 유명하다. 인간의 혈액에는 적어도 A형, B형, O형의 주요 혈액형이 있다는 것과 또 MN식, Rh 인자도 찾아내 혈액형의 아버지로 불린다. 만약 다른 사람의 피를 수혈할 수 없다면 얼마나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게 될까? 다행히도 인간은 혈액형을 맞추어 수혈할 수 있다. 20세기의 첫 유산으로 '카를 란트슈타이너'가 과학적 수혈의 선물을 안겨주었기 때문이다. 혈액형 원리의 발견으로 수혈의 안전한 길을 연 그를 의학사에서는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의 목숨을 구해 낸 인물'로 표현하고 있다. 0. 목차 '란트슈타이너'의 기본 데이터..

식품첨가물(Food Additive)

식품 회사가 소비자들에게 자사 제품을 최대한 훌륭해 보이도록 선전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건강에 좋고 열량과 당분 함량이 낮은 식품이라는 인상을 주면 아무래도 유리하다. 하지만 일반인들에게 영양성분표를 읽는 것조차 쉽지 않으며, 많은 사람들이 영양성분표를 이해하지 못하는 무지함에 떳떳하다. 하지만 식품첨가물을 무작정 거부하기보다는, 그것이 왜 그런 첨가물이 들어있는지 알아보는 편이 현명하지 않을까? 모든 식품첨가물이 건강에 나쁜 것도 아니고, 식품 제조업자들이 그냥 재미로 아무 화학물질이나 집어넣지는 않을 테니 말이다. 0. 목차 '식품첨가물'이란 무엇인가? 식품영양성분표 식품 보존료 식용 색소 향미증진제 화학물질을 가급적 피해야 할까? 1. '식품첨가물'이란 무엇인가? 한국의 식품위생법에 따르면 '식..

'맛있는 고기'의 과학

0. 목차 '풍미'란 무엇인가? 고기의 씹는 맛은 '근육의 이음매'가 만든다. 입에 살살 녹게 만드는 지방산 숙성시킴으로써 고기의 부드러움과 풍미가 좋아진다. 고기 맛있게 조리하기 더 좋은 고기를 만들기 위해 고기의 등급 1. '풍미'란 무엇인가? 고기의 맛이 좋은 것을 '풍미가 가득하다.'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풍미'란 무엇일까? '풍미(Flavor)'란 어떤 음식으로부터 후각적·미각적으로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인지의 총체를 뜻하며, 경우에 따라 이는 온도·촉각·화학적 느낌을 포함할 수도 있다. 1-1. 풍미의 바탕 고기의 맛을 결정짓는 주요 성분은 단백질과 지방이다. 살코기 등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비율은 어느 고기든지 20% 정도이다. 한편, 피하 지방과 살코기 사이에 들어가는 지방은 고..

순환 논리(Circular Reasoning)

0. 목차 '순환 논리'는 정당한 이유가 되지 않는다. '순환 논리'에 무심결에 설득될 수 있다. 순환 정의 '순환 논리'와 '역설' 과학도 순환 논리에 빠져 있다. 1. '순환 논리'는 정당한 이유가 되지 않는다. 재석이와 명수가 방송 촬영을 하기로 약속한 시각이 있었지만, 재석이가 방송 촬영에 지각을 했다. 이 상황에서 재석이와 명수가 다음과 같은 대화를 한다고 생각해 보자. 유재석: 길이 막혀서 늦었어. 미안해. 박명수: 너 말은 믿을 수 없어. 유재석: 왜 믿을 수 없는데? 박명수: 너는 거짓말을 하잖아? 유재석: 왜 그렇게 생각하는데? 박명수: 너는 믿을 수 없는 성격이잖아. 사실 명수의 '너는 믿을 수 없는 성격이잖아'라는 말은 '너 말은 믿을 수 없어'라는 말과 거의 같은 것이다. 결국 '명..

‘지도’의 과학

약 30년 전만 해도 지도라고 하면 종이로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현재는 스마트폰으로 손쉽게 볼 수 있는 '디지털 지도(Digital Map)'로 바뀌었다. '디지털 지도'는 손가락으로 마음대로 확대·축소할 수 있고, 목적지를 입력하면 최단 경로도 제시해 준다. 또 '코로나19(COVID-19)' 사태를 겪을 때는 '감염 상황과 사람의 흐름을 나타내는 지도'가 우리의 행동을 지원해 주었다. 이처럼 편리한 '디지털 지도'는 어떤 과학과 기술에 의해 진화해 왔을까? 0. 목차 투영법의 종류 기존 세계 지도의 결점을 해소한 '오사 그래프' 카토그램 디지털 지도 여러 가지 지도 1. 투영법의 종류 '지도(Map)'란 현실 세계를 추상화·기호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도학(Cartography)'은 지..

라이트 형제(Wright brothers)

1903년 12월 17일, 라이트 형제가 인류 최초의 유인 동력 비행에 성공하였다. 그들은 뛰어난 개발 전략과 과학적이고 치밀한 예비 실험, 그리고 보통 사람과는 다른 정열을 바탕으로 불과 4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이 커다란 프로젝트를 성공시켰다. 0. 목차 비행기에 매료된 '라이트 형제' 하늘을 향한 선구자들의 비행기 풍동 실험의 성과는 매우 컸다 라이트 플라이어 1호 1903년 12월 17일, 미국 키티호크 라이트형제의 성공 요인 날개치는 비행기 '라이트 플라이어 1호'의 구조 1. 비행기에 매료된 '라이트 형제' 미국에서 자전거점을 운영하던 '윌버 라이트(Wilbur Wright, 형, 1867~1912)'와 '오빌 라이트(Orville Wright, 동생, 1871~1948)' 형제는 1894년의 ..

'낙태'를 허용해야 하는가?

낙태를 둘러싼 논쟁은 도저히 끝이 없는 논쟁처럼 보인다. 그러면 낙태에 관한 '과학'의 입장은 어떨까? 낙태를 허용해야 할까? 만약 낙태를 허용해야 한다면, 낙태결정권에 대한 합리적인 기준점을 찾는 일은 가능할까? 0. 목차 '로 대 웨이드(Roe v. Wade)' 판결 낙태를 둘러싼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인격'이란 무엇인가? '의식의 시작'은 뇌의 구조와 작용에 영향을 받는다. 태아는 언제 의식 능력을 얻는가? 도덕적 규칙과 법칙의 정립을 마냥 미룰 수도 없다. 1. 로 대 웨이드 판결 미국에서는 1970년대 초까지 대부분의 주에서 임신부의 생명이 위험한 경우를 제외한 낙태를 불법으로 보고 낙태죄를 처벌했다. 그러다 1969년 텍사스주 댈러스의 '노마 맥코비(Norma McCorvey, 1947~2..

가짜뉴스(Fake News)

가짜뉴스를 이해하고 대응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다. 노스이스턴 대학교의 '데이비드 라자(David Lazer)' 교수는 '기존 언론에서 생산하는 콘텐츠 형식을 모방한 조작된 정보'라고 가짜뉴스를 정의한다. '데이비드 라자'의 정의는 가짜뉴스가 진실된 언론의 형식을 차용하지만, 실제 언론이 추구하는 보도의 정확성이나 정보의 신뢰도, 편집 윤리가 결핍되어 있음에 주목했다. 또한 그는 가짜뉴스를 '실수에 의한 정보(Mis-information)', '의도적으로 생성된 거짓 정보(Dis-infirmation)'를 비롯한 모든 '정보 장애(information disorder)'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여기에서도 이와 같은 정의를 따르기로 하자.0. 목차가짜뉴스는 왜 확산되는가?..

'길치'는 왜 길을 못찾을까?

방향을 잘 구분하지 못하고 길눈이 어두운 사람을 흔히 '길치'라고 부른다. '길치'는 길을 잘 잃어 목적지를 제대로 찾아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방향을 잘 구분하는 사람'과 '방향을 잘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0. 목차 길치 여성은 길을 잃기 쉬운가? 길치 극복하기 뇌과학의 발전으로 '알기 쉬운 지도'가 생긴다? 1. 길치 '길치(길을 잘 잃는 사람)'에 대한 연구는 미국을 중심으로 1970년대부터 이루어져 왔다. 연구에서는 피실험자 자신이 길을 잘 잃는지 아닌지 등에 답하는 주관적인 자기 평가와, 피실험자를 어둠 속에서 이동시키고 나서 움직인 방향 등을 묻는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다. 이들 결과를 비교한 결과, '자기 평가'와 '객관적인 평가'가 반드시 일치..

음치는 왜 음을 못맞출까?

살다 보면 노래방에 가거나 여러 사람이 모인 곳에서 노래를 부를 일이 있다. 하지만 올바른 음정으로 노래르 부르지 못하는 '음치'는 노래방에 가거나 노래를 부르는 일이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 음치는 무슨 이유 때문에 노래를 제대로 부르지 못하는 것일까? 과연 음치는 후천적인 노력을 통해 음치 탈출이 가능할까? 0. 목차 음치 노래를 하는 메커니즘 내적 피드백 음치 클리닉 1. 음치 어느 사전에 의하면 '음치'는 소리에 대한 음악적 감각이나 지각이 매우 무디어, 음을 바르게 인식하거나 올바른 음정으로 노래를 부를 수 없는 상태 또는 사람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음정'이란 두 음 사이의 음높이 차이를 가리킨다. 또 다른 사전에서는 '음치'는 생리적 결함에 의해 올바른 음의 인식과 기억이나 발성을 할 수..

'소음'의 과학

'소음(Noise)' 때문에 밤에 잠을 자지 못할 정도로 신경에 거슬리는 경우가 있다. 작은 소리에도 신경이 쓰이기 시작하면, 소리가 계속 거슬리고 스트레스까지 받는다. 그러면 우리에게 '불쾌한 소리'란 어떤 것일까? 그리고 '소음'에 대처하는 아주 효율적인 방법은 없을까? 0. 목차 소리가 작아도 불쾌한 소리 소음 대처법 초음파 스피커 가전제품의 소음 1. '소리'의 요소 소리의 요소에는 '크기(음압)', '높이(주파수)', '음색(파형)'이 있다. '음압'은 압력의 단위인 '데시벨(dB)'이나 '파스칼(Pa)' 등으로 표현한다. 가전제품의 소리 크기는 '데시벨(dB)'이라는 단위를 들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일기 예보에서 듣는 기압도 압력이지만, 대기압은 완만하게 변동하기 때문에 소리로 ..

'악기'의 과학

'소리(Sound)'와 '악기(Instrument)'는 밀접한 관계에 있다. '악기'에 초점을 맞추고, 소리의 성질에 관해 알아보자. 0. 목차 '소리'란 무엇인가? 공명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음색이란 무엇인가? 1. 소리의 정체 '소리(Sound)'를 한마디로 정의하면 '압력의 변화가 매우 빨리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소리가 없는 상태'란 대기압 그대로 변화가 없는 상태이다. 거기에 압력이 대기압보다 약간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변화가 일어나고, 그것이 귀에 전해지면 우리는 그것을 소리로 느낀다. 이 압력의 변화는 매우 작아서, 대기압의 100만 분의 1 정도이다. 우리가 소리를 느낄 때는 적은 경우에도 1초에 20번, 많은 경우에는 20000번이나 공기의 압력이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빠른 ..

'떡'은 왜 쫄깃쫄깃할까?

떡은 굉장히 말랑하고 쫄깃쫄깃하다는 성질이 있다. 떡은 왜 잘 늘어나는 것일까?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딱딱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0. 목차 '찹쌀'과 '멥쌀' 아밀로펙틴의 성질 떡의 질감을 결정하는 것은 '전분의 구조'만은 아니다. 멥쌀로 만드는 떡 1. '찹쌀'과 '멥쌀' 갓 만들어 낸 떡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굳는 이유를 건조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라고 많을 것이다. 하지만 사실 떡이 굳는 이유는 건조하기 때문이 아니라, 떡에 함유된 전분의 구조가 변해 딱딱해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전분(수많은 d-글루코스가 축합반응을 일으키면서 길게 연결되어 만들어지는 다당류)'은 크게 나누어 가지가 갈라지는 듯한 모양의 '아밀로펙틴(Amylopectin)'과 곧은 사실 모양의 '아밀로오스(Amylose)..

[과학자] 앨프리드 월리스 - 다윈과 진화론을 함께 발표하다

0. 기본 데이터 이름: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Alfred Russell Wallace) 출생-사망: 1823년 1월 8일 ~ 1913년 11월 7일 국적: 영국 출생지: 영국 0-1. 목차 어릴 때부터 곤충 채집에 열중하였다. '비글호'를 타고 세계를 일주한 '찰스 다윈' '비글호 항해기'에서 큰 충격을 받았다. 생물 분포가 현저하게 다른 경계선을 알아차리다. 맬서스의 '인구론'이 문제를 푸는 열쇠라고 확신했다. 놀랍게도 '다윈'과 월리스'의 견해가 일치했다. 진화론 발표 이후 1. 어릴 때부터 곤충 채집에 열중하였다.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Alfred Russell Wallace, 1823~1913)'는 1823년 영국 남서부 웨일스 지역에 있는 '권트 주(예전의 매머스셔 주)'의 '우스크(U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