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Science)/미래학 (Futurology)
-
기술적 특이점(Technological Singularity)과학(Science)/미래학 (Futurology) 2023. 12. 3. 11:52
0. 목차'기술적 특이점'이란?컴퓨터는 이미 인간을 넘어서고 있다.튜링 테스트(Turing Test)AI의 발전인간 지능의 확장사이보그화1. '기술적 특이점'이란? 미국의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Raymond Kurzweil, 1948~)'은 2005년에 미래 예측에 관한 전설적인 책 '특이점이 온다(The Singularity Is Near)'를 출판했다. 이 책에는 '2045년에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성을 앞질러 기술적 특이점에 도달한다.'라는 놀라운 예측이 적혀 있다. '기술적 특이점(Technological Singularity)'이란 인공지능의 발전이 가속화되어 모든 인류의 지성을 합친 것보다 더 뒤어난 초인공지능이 출현하는 시점을 말한다. '레이 커즈와일(Raymond Kurzweil)' 박사..
-
수명연장(Life Extension)과학(Science)/미래학 (Futurology) 2023. 6. 27. 18:00
역사에 등장하는 모든 왕들과 정복자들은 왕국 전체를 쥐고 흔들 만한 권력을 쥐고 있었다. 그러나 결코 제어할 수 없는 공통의 난적이 하나 있었다. 그것은 바로 '노화(Aging)'이다. '영생(영원히 죽지 않는 삶)'은 인류가 가장 오랫동안 찾아온 궁극의 희망 사항이었다. 20세기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인간의 수명을 인위적으로 늘릴 수 없다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21세기에 들어서 놀라운 실험 결과가 속속 발표되면서, 이제 이와 같은 통념은 잘못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때 이 분야에서 찬밥 신세를 면치 못했던 '노인학(Gerontology)'은 지금 최고의 이슈로 부상하며 천문학적인 연구기금이 조성되고 있다. 생명공학 분야의 최고 권위자들과 미래학자들은 머지않아 영생 시대가 열릴 것으로 전망하고 ..
-
UN의 '세계 인구 전망 2022' 보고서과학(Science)/미래학 (Futurology) 2023. 1. 7. 19:00
세계 인구는 1975년에 40억 명, 1987년에는 50억 명, 1999년에는 60억 명, 2011년에는 70억 명, 2022년에는 80억 명을 돌파했다. 인구 80억 시대를 맞아, 80억 명의 국적과 나이 등의 분포, 의료 문제와 식량 부족 등 인류가 안고 있는 과제, 그리고 미래 인류 사회의 전망을 해보자. '인구 밀집 문제', '아프리카의 의료 문제', '단백질 위기', '저출산 고령화 문제' 등 알아둬야 할 인구 문제들에 대해, 데이터에 근거하여 정확하게 알아보자.0. 목차아시아가 세계 인구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앞으로는 아프리카의 인구가 급증할 것이다.인구가 감소하는 나라각국의 연령 구성2100년의 인구 예측인구 밀집 문제아프리카의 의료 문제단백질 위기저출산 고령화 문제1. 아시아가 세계..
-
4차 산업혁명 시대, 어떤 직업을 선택해야 할까?과학(Science)/미래학 (Futurology) 2022. 12. 23. 08:27
어느덧 인공지능과 로봇은 우리 일상 깊숙히 들어오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직업세계에도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앞으로 많은 직업들이 사라지겠지만, 반면에 새로운 직업도 많이 생겨날 것이고, 업무 내용도 많이 바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으로 직업세계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청소년과 학부모들도 직업선택과 미래 준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큰 변화의 물결 속에는 두려움과 희망, 좌절과 기회가 함께 존재한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이라는 큰 흐름 속에서 어떤 자세로 변화를 맞이하느냐에 따라, 누군가는 두려움과 좌절의 가시밭길을 걷겠지만, 누군가는 희망과 기회의 비단길을 걷게 될 것이다. 그러면 앞으로 살아남는 직업은 어떤 것이고, 유망한 직업은 무엇일까? 그리고 우리는 미래를 위해 ..
-
뇌-AI 융합과학(Science)/미래학 (Futurology) 2022. 9. 25. 13:46
뇌와 기계를 연결하는 '브레인 머신 인터페이스(BMI: Brain Machine Interface)'가 최근 빠르게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머리로 생각하는 것만으로 컴퓨터를 조작하는 일이 가능해졌다. 예컨대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문장을 만들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로봇을 조종하는 일이 가능해졌다. 앞으로도 '뇌'와 '인공지능(AI)'을 연결하여 인간의 능력이 계속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과연 인간은 뇌의 기능을 어디까지 확장할 수 있을까? 뇌와 AI가 융합됨으로써 인간은 결국 신이 될 수 있을까?0. 목차뇌와 컴퓨터를 연결·융합해 뇌를 확장한다.뇌에 인공 센서를 달아 뇌의 능력을 확장할 수 있음이 실증되었다.빠르게 진화하는 AI 기술뇌의 전기 신호를 AI로 해독한다.BMI에 AI를 활용..
-
'무어의 법칙'은 앞으로도 굳건할까?과학(Science)/미래학 (Futurology) 2022. 9. 15. 12:20
'수확 가속의 법칙(Law of Accelarating Returns)'의 지배를 받는 기술의 범위 중에 가장 널리 알려진 기하급수적 추세의 사례는 이른바 '무어의 법칙(Moore's Law)'이라는 것이다. 1970년대 중반에 집적회로 발명의 선구자이자 향후 '인텔(Intel)'사의 회장이 된 '고든 무어(Gordon Moore, 1923~)'는 집적회로에 집어넣을 수 있는 트랜지스터의 수가 24개월마다 두 배로 늘어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1960년대 중반에는 12개월로 추산했다가 나중에 수정함) 전자들이 이동하는 거리가 짧아지는 것이니, 회로의 동작 속도가 빨라지고, 전체 계산력도 늘어난다. 그 결과 연산의 '가성비(가격 대 성능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정보기술의 역량을 측정하는 여타 잣대..
-
수확 가속의 법칙(Law of Accelarating Returns)과학(Science)/미래학 (Futurology) 2022. 9. 14. 05:38
0. 목차'수확 가속의 법칙'이란?'복잡성'이란 무엇인가?'질서'란 무엇인가?'문제'란 무엇인가?'진화'란 무엇인가?패러다임의 생명 주기프랙탈식 설계'진화'가 '복잡성'을 증가시킨 사례 살펴보기1. '수확 가속의 법칙'이란? '수확 가속 법칙(Law of Accelarating Returns)'이란 '진화(Evolution)'의 과정이 가속적이며, 그것의 산물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현상을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진 말이다. 기술의 지속적인 가속은 이른바 '수확 가속의 법칙'의 필연적 결과이다. '수확 가속 법칙(Law of Accelarating Returns)'이란 말은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Ray Kurzweil)'에 의해 만들어졌다. 진화 과정의 산물에는 '연산(Calculation)' 같..
-
에너지 형태의 의식과학(Science)/미래학 (Futurology) 2022. 8. 6. 13:43
0. 목차'아이작 아시모프'의 소설 '최후의 질문'의식을 레이저빔에 실어 전송한다.에너지 형태로 존재하는 의식1. '아이작 아시모프'의 소설 '최후의 질문' 영국 '왕립천문학회(RAS: Royal Astronomical Society)'의 '마틴 리스 경(Sir Martin Rees)'는 자신의 저서에서 인간의 의식이 우주 전역에 퍼진다는 아이디어를 언급하면서 "웜홀과 여분의 차원 그리고 양자컴퓨터는 우주 전체가 살아있는 코스모스로 변한다는 환상적 시나리오를 현실로 만들어줄 것이다!"라고 적어놓았다. 정말로 우리의 의식이 육체를 떠나 우주 공간을 자유롭게 떠돌아다닐 수 있을까? '아이작 아시모프(Isaac Asimov, 1920~1992)'의 고전 SF 단편소설 '최후의 질문(The Last Qu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