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Science) 814

내장지방 빼는 법

0. 목차지방의 종류비만의 종류내장지방을 꼭 뺴야하는 이유내장지방 측정하기당질 제한내장지방을 빼는 식품들1. 지방의 종류 지방에는 '피하지방(Subcutaneous fat)', '내장지방(Visceral fat)', '이소성 지방(Ectopic fat)'의 세 종류가 있는데, 이 세 가지를 합쳐 '체지방(Body fat)'이라고 한다.피하지방(Subcutaneous fat): 피하지방은 피부 밑에 쌓이는 지방으로 체온 유지, 에너지 축적 등 외부 충격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내장지방(Visceral fat): 배 주변에 쌓이는 지방으로 배가 툭 튀어나오는 이유가 바로 이 내장지방 때문이다. 때문에 허리둘레는 대사증후군을 진단하는 기준이 된다. 참고로 대사증후군이란 내장지방이 축적되는 과정에서..

1일 1식

대부분의 사람들은 굶는 건 건강에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 심지어 의사들조차 그렇게 말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이러한 생각은 틀렸다. 뱃속에서 꼬르륵 소리가 나면, 오히려 세포 차원에서 몸에 좋은 작용들이 일어나고 젊어지는 효과가 있다. 공복이 인체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사실은 연구를 통해서도 계속 증명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연명 유전자(장수 유전자)'가 발견되었다. '공복 상태'는 이 유전자를 깨워 수명을 연장시킨다. 다양한 동물 실험을 통해서도 식사량을 40% 줄이면 수명이 1.5배 늘어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식사량을 줄인 동물은 훨씬 더 생기가 넘쳤고, 털에 윤기가 흘렀으며, 외관도 젊고 아름다워졌다. 외양은 건강을 알아보기 위한 가장 쉬운 지표이며, 젊음과 아름다움은 건..

'무한(∞)'에 관한 역설

'무한(∞)'은 '끝이 없다'는 개념으로, '무한'의 세계를 머릿속에 떠올리는 일은 쉽지 않다. 그래서 무한에 관한 '역설(Paradox)'도 많이 만들어졌다. '무한'과 관련된 역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0. 목차무한 호텔의 역설제논의 역설갈릴레이의 역설톰슨의 램프2=1의 증명?1. 무한 호텔의 역설 독일의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David Hilbert, 1862~1943)'는 무한 객실이 있는 '무한 호텔(infinite hotel)'이라는 기묘한 '패러독스(paradox)'를 생각했다. 무한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사고 실험이다.1-1. 무한의 손님이 찾아왔다. 무한 호텔에 '무한(∞)'의 손님이 숙박하고 있어 방이 꽉 차 있던 어느 날, 손님 한 명이 찾아왔다. 그 손님은 머물 호텔..

제노봇(Xenobot)

기존에 있던 모든 기계들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같은 합성 물질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생체 세포로 만들어진 기계가 있다면 그것은 기계일까? 생명체일까?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의 자금지원을 받은 미국 '버몬트 대학교(University of Vermont)'와 터프츠 대학교(Tufts University)'의 연구진들은, 개구리의 줄기세포 조직만으로 기계를 만들어 홍색 살의 작은 덩어리처럼 보이는 새로운 '생체 형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세포의 원천인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학명: Xenopus laevis)'의 이름을 인용하여 '제노봇(Xenobot)'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0. 목차 제노봇 만들기 기술 활..

레이저 포팅(Laser Porting)

우주의 환경은 인간에게 너무나도 적대적이다. 이런 가혹한 조건에서 생물학적 육체를 가진 생명이 우주를 여행하는 일도 너무나 어려워보인다. 하지만 디지털화된 '의식(Consciousness)'은 이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레이저 포팅(Laser Porting)'으로 물리적인 육체없이 우주를 여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0. 목차'레이저 포팅'이란?'레이저 포팅'이 진행되는 방식'레이저 포팅'의 장점태양계 내에 레이저 수신 네트워크 구축하기빛의 속도 초월하기1. '레이저 포팅'이란?  '레이저 포팅(Laser Porting)'이란 레이저에 '의식(Consciousness)'을 실어서 쏘아보내는 기술을 말한다. 빛에는 '정보(Information)'를 담을 수 있다. 우리는 이미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데이터를 레..

기계가 지능을 가질 수 있는 이유

0. 목차 컴퓨터는 뇌가 될 수 있을까? 생각하는 기계는 결코 만들 수 없다? 지능에 대한 정의 AI 연구의 가장 큰 목표는 '범용 AI' 지능의 특성 1. 컴퓨터는 뇌가 될 수 있을까? 컴퓨터의 능력은 궁극적으로 얼마나 확장될 수 있을까? 인간의 뇌도 컴퓨터의 한 형태로 간주할 수 있을까? 20세기 중반 컴퓨터의 시대가 도래하자 이 두 가지 질문을 둘러싼 논쟁이 시작되었다. 첫 번째 질문의 경우, 처음에는 컴퓨터와 뇌가 기본적으로 똑같은 정보처리장치라고 보는 시각이 우세했으나, 이후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시각이 더 우세해졌다. 뇌는 컴퓨터의 일종일까? 1-1. '기존 컴퓨터의 지능'과 '인간의 지능'은 정반대로 진화한다. 1940년대 컴퓨터가 처음으로 대중적인 관심사로 떠올랐을 때, 사람들은 컴퓨터를 '..

텔레파시(Telepathy)

'텔레파시(telepathy)'란 '오감(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을 사용하지 않고 생각이나 감정을 주고받는 기술을 말한다. 우리의 뇌는 전기를 띠고 있으며,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의 일종인 '라디오파(약 1m 이상의 파장)'를 방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신호는 너무 약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되지 못한다. 전달된다고 하여도 우리의 신체는 라디오파를 감지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이를 알아차리지 못한다. 하지만 뇌에서 나오는 라디오 파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면 이를 다른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 방식을 이용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이 '텔레파시'이다.0. 목차공상과학물에서의 텔레파시생각 읽기받아쓰기'뇌-기계 인터페이스' 연구MEG..

두뇌 스캐너(Brain Scanner)

인간의 두뇌가 '뉴런(Neuron)'으로부터 전기신호를 주고받고 있다는 사실은 1875년부터 알려져 있었다. 머리 부위에 전극을 연결하면 이 신호를 측정할 수 있고, 여기서 얻어진 전기펄스를 분석하면, '뇌파(Brain Wave)'의 구체적인 형태를 알 수 있다. 과학자들은 뇌를 이해하고 싶어했고, 뇌를 탐색하기 위한 여러 기술들을 발명하였다. 신경과학의 원리를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뇌를 해독하는 기술들에 대해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다. 뇌를 탐색하는 몇 가지 핵심적인 기술들에 대해서 알아보자.0. 목차EEG 스캔MRI(자기 공명 영상법)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뇌자도 측정기(MEG)경두개 전자기 스캐너(TES)뇌심부 자극술(DBS)광유전학뇌 투명하게 만들기그외의 기술1. EEG 스캔 'E..

시공간 의식 이론

0. 목차'의식'이란 무엇인가?시공간 의식 이론미래 예측 능력'시공간 의식 이론'으로 설명하는 '인간의 행동''나(I)'란 무엇인가?1. '의식'이란 무엇인가?1-1. 수천 년간 철학자들은 '의식'이 무엇인지 정의조차 하지 못했다. 의식이란 무엇일까? 수천 년간 철학자들은 '의식'에 대해 이해하려고 노력했지만 '의식'에 대한 정의조차 내리지 못했다. 철학자 '데이비드 차머스(David Chalmers)'는 의식과 관련된 논문 2천여 편을 수집해서 분석해 보았는데, 뚜렷한 경향이나 공통점을 찾지 못했다. 17세기의 독일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였던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Gottfried Leibniz)'는 '인간의 두뇌를 방앗간 크기로 확장하여 그 안을 아무리 헤집어도 의식을 찾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일부..

두뇌 역설계(Brain Reverse Engineering)

2013년 1월, 의학과 과학의 역사를 바꾸는 2개의 핵폭탄이 거의 동시에 떨어졌다. '미국'과 '유럽'에서 '두뇌 연구'를 하는 프로젝트에 천문학적 예산이 할당된 것이다. 유럽에서는 '인간 두뇌 프로젝트(Human Brain Project)'를 발족했고, 미국에서는 '브레인 프로젝트(BRAIN Project)'를 발족했다. 그동안 '두뇌 역설계(Brain Reverse Engineering)'은 너무 복잡해서 불가능할 것으로 여겨졌으나, 예산이 할당된 후 두뇌 연구는 하룻밤 사이에 초유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0. 목차 두뇌 만들기 인간 두뇌 프로젝트(Human Brain Project) 브레인 프로젝트(Brain Project) 인간 커넥톰 프로젝트(Human Connectome Project) 앨런 ..

‘꿈’의 과학

0. 목차역사에서의 꿈꿈의 특성꿈을 스캔해보았다.꿈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꿈 기록하기꿈꾸면서 외부와 의사소통하기다른 사람의 꿈속에 들어가기1. 역사에서의 꿈1-1.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전쟁에서 꿨던 꿈 역사상 가장 유명한 꿈은 아마도 서기 312년에 로마의 '콘스탄티누스 대제 1세(Constantinus I)'가 일생일대의 전쟁을 치르면서 꿨던 꿈일 것이다. 어느 날 그는 아군보다 두 배나 많은 적과 대치한 상황에서 자신이 내일 죽을 것 같은 예감이 들었다. 그러나 그날 밤 꿈에 한 천사가 커다란 십자가와 함께 나타나 '이 십자가 안에서 너는 승리할 것'이라는 계시를 주었다고 한다. 다음 날 아침, 그는 일어나자마자 군단 깃발의 휘장에 십자가를 그려 넣으라고 명령했다. 역사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그는 ..

인공 기억(Artificial Memory)

1999년에 개봉되어 숱한 화제를 낳았던 영화 '매트릭스(Matrix)'에서 주인공 '네오(Neo)'는 오직 기계의 에너지 공급원으로 전락한 인류를 구한다. 네오는 가짜 기억으로 형성된 '매트릭스(Matrix)'를 파괴하고 인류에게 진정한 삶을 되돌려주었다. 매트릭스의 수호자인 '센티널(Sentinel)'이 '네오'를 구석에 몰아넣고 마지막 일격을 가하려는 순간 네오는 현란한 무술을 구사하며 위기에서 탈출한다. 그전에 네오는 목뒤에 있는 플러그에 전선을 연결하여 다양한 무술을 다운로드했기 때문에, 실제로 훈련한 적이 없었음에도 고수처럼 싸울 수 있었다. 또 네오의 파트너인 트리니티는 헬기 조종법을 다운로드해, 한 번도 몰아본 적 없는 헬기를 타고 절체절명의 위기를 모면하였다. 이처럼 미래에는 뇌와 컴퓨터..

서번트 증후군(Savant Syndrome)

0. 목차 초인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서번트 증후군' 서번트 증후군에 관한 기록들 서번트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탁월한 재능을 발휘한다. 아스퍼거 증후군 서번트들의 초인적 능력의 원천은 무엇인가? 서번트들의 두뇌를 스캔해보았다. 우리도 서번트가 될 수 있는가? '사진 같은 기억력'은 망각하는 능력이 부족해서 생긴 것 1. 초인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서번트 증후군' 지금까지 보고된 바에 따르면, 전 세계 70억 인구 중 서번트 증세를 보이는 환자는 약 100명 정도라고 한다. 물론 사고 후 정신 능력이 초인적으로 향상된 사람만 100명이라는 뜻이지, 초인까지는 아니더라도 사고 전보다 능력이 향상된 사람들까지 포함하면 숫자는 훨씬 많아진다. 현재 자폐증 환자 중 약 10%는 '서번트 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

브레인넷(Brain-net)

0. 목차 인터넷을 이용하여 쥐의 두뇌를 연결하였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인간의 두뇌를 연결하였다. 브레인넷을 통한 '미래형 소셜 네트워크' '완전 몰입' 엔터테인먼트 브레인넷 구축하기 인간은 운영체제의 일부가 될 것이다. 영혼 도서관 1. 인터넷을 이용하여 쥐의 두뇌를 연결하였다. 두뇌와 두뇌를 연결하는 '뇌-뇌 인터페이스(Brain to Brain interface)'를 이용하면 '마음의 인터넷'이라고 불리는 '브레인넷(Brain-net)'을 구축할 수 있다. 2013년에 '듀크 대학교(Duke University)'의 '미겔 니코렐리스(Miguel Nicolelis, 1961~)' 박사는 영화 '스타트렉(Star Trek)'의 '생각 공유기(Mind Meld)'를 방불케 하는 장치를 만들어 세상을 놀..

우주 거주지 (Space Colony)

영화 '인터스텔라(Interstellar)'에서는 우주비행사 '조셉 쿠퍼(Joseph Cooper)'가 블랙홀 안으로 들어가 '중력 방정식(Gravity Equation)'을 풀고 인류를 구한다. '우주 거주지(Space Colony)'를 만들어 놓고도 이를 궤도 위로 올릴 방법이 없었는데, '중력 방정식'을 풀어 '우주 거주지(Space Colony)'를 궤도 위로 올릴 수 있게 된 것이다. 인류는 오래전부터 '우주 식민지(Space Colony)'를 꿈꿔왔다. 1900년 대 초 미국의 작가인 '에드워드 에버렛 헤일(Edward Everett Hale, 1822~1909)'은 그의 소설 '더 브릭 문(The Brick Moon)'에서 지구 궤도를 따라 도는 인공위성인 '브릭 문(Brick Moon)' ..

성간 여행(Interstellar Travel)

0. 목차 우주여행의 위험 요소들 인공생태계 구축은 가능한가? 가사상태 살만한 곳 찾기 빛의 속도로는 '우리 은하'를 탈출할 수 없다. 빛의 속도를 넘어서 1. 우주여행의 위험 요소들 '성간(Interstellar)'은 별과 별 사이의 공간을 이르는 말로, '성간 여행'은 이러한 공간을 여행하는 것을 말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미래의 어느날 '성간 여행(Interstellar Travel)'을 할 수 있을까? '태양계(Solar System)', '은하계(Galaxy)' 밖으로 인간을 보내는 일은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인간을 안전하게 지켜줄 수 있는가이다. 성간 여행에는 엄청나게 많은 위험요소가 도사리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물리학 법칙에 따..

화성 테라포밍(Terraforming Mars)

0. 목차 화성 테라포밍을 제안하기까지 화성 유인 탐사 화성에 거주하기 화성 테라포밍하기 테라포밍은 계속 유지될 것인가? 화성을 식민지로 만듦으로써 얻는 '경제적 이득'은 있는가? 1. 화성 테라포밍을 제안하기까지 1-1. 금성 테라포밍을 제안하다. '테라포밍(Terraforming)'은 지구가 아닌 다른 천체를 지구화해서 인간이 살 수 있도록 만드는 작업을 말한다. 원래 테라포밍이라는 개념은 공상과학소설에서만 등장하는 개념이었다. 하지만 1961년에 세계적인 천문학자 '칼 세이건(Carl Sagan, 1934~1996)'이 'The Planet Venus'라는 논문을 통해 금성의 테라포밍에 대한 의견을 진지하게 제안하였다. 금성에 '조류(Algae)'를 심어 대기의 이산화탄소를 유기물로 합성하자는 내용..

우주 엘리베이터 (Space Elevator)

0. 목차'우주 엘리베이터'란?'우주 엘리베이터'의 역사'우주 엘리베이터'의 원리LiftPort Group사가 구상한 우주 엘리베이터달 우주 엘리베이터고려해야 할 문제스페이스 라인(Space Line)1. '우주 엘리베이터'란? '우주 엘리베이터(Space Elevator)'란 적도 지역에 있는 지상에서 고도 3만 6000km에 위치해 있는 '정지 궤도(Geostationary Orbit)'까지 데려다주는 초거대 엘리베이터이다. '우주 엘리베이터(Space Elevator)'는 '궤도 엘리베이터(Orbit Elevator)', '우주 사다리(Space Ladder)', '궤도탑(Orbital tower)', '콩넝쿨 줄기(Space ladders)', '우주교(Space Bridge)' 등의 이름으로 불..

다이슨 구체(Dyson sphere)

'태양(Sun)'은 엄청나게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태양이 방출하는 에너지 가운데 지구에 도달하는 에너지는 22억 분의 1에 지나지 않는다. 그 22억 분의 1에 지나지 않는 태양 에너지 중 일부만으로 지구에 있는 모든 생명체들이 탄생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렇게 탄생한 생명체들의 일부는 지적 생명체로 진화하는 커다란 도약을 이루어 냈다. 그리고 그들은 자신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에너지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처음에 불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산업혁명 이후에는 석탄과 석유를 사용했고, 현재에는 핵분열을 사용하고 있으며, 머지않은 미래에는 핵융합 에너지를 상용화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인류는 우주 식민지 시대를 열고 더 광활한 문명의 번영을 이루기 위해서 더 많은 에너지가..

'기술 영향 평가'란 무엇인가?

0. 목차'기술 영향 평가'는 왜 필요한가?각국의 '기술 영향 평가'연도별 평가 기술1. '기술 영향 평가'는 왜 필요한가? 과학기술은 동전처럼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과학기술은 언제나 사용 목적에 따라 위험과 기회를 동시에 안겨주는 양날의 검으로 작용한다. 과학기술은 제1차 세계대전, 제2차 세계대전처럼 끔찍한 결과를 낳을 수도 있지만, 우리의 삶을 극적으로 풍요롭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열쇠가 되기도 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 인류는 과학기술을 제대로 이해하고 책임있게 사용할 때, 그 가치를 제대로 꽃피울 수 있다는 것 또한 깨달았다. 과학 기술의 양면성에 대해 이해하게 된 인류는 과학기술에 대한 통제가 필요하다는 사실도 깨닫게 됐다. 그리고 과학기술은 인류의 공통의 자산이며, ..

목적의 역사

소설가 '표도르 도스토옙스키(Fyodor Mikhailovich Dostoevskii, 1821~1881)'는 '인간 존재의 미스터리는 그저 살아 있는데 있지 않고 그것을 위해 살아갈 무언가를 찾는데 있다'고 하였다. 하지만 목적 지향적인 성향은 고차원적인 사고를 하는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특성은 아니다. 사실은 아무런 목적도 없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단순한 입자들과 에너지조차 목적 지향적이다. 도대체 이게 무슨 말일까? 0. 목차 목적의 기원 목적의 진화 목적의 저항 목적의 아웃소싱 목적의 정렬 목적의 독립 목적의 존중 1. 목적의 기원 우주의 모든 것이 그렇듯이 목적의 궁극적인 기원 또한 물리학 법칙으로부터 시작된다. 중력의 힘을 잠시 무시하고 보면, 물리 법칙의 기본적인 초점은 '소산(Eman..

인류의 문명은 어느 단계에 도달했을까?

인류의 문명은 어느 단계에 도달해 있을까? 어떤 사람들은 현재의 인류 문명이 극도로 발전했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고 어떤 사람들은 여전히 원시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것은 상대적인 개념이라 어느 의견이 옳거나 틀린 것은 아니다. 하지만 과학계에서는 이런 상대적인 개념에 머물러 있을 수는 없었다. 인류의 미래나 앞으로 만날 수도 있는 외계 문명의 기술발전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좀 더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이 필요해지기 시작한 것이다. 그래서 몇몇 물리학자들과 천문학자들은 문명의 기술발전의 정도를 측정하는 몇 가지 방법들을 고안해내기 시작했다. 그렇게 고안된 몇몇 방법들은 인류의 미래를 객관적으로 전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지표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물론 아주 먼 미래..

진화의 여섯 시기

전설적인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Ray Kurzweil, 1948~)'은 '진화(Evolution)'를 '점점 질서가 높은 패턴을 창조해가는 과정'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그는 이 개념을 구체화하기 위해 진화의 시기를 다음과 같이 여섯 시기로 개념화하였다. 이 개념에 의하면 각각의 시기는 이전의 정보 처리 방법을 이용해 더 높은 단계의 '우회 기법'을 확보한다. 각각의 시기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해 진화를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0. 목차제1기 - 정보가 원자 구조에 저장제2기 - 정보가 DNA에 저장제3기 - 정보가 뇌와 신경 패턴에 저장제4기 - 정보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저장제5기 - 인간과 기계의 융합제6기 - 우주의 지능화1. 제1기 - 정보가 원자 구조에 저장 우리는..

미래 예측은 정말 불가능할까?

0. 목차고대의 사람들은 세상을 이해할 수 없었다.과학적 결정론양자역학의 등장거시적 예측1. 고대의 사람들은 세상을 이해할 수 없었다. 고대의 사람들은 도저히 이 세상을 이해할 수 없었다. 그들은 '재연 재해', '전염병', '출산', '죽음', '추위', '지진', '홍수' 등이 아무런 이유 없이 그리고 아무런 예고 없이 마구잡이로 찾아온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초기 인류는 초자연적인 현상에 의해 운명이 좌우되고 이에 자유롭지 못했다. 이들은 미래를 알 수 없다고 믿을 수밖에 없었다. 심지어 자녀 출산이 성관계와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도 한참 후에 알았으니 말이다. '종교'도 이러한 자연현상에 대한 두려움에 기반해 싹텄을지 모른다. 하지만 이내 인류는 조금씩 자연현상에 규칙성이 있음을 깨닫기 시작했다. 특..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

동료를 신뢰해야 할까? 배반해야 할까? 이런 궁극적인 갈등을 다룬 문제에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라는 문제가 있다. 0. 목차 죄수의 딜레마 죄수의 딜레마를 게임의 상황에 적용 죄수 3명의 딜레마 1. 죄수의 딜레마 나는 은행 강도 용의자 2명 중 한 명으로 체포되었다. 하지만 형사는 불법 무기를 소지하고 있다는 정황상 증거만 찾았을 뿐 결정적인 증거를 찾지 못한 상태이다. 나와 공범자는 자백을 하지 않고 침묵을 지키고 있다. 이대로라면 증거 불충분으로 강도죄로 처벌받지 않아도 되고 불법 무기 소지죄의 처벌만 1년이다. 그래서 형사는 우리에게 자백을 받아내기 위해 2명을 취조실로 따로 불러 다음과 같이 말했다. 둘 다 자백하지 않으면 불법 무기 소지죄로 1년, 둘 다 강도죄를..

'투표'의 역설

우리는 집단에서 어떤 일을 결정할 때 민주적인 방법으로 의사 결정을 하기 위해 '투표(Vote)'를 한다. 많은 경우 투표로 결정된 결과가 자신의 생각과 다르다고 해도 그 결과를 받아들인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투표를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투표의 방식에 따라서 불합리한 결과가 도출될 수도 있다.0. 목차토너먼트 방식의 다수결 방식단기 투표 방식리그전 결선 방식상위 양자 결선 투표 방식순위 평점 방식결론: 결점이 없는 투표 방식은 없다.1. 토너먼트 방식의 다수결 방식 어느 날 친구 3명(A, B, C)이 모여 무엇을 먹을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점심 메뉴의 후보는 햄버거, 떡볶이, 짜장면이었다. 이 세 가지 후보 중에서 다수결로 메뉴를 정하기로 했다. 이들은 먼저 햄버거와 떡볶이..

'합리성'에 관한 역설

0. 목차공리주의의 딜레마애빌린의 역설뉴컴의 역설기펜의 역설합성의 오류1. 공리주의의 딜레마 '공리주의(Utilitarianism)'란 개개인의 '공리(이익, 쾌락, 행복 등)'를 합쳐 그 총합이 최대가 되도록 행동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옳다는 사상이다. 영국의 철학자이자 법학자인 제러미 벤담(Jeremy Bentham)이 주장한 사상이다. 그러나 '공리주의'를 받아들이면, 다음과 같은 딜레마가 발생한다. 공리주의에 따라 아래 예시에서 공리의 총합을 계산해 보자.1-1. 두 사람을 살리기 위해 한 사람을 죽이는 것이 옳을까? 심장병에 걸린 A 씨와 간질환에 걸린 B 씨가 있다고 하자. 두 사람의 생명은 위태롭다. A씨는 뛰어난 연구자로 몇 년만 더 연구하면 난치병을 치료하는 신약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

불시 시험의 패러독스 - 불시 시험은 불가능한가?

당신은 어느 대학에서 논리학 강의를 듣고 있는 대학생이다. 이 강의가 끝날 때쯤 교수가 학생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다음 주 월요일에서 금요일 사이에 불시 시험을 보겠다. 어느 날에 시험을 볼지는 그날 강의가 시작될 때까지 알 수 없다." 당신은 이제 시험공부를 해야한다. 하지만 친구는 '불시 시험은 절대로 이루어질 수 없다.'라고 말한다. 도대체 이게 무슨 말일까? 친구의 주장을 들어보자. 0. 목차 친구의 주장 친구의 주장은 맞았을까? 1. 친구의 주장 만약 목요일까지 불시 시험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금요일에 반드시 시험을 보아야 한다. 그러면 목요일에 강의가 종료된 시점에 다음 날 시험이 이뤄진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렇게 되면 금요일 보는 시험은 불시 시험이 아니다. 따라서 금요일에는 시험이 이루..

'빛(Light)'이란 무엇인가?

0. 목차빛은 전자기파빛의 속도'빛'과 '전기와 자기'의 관계전자기파의 발생투명과 불투명광자(Photon)1. 빛은 전자기파 '빛(Light)'은 '전자기파(Electromagnetic Radiation)'이다. 전자기파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휴대폰 등의 통신에 쓰이는 '라디오파(Radio Wave)', 전자레인지 등에 쓰이는 '마이크로파(Mmicrowave), 물건을 데우는 '적외선(Infrared)',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Visible Rays)', 햇볕에 타는 원인이 되는 '자외선(UV, Ultraviolet Rays)', X선 촬영에 쓰이는 'X선(x-ray)', 방사성 물질에서 나오는 '감마선(Gamma Ray)' 등이 모두 전자기파이다. 이들은 파장이 서로 다른 같은 무리이다. 각 전자기..

블록체인(Blockchain)

최초의 인터넷은 1969년, '미국 국방 고등 연구 계획국(DARPA: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에서 탄생했다. 이후 약 20년이 지나고 1990년에 영국의 과학기술자인 '팀 버너스 리(Timothy John Berners Lee)'가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을 개발해, 일반인들도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수 년 후에는 고속 통신망이 확장되었으며, 인터넷은 곧 현대인의 필수 요소로 자리잡게 되었다. '인터넷(Internet)'은 혁명이었고, 우리의 삶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았다. 그리고 2008년, 인터넷만큼 엄청난 혁신을 일으킬 새로운 기술이 다시 한 번 등장하였다. 바로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이다. 얼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