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Science) 814

간(Liver)

0. 목차 '간'이란? 4개의 관 간의 질병 1. '간'이란? '간(Liver)'은 성인의 경우 무게가 1.2이나 되는 거대한 장기로, 영양소의 변환이나 독을 분해하는 등 여러 가지 화학 반응을 하는 '간세포(Hepatocyte)'로 주로 이루어져 있다. 간세포는 50만 개 정도가 모여 지름 1mm 정도의 '간소엽(Hepatic Lobule)'이라는 집합체를 만든다. 간소엽이 간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며, 간으로 드나드는 4개의 관의 '지류(강의 원줄기로 흘러들거나 원줄기에서 갈려 나온 물줄기)'가 '간소엽'을 지난다. '간소엽(Hepatic Lobule)'이 다시 50만 개 정도가 모이면 '간이(Liver)' 된다. 1-1. '간'은 영양분의 저장고 겸 화학 공장 소장에서 흡수된 당이나 아미노산은 소장..

'체성분 분석기'의 원리

0. 목차 체성분 분석기 의료 기관용 - X선을 이용해 신체 조성을 측정 가정용 - 신체에 미세한 전류를 흘려 신체 조성을 측정 1. 체성분 분석기 가정용 체중계는 이제 체지방률, 근육량, 체수분율 같은 몸의 조성을 측정하는 '체성분 분석기'로 진화하고 있다. 체중도 50g 단위도 측정하고, 방금 마신 물의 무게 등 약간의 변화까지 측정할 수 있는 제품도 나왔다. 그런데 '체성분 분석기' 우리의 몸의 조성과 체중을 측정하는 원리는 무엇일까? '체성분 분석기'는 신체에 미약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얻는 전기 저항값, 체중, 신장, 연령, 성별 그리고 그 외의 통계 데이터를 사용해서 추정하는 것이다. 체중은 체중계의 모퉁이에 설치된 '무게 센서'를 이용해서 측정한다. 1-1. BMI 내장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

코딩의 미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교육국장인 '안드레아스 슐라이허(Andreas Schleicher, 1964~)'는 2019년 '세계 교육혁신회의(WISE; World Innovation Summit for Education)'의 연설에서 "코딩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은 광범위한 교육 문제의 일부가 되고 있다. 그것을 깊게 배우게 하면 큰 실수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코딩은 단지 우리 시대의 기술이고, 지금 세 살 아이가 코딩을 배우면 그들이 사회에 나갈 때쯤에는 코딩이 무엇인지조차 잊게 될 것이며 곧 구식이 될 것이다. 코딩 기술은 아주 빠른 시간 안에 쓸모없어질 것"이라고 설파했다. 사실 코딩은 인공지능이 이미 빠르게 대체해나가고 있다. 그래서 이런 상황에서는 소프트웨어 기술을 습득하는 것보다..

호버보드(Hoverboard)

영화 '백 투 더 퓨처 2(1989)'에서는 바퀴 없이 공중에 뜬 채로 달리는 스케이트보드인 '호버보드(Hoverbroard)'가 나온다. 물론 이 영화에서 나오는 장면은 특수 촬영과 투명 와이어 그리고 시각효과로 만들어낸 것이다. 그런데 정말 호버보드를 만드는 것이 과학적으로 가능할까? 호버보드를 만드는 일이 물리학적으로 가능한 것일까? 실제로 호버보드를 만들기 위한 시도가 많이 있었고 어느 정도 성과를 낸 적이 있었다. 하지만 우리가 원하는 수준의 호버보드는 아닌 것 같다. 그렇다면 현실 세계의 호버보드는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 걸까? 현실 세계에서의 호버보드는 크게 두 가지 종류의 '호버보드(Hoverboard)'가 있다. 바로 팬으로 공기쿠션을 만들어 떠다니는 '공기 부양선'과 표면에서 자력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