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Science) 814

빛의 속도는 어떻게 측정했을까?

0. 목차 빛의 속력은 초속 약 30만 km 갈릴레이가 생각한 광속 측정법 '올라우스 뢰메르'의 광속 측정법 '아르망 피조'의 광속 측정법 이론적으로 광속이 유도되다. '레온 푸코'의 회전 거울을 사용한 광속 측정법 광속 측정의 정밀도가 점점 더 정확해졌다. 광속의 값은 측정값에서 정의값으로 바뀌었다. 1. 빛의 속력은 초속 약 30만 km 어두운 방 안에서 전등 스위치를 켜면, 순식간에 방 안이 밝아진다. 하지만 전구가 밝아진 것과 동시에 방이 밝아진 것은 아니다. 전구에서 나온 빛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난 후에야 방의 구석까지 도달한다. 다만, 빛의 속력은 우리의 일상적인 감각과 비교하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빠르기 때문에, 전등 스위치를 켠 순간에 방이 밝아진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그러면 빛이 ..

숫자 '0'이란 무엇인가?

0. 목차 '0'이란 무엇인가? 고대 문명에서의 '0' 수로서의 0 수학에서의 0 자연에서의 0 1. '0'이란 무엇인가? 1-1. 0은 '수(Number)'일까? 0은 '수(Number)'일까? 옛날 사람들 특히, 유럽 사람들은 이것에 대해 많이 고민했다. 수라는 것은 애초부터 사물의 '개수'를 세기 위해 생겨난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0개의 사과'라고는 말하지 않는다. 이런 측면에서 1~9까지의 다른 수와 비교해서, 0은 확실히 특별한 존재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0은 오랫동안 '수(number)'로 간주되지 않았다. 여기에서 말하는 '수'란 '개수'라는 생각에 얽매이지 않는 개념으로, 덧셈이나 곱셈과 같은 연산의 대상이 되는 것을 가리킨다. '개수'에 얽매이면, 0개 따위는 의미가 없으므로 0은 ..

[과학자] 조지 가모 - 빅뱅 이론의 창시자

'조지 가모(George Gamow, 1904~1968)'는 '팽창 우주론(Theory of Expanding Universe)'을 거슬러 올라가, 초기의 우주를 설명하는 '빅뱅 이론(Big Bang Theory)'의 기초를 다졌다. '빅뱅 이론'은 대폭발에 의해 우리의 우주가 생겼다는 이론이며, 빅뱅 이론은 지금까지도 그 내용이 올바르다는 사실이 계속 확인되고 있다. 또 '조지 가모'는 원자핵에 양자 역학을 적용하는 연구도 했다. 과학 지식을 일반인이 알기 쉽게 해설한 책을 집필한 작가로도 알려져 있다. 0. 기본 데이터 이름: 조지 가모(George Gamow) 출생-사망: 1904년 3월 4일 ~ 1968년 8월 19일 출생지: 우크라이나(Ukraine) 0-1. 목차 우주 팽창이라는 개념에 사로잡..

[과학자] 얀 오르트 - 우리 은하의 구조를 파악하다.

'얀 오르트(Jan Hendrik Oort, 1990~1992)'는 빛의 스펙트럼을 이용해 우리 은하의 공전 주기와 전체 질량을 계산했다. 또 별 사이에 있는 수소 원자가 내는 전파를 이용해서, 우리 은하가 나선 구조임을 밝혀냈다. 그가 개척한 '전파 천문학(Radio Astronomy)'은 그 후 크게 발전해, 현재에는 세계 각지에 '전파 망원경(Radio Telescope)'이 설치되어 많은 연구 업적을 쌓고 있다. 0. 목차 '잰스키'의 '공전 연구' 리버의 연구 우리은하의 회전 속도 수소의 전파로 '성간 물질의 운동'을 알아냈다. 오르트 구름 지구상의 여러 장소에 전파 망원경이 설치되었다. 1. '잰스키'의 '공전 연구' 은하에서 오는 '전파(radio wave)'를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미국의 ..

[과학자] 아서 에딩턴 - 항성의 내부 구조와 진화 연구

영국의 천문학자 '아서 에딩턴(Arthur Eddington, 1882~1944)'은 '복사 평형(radiation balance)'에 근거한 '별의 내부 구조론(internal tectonics of stars)'을 수립해 '맥동 변광성(Pulsating Variable Star)'과 '백색 왜성(White Dwarf)'에 대해 이론적으로 연구했다. 또 '일반 상대성 이론'의 이론의 의의를 재빨리 인식하고, '일식(Solar Eclipse)'이 일어났을 때 그 이론이 올바르다는 사실도 증명했다. 0. 기본 데이터 이름: '아서 에딩턴(Arthur Eddington)' 또는 '아서 스탠리 에딩턴(Arthur Stanley Eddington)' 출생-사망: 1882년 12월 28일 ~ 1944년 11월 2..

[과학자] 에드윈 허블 - 우주의 팽창을 밝혀낸 천문학자

태양계가 속한 우리 은하 밖에도 은하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사람은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Edwin Hubble)'이다. 또한 그가 유도해낸 '허블의 법칙(Hubble's law)'은 우주의 팽창을 시사했다. 이는 당시의 우주관을 크게 바꾼 획기적인 발견이었다. 0. 기본 데이터 이름: 에드윈 허블 (Edwin Hubble, Edwin Powell Hubble) 출생-사망: 1889년 11월 20일 ~ 1953년 9월 28일 국적: 미국 출생지: 미국 0-1. 목차 에드윈 허블 성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다. 우리은하 밖의 은하를 발견하다. 우주는 팽창하고 있다. 허블의 계산도 현재는 크게 수정되었다. 1. 에드윈 허블 1-1. 처음에는 변호사가 되기위해 법학을 공부했다. 1889년에 미국 미주..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 - 근대 과학의 아버지

'갈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 1564~1642)'는 경사면 운동과 '자유 낙하 운동(정지되어 있던 물체가 중력을 받아 속력이 커지면서 지면을 향하여 떨어지는 운동)'에 대해 실험을 거듭해, 중요한 법칙을 발견하였다. 이처럼 갈릴레이는 실험이 가진 중요한 의미를 일찍부터 알아차리고, 몸소 그것을 실행한 과학자였다. 또 자신이 만든 망원경으로 달, 태양, 목성의 위성 등을 관측했으며, 그 관측 결과를 통해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의 '지동설(Heliocentric)'을 끝까지 지지했다. 0. 기본 데이터 이름: 갈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 출생-사망: 1564년 2월 15일 ~ 1532년 1월 8일 국적: 이탈리아 출생지: 이탈..

[과학자] 요하네스 케플러 - 케플러의 법칙

스승 '튀코 브라헤(Tycho Brahe, 1546~1601)'가 남긴 화성 관측 기록을 조사한 '요하네스 케플러(Johannes Kepler, 1571~1630)'는 모든 행성의 운동을 지배하는 세 가지 기본 법칙인 '케플러의 법칙(Kepler's law)'을 찾아냈다. 그 후 이 법칙을 바탕으로 한 최초의 '행성 위치표'를 출판했으며, '아이작 뉴턴(Isaac Newton, 1642~1727)'에 앞서 근대 천문학의 기초를 쌓는데 기여했다. 우주의 중심에 중심에 있는 것은 지구가 아니라 태양이라는 '지동설(Heliocentric theory)'을 최초로 제안한 사람은 폴란드의 천문학자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Nicolaj Kopernikus, 1473~1543)'였다. 그리고 코페르니쿠스의 학설을 ..

[과학자]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 지동설의 아버지

고대에는 지구 중심의 우주관인 '천동설'이 확립되어 있었다. 하지만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 1473~1543)'는 '천동설'에 의심을 품고 '지동설'을 제창하였다. 그는 지구 중심의 우주관을 바꾸어 놓았을 뿐 아니라, 자기중심적인 가치관도 바꾸어 중세에서 근대로 향하는 '정신 혁명'을 불러왔다. 0. 기본 데이터 이름: 니콜라스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 출생-사망: 1473년 2월 19일 ~ 1532년 5월 24일 국적: 폴란드 출생지: 폴란드 0-1. 목차 고대에는 지구 중심의 우주관이 확립되어 있었다. 지동설의 등장 지동설을 발표하기까지 코페르니쿠스의 발상은 당시 사람들의 가치관에 큰 영향을 끼쳤다. 비하인드 스토리 1. 고대에는 지구 ..

'은하'의 탄생과 진화

0. 목차 대규모 구조 허블의 분류법(Hubble classification) 은하의 구조 다양한 은하와 각각의 특징 원시 은하 은하의 다양성 형성 '초기 은하의 탄생' 메커니즘 규명의 열쇠 은하 탄생의 규명에 도전하는 국제 공동 프로젝트 1. 대규모 구조 우주에는 수천억 개 정도의 항성이 모인 '은하'가 있고, 은하가 수백 개 정도 모인 '은하단(Galaxy Cluster)'이 있고, 그리고 더 무수히 많은 은하가 이어진 '대규모 구조(Large Scale Structure)'가 있다. 이것이 우리 '우주의 구조'다. 1000만 광년의 지름 안에 50개 이상의 은하가 집단을 이루고 있으면, 그것을 '은하단'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 은하단이 모여 '초은하단'을 이룬다. '초은하단'은 실 모양이나 판 모..

우주론(Cosmology)

0. 목차 우주의 진화 우주론과 '일반 상대성 이론' 빅뱅 이론 우주와 '양자론' 우주의 탄생 1. 우주의 진화 우주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현재의 모습이 되었는지는 인류의 오래된 의문이다. 이 궁극의 의문에 대한 답을 찾아내기 위해, 사람들은 예로부터 시행착오를 거듭해왔다. 20세기에 들어와서는 '우주는 팽창하고 있다'라는 사실을 밝혀냈으며, 더욱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우주는 '무(無)'에서 탄생했다고 생각하는 '우주 탄생론'까지 나왔다. '우주론(Cosmology)'은 20세기에 놀라운 발전을 이룩하였다. 20세기에 이룩한 이 우주론의 성과를 한 마디로 말하면 '우주는 진화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는 것이다. 생물이 진화해 왔다는 사실은 '찰스 다윈(Charles Robert Darwin..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

2021년 말에 발사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은 사상 최대의 천체 망원경이다. 미국의 우주 개발을 주도해 온 NASA의 2대 국장 '제임스 E. 웨브(James E. Webb, 1906~1992)'의 이름을 따서 그 이름을 지었다. '허블 우주 망원경'과 '허셜 우주 망원경'에 이어 다음 세대를 담당할 주력 우주 망원경으로서, 천문학의 발견에 기대가 쏠리고 있다. 새로운 우주 망원경의 목적과 관측 장치, 제작부터 발사까지의 이야기 등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에 대해서 알아보자. 0. 목차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주경'은 18장의 분할 거울 통합 과학 기기 모듈(ISIM) 태양의 열로부터 망원경을 지키는 '차양' 발사와 관측 준비 갤러리 1. 제임스 ..

'초신성'과 '극초신성'

0. 목차'초신성'이란?역사에 기록된 초신성 (20세기까지)현대의 초신성 관측항성이 탄생하는 메커니즘항성이 폭발하는 메커니즘'어두운 초신성'과 '극초신성'항성의 한계 질량극초신성(Hypernova)중성미자 천문학1. '초신성'이란?1-1. '신성'이란?밤 '초경(初更)'에 '객성(客星)'이 '미수(尾宿)'의 10°의 위치에 있었는데, 북극성과는 110°의 위치였다. 형체는 '세성(歲星)'보다 작고 황적색이었으며, 빛이 반짝이듯 보였다. 위의 내용은 '조선왕조실록'에 나오는 1604년 음력 9월 21의 '초신성(Supernova)' 관측 기록이다. 위에서 말한 '객성(客星)'은 '일정한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별'을 뜻하며, 요즘 말하는 초신성, 신성, 변광성, 혜성 등을 포함한다. ..

블랙홀(Black Hole)

0. 목차 블랙홀, 화이트홀, 웜홀 블랙홀의 존재를 어떻게 알게 되었는가? 항성 질량 블랙홀(Stellar-Mass Black Hole) 거대 질량 블랙홀(Super Massive Black Hole) 블랙홀 속으로 블랙홀 증발(Black-Hole Evaporation) 화이트홀(White hole) 웜홀(Worm hole) 블랙홀 발전 블랙홀 갤러리 1. 블랙홀, 화이트홀, 웜홀 '블랙홀'은 우주에서 가장 불가사의하고 흥미로운 천체이다. 그리고 '블랙홀'과 동시에 예언된 '화이트홀'과 '웜홀'도 기존의 상식을 뛰어넘는 존재이다. 먼저 여기에서는 '블랙홀(Black Hole)', '화이트홀(White Hole)', '웜홀(Worm Hole)'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요약하고 소개한다. 1-1. 블랙홀 '블랙..

'항성'의 일생

일반적으로 '별'이라고 하는 경우, 항성 이외에도 행성이나 소행성이 포함된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특별히 말하지 않는 한, 항성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0. 목차 항성 항성의 일생 항성의 탄생 항성의 나이 항성의 성장 별이 늙으면 부풀어서 거성이 된다. 행성상 성운 백색 왜성 초신성 폭발 중성자별 블랙홀 갤러리 1. 항성 1-1. 항성의 HR도 미국의 천문학자 '헨리 러셀(Henry Norris Russell, 1877~1957)'과 덴마크의 천문학자 '에즈나 헤르츠스프룽(Ejnar Hertzsprung, 1873~1967)'은 별의 밝기를 의미하는 '절대 등급'과 온도를 의미하는 '색(Color)'의 관계에 주목했다. 그리고 밝기를 세로축으로, 색을 가로축으로 하여, 거기에 별들을 나열했다...

비만은 유전일까?

0. 목차 비만의 기준 지방을 저장하는 이유 지방 세포의 두 종류 인슐린에 의해 당이 지방으로 저장된다. 지방 세포는 최대의 내분비 기관 절약 유전자 당뇨병과 유전의 관계 후천적으로 획득한 성질이 유전되었다. 1. 비만의 기준 비만은 몸속에 지방이 과잉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지표로는 'BMI(Body Mass Index)'가 사용된다. 대한 비만학회는 BMI 23 이상을 과체중, 25 이상을 비만으로 규정하며, 허리둘레는 남성 90cm, 여성 85cm를 기준으로 복부비만을 판정하고 있다. 아시아인이 백인이나 흑인에 비해, 비만 유발 질병에 더 취약하기에 BMI 기준을 세계보건기구보다 훨씬 엄격하게 잡았다. 그러면 BMI 25라는 수치는 어떻게 정해졌을까? 비만에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을 합쳐 '대사..

비만은 왜 건강에 나쁠까?

0. 목차 '지방세포'는 단순한 창고가 아니라, 몸속 최대의 내분비 기관 동맥 경화 심장병 뇌졸증 당뇨병 암 대사 증후군 1. '지방세포'는 단순한 창고가 아니라, 몸속 최대의 내분비 기관 비만이 건강에 좋지 않다는 사실은 모두가 알 것이다. 그러면 '비만이 되는 것(백색 지방 세포에 지방을 많이 저장하는 것)'이 질병으로 이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백색 지방'이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 '백색 지방 세포(White Adipose Tissue)'는 단순히 지방을 저장하고 있는 세포가 아니다. 과학자들 사이에서도 30년 정도 전까지는 그렇게 알고 있었지만, 실제로 '백색 지방 세포'는 매우 분주하게 움직이는 공장과도 같다. '백색 지방 세포'에서는 몸에 영향..

행동 유전학 - 유전일까? 환경일까?

현재의 우리를 만든 원인은 주로 유전일까? 아니면 환경일까? 만약 전자면, 우리가 어떤 스타일로 성장할지, 어떤 인간이 될지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셈이다. 반면, 후자라고 하면 우리는 환경이나 교육에 의해 어떻게든 바뀌어 성장할 수 있다. 그래서 이를 알아보기 위해 '행동 유전학(behavioral genetica)'이라는 분야에서는 일란성 쌍둥이와 이란성 쌍둥이를 비교함으로써 사람이 유전이나 환경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는지를 조사하고 있다. 0. 목차 개성과 유전자 행동 유전학 환경 vs 유전 얼마나 타고나는가? 1. 개성과 유전자 우리는 한 사람 한사람 독자적인 DNA를 가지고 있고, 그 DNA에는 우리의 몸을 어떻게 만드는지를 결정하는 설계도인 '유전 정보'가 적혀 있다. DNA 중에서 특징을 정하..

컨스털레이션 계획(Project Constellation)

0. 목차미국과 소련의 냉전 체제컨스털레이션 계획오바마 정부가 '컨스털레이션 계획'을 취소시켰다.1. 미국과 소련의 냉전 체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 사이에 '냉전 체제(cold war)'가 계속되었다. '냉전 체제(Cold War)'란 양극체제하에서 사회주의 진영과 자본주의 진영 간의 잠재적인 권력투쟁를 말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두 나라는 세계에 힘을 과시하기 위해, 우주개발을 하기 시작했다.1-1. 인공위성 경쟁에서 소련이 앞섰다. 먼저 그 막을 연 것은, 1957년 10월 4일 소련이 발사한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Sputnik 1)'였다. 스푸트니크는 지름이 겨우 58cm에 불과했지만, 스푸트니크 1호의 성공은 미국에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 그리고 같은 해 11월에, ..

무인 달 탐사선 '가구야(SELENE)'

0. 목차 달 탐사선 '가구야(SELENE)' '가구야(SELENE)'의 목표 가구야의 발사부터 관측까지 가구야의 성과 1. 달 탐사선 '가구야(SELENE)' '가구야(SELENE)'는 2007년 9월에 발사되어 2009년 6월까지 임무를 완수한 일본의 무인 달 탐사선이다. 가구야는 달의 기원과 진화 등 여전히 남아있는 달의 수수께끼를 규명하기 위해, '아폴로 계획(Apollo Project)' 이후 최대 규모로 탐사 활동을 벌였다. 그 결과, 지하 구조와 중력 이상 등 새로운 연구 성과가 발표되었다. '가구야'의 큰 특징 가운데 하나는 원소, 암석, 광물의 분포 등을 달 전체에 걸쳐 상세하게 관측한 일이다. '가구야' 이전에 달 전체를 상세하게 관측한 사례는 없다. 예컨대, 1960~1970년대에 아..

달(Moon)

0. 기본 데이터지구와 달의 평균 거리: 38만 4400km공전 궤도: 27.32일자전 궤도: 27.32일적도 반지름: 1738km질량(지구=1): 0.012300평균 밀도: 3340kg/m3이심률: 0.0090자전축 기울기 (황도면 기준): 1.5424°자전축 기울기 (궤도면 기준): 6.687°0-1. 목차지구의 유일한 위성과학은 달의 관측에서부터 시작되었다.달의 차오름과 이지러짐달의 기원달의 표면조석 (Tide)일식과 월식1. 지구의 유일한 위성 상당수의 '행성(Planet)'은 그 주위에 '위성(Satellite)'을 가지고 있다. 태양계의 경우 '위성이 존재하지 않는 행성'은 지구보다 안쪽 궤도를 돌고 있는 '수성(Mercury)'과 '금성(Venus)' 뿐이다. 한편, 지구보다 바깥쪽 궤도를 ..

'소천체' 탐사

우리의 태양계에는 '항성(Star)'이 1개, '행성(Planet)'이 1개, '왜소행성(Dwarf Planet)'이 6개, '위성(Natural Satellite)'이 수백 개, 그리고 셀 수 없이 많은 '소행성(Asteroid)'이나 '해왕성 궤도 통과 천체', '혜성(Comet)', '그 밖의 소천체'가 있다. 최근에는 이런 소천체에 대한 탐사들도 이뤄지고 있다. '소천체'의 탐사 목적은 무엇이고, 왜 작은 천체를 탐사하는 걸까? 우리는 작은 천체에서 어떤 정보를 얻을 수 있을까? 0. 목차 위성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소천체에서만 얻을 수 있는 정보 소천체의 연구 1. 위성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위성은 모두 같은 방식으로 탄생한 것이 아니다. 위성이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대해서는 크게 3가지 설이..

명왕성(Pluto) -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한 '왜소 행성'

0. 목차 기본 데이터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한 '왜소 행성' 명왕성의 위성 명왕성은 어떻게 행성 지위를 박탈 당했는가? 1. 기본 데이터 궤도 반지름(천문단위 지구=1): 39.93 공전 주기: 248년 자전 주기: 6.4일 적도 반지름: 1185km 질량(지구=1): 0.0019 평균 밀도: 1852kg/m3 위성 수: 5개 이상 이심률: 0.249 궤도 경사각도: 17.145 2.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한 '왜소 행성' '명왕성은 오랫동안 태양계의 행성 중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행성으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2006년에 새로 정해진 행성의 정의에 따라, 명왕성은 '왜소 행성(Dwarf Planet)'이라는 새로운 범주로 분류되었다. 태양에서 명왕성의 거리는 평균 약 59억 km나 된다. 나아가, 명왕성의..

해왕성(Neptune) - 태양계의 여덟번째 행성

0. 목차 기본 데이터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 해왕성의 위성 1. 기본 데이터 궤도 반지름(천문단위 지구=1): 30.110 공전 주기: 164.77년 자전 주기: 0.671일 적도 반지름: 24764km (지구의 약 3.88배) 질량: 102.420×1024kg (지구의 약 17.15배) 평균 밀도: 1640kg/m3 적도 중력: 약 10.9m/s2 (지구의 약 1.11배) 위성 수: 14개 이상 이심률: 0.0090 궤도 경사각도: 1.770 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약 45억 445만 km (지구의 약 30.1104배) 발견 시기: 1846년 2.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 해왕성은 명왕성이 행성 분류에서 제외된 이후,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으로 인정되고 있는 거대 얼음 행성이다. 반지름은 약 25000k..

천왕성(Uranus) - 태양계의 일곱번째 행성

0. 목차'천왕성'의 기본 데이터청록색의 거대 얼음 행성 '천왕성'천왕성의 고리지금까지 천왕성에 근접한 우주선은 '보이저 2호' 뿐이다.천왕성의 위성1. '천왕성'의 기본 데이터궤도 반지름(천문단위 지구=1): 19.218공전 주기: 84.0223년자전 주기: 0.718일적도 반지름: 25559km (지구의 약 4.01배)질량: 86.833×1024kg (지구의 약 14.54배)평균 밀도: 1270kg/m3적도 중력: 약 8.7m/s2 (지구의 약 0.89배)위성 수: 27이심률: 0.0463궤도 경사각도: 0.773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약 28억 7503만 km (지구의 약 19.2184배)발견 시기: 1781년2. 청록색의 거대 얼음 행성 '천왕성' ..

토성(Saturn) - 태양계의 여섯번째 행성

0. 목차 기본 데이터 아름다운 고리를 가진 거대 가스 행성 토성의 고리 지구에서의 토성 관측 토성의 위성 관측선 1. 기본 데이터 궤도 반지름(천문단위 지구=1): 9.555 공전 주기: 29.4578년 자전 주기: 0.444일 적도 반지름: 60268km (지구의 약 9.45배) 질량: 568.296×1024(지구의 약 95.16배) 평균 밀도: 690kg/m3 위성 수: 83개 이상 이심률: 0.0555 궤도 경사각도: 2.489 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약 14억 2939km (지구의 약 9.5549배) 2. 아름다운 고리를 가진 거대 가스 행성 '토성(Saturn)'은 '목성(Jupiter)'과 마찬가지로 거대 가스 행성이다. 내부 구조도 목성과 아주 비슷하다. 중심 부분의 핵은 암석과 얼음으..

목성(Jupiter) - 태양계의 다섯번째 행성

0. 목차목성의 기본 데이터목성(Jupiter)목성의 표면슬링샷 효과 (Slingshot Effect)목성의 위성역대 목성 탐사선1. 목성의 기본 데이터궤도 반지름(천문단위 지구=1): 5.203공전 주기: 11.8622일자전 주기: 0.414일적도 반지름: 71492km (지구의 약 11.21배)질량: 약 1898.081×1024 (지구의 약 317.83배)적도 중력: 약 23.2m/s2평균 밀도: 1330kg/m3위성 수: 79개 이상이심률: 0.0485궤도 경사각도: 1.303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약 7억 7830km (지구의 약 5.2026배)2. 목성(Jupiter) '목성(Jupiter)'은 반지름이 지구의 약 11배, 질량도 지구의 318배나 되는 행성이다. 목성은 지구처럼 딱딱한 지표..

화성(Mars) - 태양계의 네번째 행성

0. 목차 기본 데이터 화성의 환경 화성의 물과 얼음 화성에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 지구로부터의 화성 관측 화성의 위성 포보스와 데이모스에 사람을 보내면 좋은 점 1. 기본 데이터 궤도 반지름(천문단위 지구=1): 1.524 공전 주기: 686.98일 자전 주기: 1.026일 (24시간 37분 22초) 적도 반지름: 3396km (지구의 약 0.38배) 질량: 0.641×1024kg (지구의 약 0.1074배) 평균 밀도: 3930kg/m3 적도 중력: 약 3.7m/s2 (지구의 약 0.38배) 위성 수: 2 이심률: 0.0934 궤도 경사각도: 1.849 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약 2억 2794만 km (지구의 약 1.523배) 2. 화성의 환경 화성은 지구 바깥쪽에 위치한 행성이다. 지구에서도 붉게..

금성(Venus) - 태양계의 두번째 행성

0. 목차 기본 데이터 금성 금성의 환경 지구에서의 관측 역대 금성 탐사선 1. 기본 데이터 궤도 반지름(천문단위 지구=1): 0.723 공전 주기: 224.70일 자전 주기: 243.02일 (역회전) 적도 반지름: 6052km (지구의 약 0.8150배) 질량: 약 4.867×1024 (지구의 약 0.815배) 평균 밀도: 5240kg/m3 위성 수: 0 이심률: 0.0068 궤도 경사각도: 3.395 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약 1억 820만 km (지구의 약 0.7233배) 2. 금성 서양에서는 금성의 이름을 로마 신화에 나오는 미의 여신인 이름을 따서 '비너스(Venus)'라고 부른다. 비너스는 그리스 신화에서는 '아프로디테'라고 불린다. 2-1. 금성은 다른 행성들과 반대 방향으로 자전한다. ..

수성(Mercury) - 태양계의 첫번째 행성

0. 목차 기본데이터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 수성의 표면 수성의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 수성의 거대한 핵은 어떻게 만들어 졌는가? 역대 수성 탐사선 1. 기본 데이터 궤도 반지름(천문단위 지구=1): 0.387 공전 주기: 87.97일 자전 주기: 58.65일 적도 반지름: 2440km (지구의 약 0.38배) 질량: 0.339×1024(지구의 약 0.05527배) 평균 밀도: 5430kg/m3 위성 수: 0 이심률: 0.2056 궤도 경사각도: 7.005 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약 5791만km (지구의 약 0.3781배) 2.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 수성은 태양계에 있는 8개의 행성 중에서 가장 작지만, 평균 밀도는 1m3당 5430kg으로 지구에 이어 둘째이다. 수성의 중력은 지구의 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