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Science) 814

소행성 채굴(Asteroid Mining)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 벨트(Asteroid Belt)'를 '새로운 골드러시의 진원지'로 주목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이미 몇몇 사업가들이 소행성 탐사에 대한 관심을 적극적으로 표명했고, '미국 항공우주국(NASA: National Aeronautic and Space Administration)'은 소행성을 지구로 가져오는 프로젝트에 재정적 지원을 약속했다.0. 목차'소행성 벨트'의 기원소행성 채굴은 수지 타산이 맞는가?소행성 궤도 변경 임무(ARM)소행성 채굴을 지원하는 영구기지 건설하기1. '소행성 벨트'의 기원 '소행성 채굴(Asteroid mining)'의 채산성을 깊이 따져보기 전에, '유성(Meteor)', '운석(Meteorite)', '소행성(Asteroid)', '혜성(Co..

'달' 개발

0. 목차 NASA의 달 탐사 계획 달에 있는 자원 우주조약(Outer Space Treaty) 달에서 영구 거주하기 달에서 걷기 1. NASA의 달 탐사 계획 NASA는 1990년대부터 뚜렷한 목표를 설정하지 못한 채 우유부단하고 혼란스러운 정책으로 헛발질을 연발했다. 그러다가 2015년 10월 8월에 드디어 사람을 화성에 보낸다는 확실한 장기 목표와 함께, 한동안 외면해왔던 달 탐사를 재개하기로 결정했다. 달은 화성으로 가는 징검다리로 이용될 예정이다. 이로써 NASA는 오랜 방황을 끝내고 뚜렷한 목표를 갖게 되었다. 이제 목표와 계획을 세웠으니 실천하는 일만 남았다. NASA는 'SLS/오라이언 로켓 시스템'으로 2020년대 중반에 사람을 태우고 달 근접 비행을 시도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달로 다시..

로켓의 역사

1899년 10월 19일, 17살 먹은 한 소년이 벚나무에 올라 상념에 잠겼다가, 과학의 역사를 바꿀 위대한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이 소년은 '하버트 조지 웰스(Herbert George Wells, 1866~1946)'의 소설 '우주전쟁(War of the World)'에 등장하는 우주비행체, 즉 '로켓(Roket)'에 완전히 매료되어 있었다. 그날 이후로 이 소년은 로켓을 만드는 데 남은 인생을 고스란히 바쳤고, 해마다 10월 19일이 되면 마음을 다잡으면서 최초의 아이디어를 떠올렸던 그날을 조용히 자축했다. 이 소년의 이름은 훗날 '로켓의 아버지'로 역사에 남게 될 '로버트 고나드(Robert Goddard, 1882~1945)'다. 그는 액체연료로 작동되는 다단계 로켓을 최초로 개발하여 우주개발사..

비글호 항해기(The Voyage of the Beagle)

1859년에 '찰스 로버트 다윈(Charles Robert Darwin, 1809~1882)'이 쓴 '종의 기원'이라는 책이 발간되었다. 이 책은 생물이 진화하고 있음을 세상에 처음으로 알린 책이다. 그때까지 사람들은 성서의 내용을 믿고 있었던 유럽에서는, 신이 창조한 종은 변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었다. 이런 시대적 배경에서 '종의 기원'은 세상에 엄청난 충격을 불러일으켰다. '찰스 다윈'은 22세 때 영국 군함 '비글호(The Beagle)'에 승선해 5년에 걸친 항해를 경험하면서, '남아메리카'와 '갈라파고스 제도(Galapagos Islands)'를 비롯한 세계 각지에서 꾸준히 다양한 자료를 수집했다. '찰스 다윈'은 수집과 동시에 언제나 그 자료에 대해 주의 깊게 메모하고 의문을 풀어 나갔다. ..

MBTI는 유사과학인가?

0. 목차 우리가 알고 있는 16personalities는 사실 MBTI검사가 아니다. MBTI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MBTI의 16가지 유형 MBTI에 대한 비판 MBTI의 몇 가지 문제 그래서 MBTI는 유사과학인가? '빅 파이브(Big Five)' 이론 1. 우리가 알고 있는 16personalities는 사실 MBTI검사가 아니다. '구글(Google)'에 MBTI라고 검색하면 첫 번째에 '무료 성격유형검사 - 16Personalities'라는 사이트가 뜬다. 테스트를 시작하면 '동의' 에서 '비동의'까지 7단계의 답변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60개의 답변을 다 하고 나면 결과가 16가시 성격 유형 중 당신이 해당하는 성격 유형을 알려준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우리가 모두 MBTI 검사라..

메타인지(Metacognition)

0. 목차 '메타인지'란 무엇인가? 메타인지 능력은 사람에게만 있는가? 어른이 아이보다 더 정확한 메타인지를 가지고 있는가? 메타인지의 오류 1. '메타인지'란 무엇인가? '메타인지(Metacognition)'는 쉽게 말해 거울을 통해 자기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는 것처럼, 자신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능력을 말한다. 즉 '메타인지'는 자신의 생각과 기억을 점검하는 과정이다. '메타인지'는 '학습'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그런데 문제는 메타인지가 항상 정확하지 않다는 점이다. '메타인지'는 현재 자신의 상태를 점검하는 능력인 반면, 학습은 미래의 상태와 관련이 있다. 그 결과, 메타인지는 종종 착각을 일으키며 학습을 방해한다. 스스로 학습하는 데 필수적인 메타인지가 동시에 학습을..

인지 오류(Cognitive Error)

2017년도 2월의 한 신문 기사는 한국인 10명 중 9명이 보고 싶은 대로 보고 근거 없이 생각하는 '인지 오류의 습관'을 갖고 있다는 내용을 실었다. 또 이러한 인지 오류들로 인해, 한국인이 일상생활을 넘어 인생 자체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편견에 사로잡혀 있다고 했다. 그렇다면 이 기사에서는 도대체 어떤 이유에서 한국인의 10명 중 9명이 '인지 오류의 습관'을 가지고 있다고 한 걸까? 0. 목차 인지 오류의 습관 '인지 오류'는 매우 일반적이다. '인지 오류'가 일어나는 이유 '사회적 인지 편향'의 양면성 한국인의 인지 습관 1. 인지 오류의 습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2016년 말에 출시한 '한국 국민의 건강행태와 정신적 습관의 현황과 정책대응'에서는 남녀 1만 명을 대상으로 '인지 오류'에 관한 ..

'난자'의 노화

현대에는 여성의 사회 진출이 늘어나면서, 여성의 생활 양식이 다양해지고 있다.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여성의 활약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그런 한편, 일하는 여성이 임신과 출산 적령기를 희생시킬 수밖에 없다는 사회적인 문제도 생기고 있다. 여성이 임신할 수 있는 확률은 10대 후반부터 서서히 낮아지기 시작해 30대 후반부터는 급속히 낮아진다고 한다. 고령 임신을 어렵게 하는 원인 중 하나는 여성의 몸속에 있는 '난자의 노화'이다. 0. 목차 임신의 메커니즘 태어나기 전에 일생분의 난자가 만들어진다. 난자가 노화되면 이상이 생기는 이유 '노화된 난자'로 임신 성공시키기 1. 임신의 메커니즘 난자는 여성 골반의 좌우에 위치한 '난소(Ovary)'에 많이 존재한다. 성장을 시작하기 전의 난자들은 주위를 특수..

'신생아'의 생존 전략

'태아(뱃속의 아기)'는 어른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살아간다. '태아'는 모체로부터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돌려보낸다. 그리고 당이나 '아미노산(Amino Acid)'등의 영양소도 모체로부터 받아들이고, 노폐물을 엄마에게 돌려보낸다. 태아와 모체가 물질을 주고받는 중심적인 장기는 '태반'이다. '태반(Placenta)'은 임신을 통해 자궁안에 만들어지는 장기이다. 태아는 탯줄을 통해 태반과 연결되어 있으며, 태아는 태반을 통해 엄마로부터 산소와 영양소를 받는다. 태아가 모체로부터 받는 것은 산소나 영양소만이 아니다. 자궁은 기본적으로 무균 상태인데, 태아는 이물질로부터 보호된 안전한 공간을 제공받는 셈이다. 그러나 출생하는 순간부터 신생아는 태아와 전혀 다른 방식으로 살아간다. 이 극적인 환경의..

자폐증(Autism)

0. 목차 '자폐증'이란 무엇인가? '자폐증'의 원인 부친의 고령화는 자녀의 유전자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까? 데노보 CNV(de novo CNV) 자폐증 발병에 관계하는 유전자 자폐증의 치료 가능성? 1. '자폐증'이란 무엇인가? '자폐증(Autism)'이란 사회생활이나 대인 관계 등에 곤란을 겪는 발달 장애이다. 1940년대에 들어와 미국의 정신과 의사 '레오 카너(Leo Kanner, 1894~1981)'와 오스트리아의 소아과 의사 '한스 아스페르거(Hans Asperger, 1906~1980)'가 각각 독립적으로 제창하였다. 3세 무렵까지 다음의 세 가지 증상이 나타나면 '자폐증'으로 진단된다. 사회성 장애: 첫째는 '사회성 장애'이다. 시선을 맞추지 낳고 슈퍼마켓 같은 데서 갑자기 큰 소리를 내거..

체외 수정

'체외 수정(External fertilization)'이란 난자를 체외로 채취하여 시험관 내에서 수정시키고, 배아를 다시 자궁경부를 통하여 자궁 내로 이식하는 시술이다. '불임증(Sterility)'이란 임신을 원하는 부부가 2년 이상 노력해도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가리키는데, '체외 수정' 기술이 '불임증'을 가진 부부들에게 큰 희망을 주고 있다. '체외 수정'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부부의 유전자를 가진 수정란을 다른 여성에 자궁에 옮겨 출산하는 일이 가능해진 것이다. 또 폐경을 맞은 여성 등 배란이 되지 않는 여성이, 다른 여성의 난자와 남편의 정자로 생긴 수정란을 자신의 자궁으로 옮겨서 자신의 유전자를 갖지 않은 자녀를 임신할 수도 있게 되었다. 0. 목차 불임이 되는 이유 보조 생식 기술(..

아기의 탄생

0. 목차 정자 난자 수정 '배(embryo)'의 발생 태아기 출생 쌍둥이 1. 정자 아기의 근원을 추적하면, 2억~3억 개의 정자가 단 하나의 난자를 목표로 해서 경주를 시작함으로써 막을 연다. 정자는 머리 부분에 아버지로부터 받은 유전자를 채우고 있다. 이 정자가 어머니로부터 받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난자에 도달해 수정하면, 정자는 난자와 함께 새로운 생명을 기르게 된다. 1-1. 정자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그러면 '정자(Spermatozoon)'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사람의 정자는 '정소(Testis)' 속에 접혀 있는 '세정관(Seminiferous tubule)' 안에서 만들어진다. '세정관'의 바깥쪽에서는 가장 미숙한 '정원 세포(정자의 근원이 되는 세포'가 늘어서며, 2개월에 걸쳐 세정관의..

'인간 관계'의 심리학

0. 목차 차별을 하는 심리 사람이 좋아지는 심리 억지를 부리는 심리 핑계를 만드는 심리 1. 차별을 하는 심리 1-1. 스테레오타입 한국인은 근면하고, 일본인은 친절하고, 미국인은 대범하다는 식으로 우리는 선입관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그 이유는 우리가 '스테레오타입(Stereotype)'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사회생활을 하면서 나라나 조직, 나이, 성별 등 여러 가지 사회적인 범주에 속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범주에 속하는 사람들은 공통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이처럼 범주의 특징을 단순화한 개념을 가리켜 '스테레오타입(Stereotype)'이라고 한다. '스테레오타입(Stereotype)'은 그리스어인 Stereos와 typos라는 두 말을 합친 말이다. stereos란..

환경심리학

0. 목차 '환경심리학'이란? 범죄와 환경 은둔과 환경 비행과 환경 스트레스와 환경 1. '환경심리학'이란? '환경심리학(Environmental Psychology)'이란 '인간의 행동이나 심리'와 '환경'의 상호 작용을 밝히려는 학문이다. 환경심리학에서는 인간과 환경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파악한다. '환경'과 '그 환경 속에서 생활하는 사람'끼리는 서로 관여하고 영향을 준다는 의미에서 '인간-환경계'라고도 한다. 환경심리학은 심리학 분야 중에서도 비교적 새로운 학문 분야로, 1960년대 말 무렵 미국에서 탄생했다. 1960년대에 들어와 세계 여러 나라에서 급속한 근대화와 산업화의 영향으로, 인구가 밀집한 도시 환경에서 저소득층이 모인 빈민가가 형성되고, 대기 오염 등의 '환경 문제', '소음' 등 다양..

임상심리학

사람의 마음은 항상 건강한 상태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고민을 하거나 낙담하거나 공포를 느낄 때도 있다. 하지만 그런 감정이 지나치게 심각해지면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워지는 경우도 있다. '임상심리학(Clinicla Psychology)'은 그러한 사람이 사람의 마음의 건강을 다루는 심리학이다. 실제로 내담자와 만나서 이야기를 하거나 심리적인 치료를 통해, 마음이 건강해지도록 지원하는 전문가를 '임상심리사(Clinical Psychologist)'라고 한다. 0. 목차 임상심리학이 활용되는 곳 '마음의 부조화'의 원인을 찾는 방법 심적 지원 우울증 불안 장애·강박 장애 불안 장애·강박 장애의 치료법 1. 임상 심리학이 활용되는 곳 '임상심리학'이 활약하는 환경은 실로 다양하다. 병원: 임상심리사가 가장 많..

발달심리학

0. 목차 사람의 일생은 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 8단계로 나눌 수 있다. 사춘기의 심리 젊은이의 심리 발달 장애 노력하는 심리 부모의 심리 중년기의 심리 노년기의 심리 1. 사람의 일생은 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 8단계로 나눌 수 있다. 인간은 살아가면서, 몸뿐만 아니라 마음도 변하면서 살아간다. 인간이 성장해가면서 변해 가는 마음을 연구하는 학문이 '발달심리학(Developmental Psychology)'이다. 예전에는, 사람의 심리는 미완성 단계에서 성인이 되어 완성되며, 성인이 된 다음에는 다양한 기능이 저하된다고 알려져 있었다. 따라서 우선 '유아기'나 '청년기'의 심리에 주목했으며, 이어 다른 단계의 심리 연구도 시작되었다. 그런 가운데 태아기부터 늙어 죽을 때까지, 사람의 일생 동안의 마음의 변화..

성격심리학

0. 목차 사람의 성격은 어떻게 정해질까? 성격을 분류하는 방법 빅 파이브 이론 '내적 통제'와 '외적 통제' 성격의 조사 방법 성격은 바뀔 수 있을까? 1. 사람의 성격은 어떻게 정해질까? 사람의 성격은 어떻게 정해질까? 성격을 만드는 요인에 대해서는 예로부터 여러 설이 나와 있다. 대략적으로는 유전에 의해 태어나면서부터 성격이 정해진다는 '생득설(Birth Theory)'과, 태어난 뒤 지내는 환경에 성격이 형성된다는 '경험설(Emprical Theory)'로 나뉜다. '찰스 다윈'이 제창한 진화론의 영향을 받아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서는 인간의 성격도 유전된다는 '생득설'적인 견해가 강한 지지를 받았다. 이러한 설을 제창한 과학자에는 다윈의 외사촌인 영국의 '프랜시스 골턴(Francis..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0. 목차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심리학의 분야 심리학의 역사 임상심리학의 발전 사람의 심리를 알아내는 방법 심리학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완전히 꿰뚫어 볼 수는 없다. 1.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고대 시대부터 철학과 의학 분야에서 '마음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려는 탐구가 이루어져왔다. 예컨대 고대 그리스나 로마 시대에는 사람의 몸은 4종류의 액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액체에 비율에 따라 선천적인 기질도 4가지 패턴이 된다고 믿었다. 단, 이들의 이론은 철학자나 의사 개인의 경험이나 사고에 의해 만들어졌다. 한편 '심리학(Psychology)'은 과학적인 방법인 방법을 사용해 사람의 인간 마음의 메커니즘을 파악하려는 학문이다. 하지만 마음은 측정할 수가 없기 때문에 눈에 보이는 형태로 나타나는 행동을 관찰..

가짜뉴스(Fake News)

가짜뉴스를 이해하고 대응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다. 노스이스턴 대학교의 '데이비드 라자(David Lazer)' 교수는 '기존 언론에서 생산하는 콘텐츠 형식을 모방한 조작된 정보'라고 가짜뉴스를 정의한다. '데이비드 라자'의 정의는 가짜뉴스가 진실된 언론의 형식을 차용하지만, 실제 언론이 추구하는 보도의 정확성이나 정보의 신뢰도, 편집 윤리가 결핍되어 있음에 주목했다. 또한 그는 가짜뉴스를 '실수에 의한 정보(Mis-information)', '의도적으로 생성된 거짓 정보(Dis-infirmation)'를 비롯한 모든 '정보 장애(information disorder)'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여기에서도 이와 같은 정의를 따르기로 하자.0. 목차가짜뉴스는 왜 확산되는가?..

부상의 '자연 치유 메커니즘'

우리의 몸은 부상을 입어도 어느새 회복한다. 인체에 '자연 치유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부상의 '자연 치유 메커니즘'의 정체는 무엇일까? 0. 목차 '삔다'는 것은 무엇일까? 상처 골절 연골과 인대 근육 부상 1. '삔다'는 것은 무엇일까? 1-1. 손가락을 삐는 것은 대부분 '인대 손상'이다. 손가락이나 발가락을 삐는 것은 흔한 일이다. 그러면 이때 몸의 어느 조직이 상처를 입는 것일까? 부상의 치유 과정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부상으로 조직에 상처가 나는 과정을 살펴보자. 실은 의학적으로 '삔다'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는다. 흔히 손가락이나 발가락 등을 '삔다'는 것은 손가락이나 발가락에서 일어난 '염좌(인대의 손상)'나 '탈구(골·연골·인대 등의 조직이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난 상..

밀레니엄 생태계 평가(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0. 목차밀레니엄 생태계 평가생태계의 구분'생태계 현실'과 '생태계 서비스가 받는 영향'생태계의 변경과 유지 중 어느 것이 바람직할까?생태계 서비스는 언제까지 이용할 수 있는가?1. 밀레니엄 생태계 평가 2001년 6월, '코피 아난(Kofi Annan, 1938~2018)' 당시 UN 사무총장은 전 세계의 생태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밀레니엄 생태계 평가(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를 발표했다. '밀레니엄 생태계 평가'에는 전 세계 95개국에서 1360명의 전문가가 참가하였고,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실시되었다. 그러면 '밀레니엄 생태계 평가(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는 생태계의 무엇을 평가하는 계획이었을까? 우리는 생태계로부터 ..

생물 다양성(Biodiversity)

우리의 지구에는 동물, 식물, 균류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한 생물들이 살고 있다. 그리고 같은 생물종이라도 가지고 있는 유전자에 각각 차이가 있다. 생물이 살아가는 생태계를 보더라도 삼림, 사막, 얼음으로 뒤덮인 땅, 바다 등 그 모습은 다종다양하다. 이처럼 '생물종의 다양성', '종 내부의 유전적 다양성', '생태계의 다양성'을 가리켜 '생물 다양성(Biodiversity)'이라고 한다. 0. 목차 생물 다양성 종이 진화하는 메커니즘 자연이 회복되는 메커니즘 생태계란 무엇인가? 생태계의 다양성 유전자의 다양성 생물 다양성 파괴 1. 생물 다양성 1953년 영국 남부에서는 지나치게 늘어난 '유럽토끼(학명: Oryctolagus cuniculus)'를 없애기 위해, 브라질에서 '믹소마 바이러스(학명: my..

게놈 편집(Genome Editing)

0. 목차 판도라의 상자가 열렸다? 표적 유전자를 절단할 수 있는 특별한 효소가 있다. 세대별 유전자 가위 '게놈 편집'과 '유전자 변형'의 차이 유전병을 치료한다. 그 외 '게놈 편집'의 응용 1. 판도라의 상자가 열렸다? 판도라의 상자가 열린 것일까? 2015년 4월에 과학계에 커다란 충격을 가져다준 사건이 하나 있었다. 중국의 중산 대학 부교수로 유전자의 기능을 연구하는 '황쥔지우(黃軍就, 1980~)' 박사의 연구 그룹이 '게놈 편집(Genome Editing)' 기술을 이용해 인간의 수정란의 유전자를 바꾼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2015년 4월 18일 인터넷 학술 잡지 'Protein & Cell'에 개제되었다. '게놈 편집(Genome Editing)'이란 유전 정보 중에 원하는 유전자를 겨..

DNA에 남은 '인류 이동의 발자취'

현재 세계 각지에는 다양한 인종과 민족이 살고 있다. 하지만 겉모습과 생활양식이 모두 다른 그들의 DNA를 조사해 근본을 찾아보면, 어느 집단이든 모두 아프리카에 살고 있던 지극히 소수의 집단을 조상으로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프리카를 떠난 인류는 그 후, 유럽,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아메리카 대륙 등으로 각지로 이동해서 자리를 잡고 살았다. DNA 분석을 통해, 인류가 어떤 과정을 거쳐 이동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자리 잡은 땅에 어떤 역사가 펼쳐졌는지 알아보자. 0. 목차 인류의 진화 단계 인류의 조상은 아프리카에서 태어났다. '혈액형의 편향'으로 보는 과거 인류의 경로 유럽 선주민끼리의 관계 아랍인의 DNA에 남은 아프리카 여성의 흔적 Y염색체의 다형을 통해 본 남성 사회의 역사 일본인의..

태아 DNA 선별 검사(NIPT 검사)

0. 목차 태아 DNA 선별 검사(NIPT 검사) 낮은 정밀도의 '출생 전 진단' 높은 정밀도의 '출생 전 진단' '양수 검사'와 '융모 검사'의 장단점 'NIPT 검사'에서는 DNA 조각을 염색체마다 분류한다. 장래에는 태아의 모든 염기 배열을 파악하게 될지도 모른다. '출생 전 진단' 비교 1. 태아 DNA 선별 검사(NIPT 검사) '태아 DNA 선별 검사(NIPT 검사)'는 태아의 질병을 임산부 모친의 혈액을 이용해 조사하는 검사로, NIPT는 Non-Invasive Prenatal Test의 약자이다. 이전까지는 태아나 염색체의 유전자에 대해 정확도 높은 진단을 받고 싶을 때는 모친의 자궁에서 세포를 꺼내는 위험 부담을 감수해야 했다. 하지만 'NITP 검사'는 모친의 혈액으로부터 태아의 질병에..

DNA 시퀀서(DNA Sequencer)

모든 생물의 설계 정보는 '게놈(Genome)'에 적혀 있다. 게놈을 해독하면, 그 생물 전체를 이해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사람을 비롯해 여러 가지 생물의 게놈이 해독되었다. 그리고 게놈을 읽는 장치인 '시퀸서(Sequencer)'도 눈부시게 진보하고 있다. 한 번에 대량의 게놈을 해독할 수 있도록 개량되었고, 의료 현장에서 사용되는 시퀸서도 등장했으며, 해독된 '문자의 배열'의 의미를 찾기 위해 사용되는 시퀸서도 있다. 0. 목차 인간 게놈 프로젝트 시퀀서는 여러 가지 방향으로 진화했다. 염기 배열의 의미는 무엇인가? 세포나 조직에 존재하는 mRNA의 수 DNA의 작용 방식을 조절하는 네트워크 차세대 시퀀서의 활약 1. 인간 게놈 프로젝트 1991년에 엄청난 국제적 프로젝트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시..

신경망(Neural Network)

신경 세포가 불규칙하게 또는 다발로 흩어져 있어서 각각의 신경 섬유가 그물 모양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신경망(Neural Network)'라고 한다. 뇌세포들의 치밀한 네트워크인 '신경망'의 작동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0. 목차 뇌 뇌의 신경 세포 글리아 세포 아스트로사이트 올리고덴드로사이트 시냅스 1. 뇌 1-1. 뇌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뇌는 심장과 마찬가지로 생명이 탄생해서 수명이 다할 때까지 쉬지 않고 활동을 계속하는 장기이다. 우리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누워 있을 때도, 생명 활동을 유지하기 위해 최소한의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다. 그 소비량을 '기초 대사량'라고 한다. 성인의 기초 대사량은 하루에 1200~1500kcal 정도라고 한다. 기초 대사 가운데 20% 정도는 뇌가 소비..

'감정(Feeling)'의 메커니즘

우리는 기쁨, 슬픔, 설렘, 분노 등 여러 가지 감정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감정은 어디에서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나오는 것일까? 0. 목차 감정을 만드는 '편도체' 보상 회로 감정의 신경 회로 감정의 말초 기원설 감정의 기원과 역할 1. 감정을 만드는 '편도체' 대뇌 옆면에 있는 '측두엽(Temporal Lobe)' 안쪽에는 감정에 깊이 관여하는 '편도체(Amygdala)'가 있다. 편도체는 '해마(Hippocampus)'의 앞쪽에 있으며 서로 신호를 교환한다. '편도'란 열매 '아몬드'의 한자 이름이다. '편도체'의 모양은 '아몬드'나 '서양 배'와 닮았다고 한다. 중뇌, 뇌교, 연수 등을 합친 '뇌간(Brainstem)'은 감정을 일으키는 행동을 관장한다. 또 넓은 의미에서는 '간뇌(시상과 ..

기억력 증강

우리는 좀 더 많은 것을 기억하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기억한 것을 잊고 싶지 않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인위적으로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실제로 존재할까?0. 목차NR2B'CREB 활성제'와 'CREB 억제제'기억력을 높이는 유전자는 더 많을 것이다.똑똑해지는 알약기억을 잊게 하는 효소 'PP1'1. NR2B 기억을 만드는 기본적인 원리는 시냅스의 신호 전달 효율을 높이는 일로, 한 마디로 요약하면 '장기 증강(LTP: Long-term potentiation)'이다. '장기 증강(LTP: Long-term potentiation)'이란 '뉴런(Neuron)'끼리의 이음새인 '시냅스(Synapse)'에서 화학물질을 받아들이는 '수용체(Receptor)'가 늘어나 신호 전..

'기억'의 메커니즘

우리의 뇌 속에서 '기억(Memory)'이라는 작업을 맞은 것은 '신경 세포(Neuron, 뉴런)'이다. 기억이 만들어지고 우리가 어떤 생각을 할 때의 뉴런의 모습이 미시적인 수준에서 자세히 밝혀지고 있다. 현재는 뉴런을 인공적으로 조작해 기억을 조종하는 일도 가능해졌다. 기억에 대한 연구 상황을 살펴보자.0. 목차기억 중추 '해마'시냅스의 가소성장기 기억장소의 기억의미 기억어떻게 기억을 떠올리는가?1. 기억 중추 '해마' '해마(Hippocampus)'는 대뇌 표면에 위치한 '대뇌 피질'이 안쪽으로 접혀 들어간 끝에 해당한다. 결국 '해마'도 '대뇌 피질'과 독립된 구조는 아니다. '해마'는 연결된 구조를 포함한 모습이 그리스 신화의 바다의 신이 타고 있는 말 'Hippocampus'의 앞다리와 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