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56

'바이러스(Virus)'란 무엇인가?

0. 목차 '바이러스'의 발견 '바이러스'의 구조 '바이러스'의 증식 2단계 면역 시스템 감염증과의 싸움 역대 출현한 바이러스들 1. '바이러스'의 발견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세균을 통과시키지 않는 더 작은 병원체'가 있다는 사실이 판명되었다. 그래서 이 병원체는 '여과성 병원체(filterable virus)'라고 불렸다. 그리고 1930년에 이르러, 이 병원체는 '바이러스(virus)'라고 불리게 되었다. 'virus'는 라틴어로 '병독'이라는 의미다. 1-1. 최초의 백신 영국의 의학자인 '에드워드 제너(Edward Jenner, 1749~1823)'는 우유 짜는 여인들이 가벼운 '우두(바이러스에 의한 소의 급성 전염병)'에 걸린 후 '천연두'에 저항력을 갖게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

'뇌-신경-호르몬'의 메커니즘

우리의 몸은 약 60조 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우리는 단지 세포의 집합체가 아니라, 각각의 세포가 서로 관여하며 협조함으로써 생명활동을 이어나간다. 모든 세포를 통합하고 조절하는 것이 바로 '신경(Nerve)'과 '호르몬(Hormone)'이다. 0. 목차 신경 뇌의 구조 대뇌 척수 자율 신경, 호르몬 내분비 기관 1. 신경 신경에는 뇌와 척수의 '중추 신경(Central Nervous System)'과, 중추 신경과 몸의 각 부분을 연결하는 '말초 신경(Peripheral Nervous System)'이 있다. '말초 신경'에는 근육과 연결된 '운동 신경', 내장과 연결된 '자율 신경', 감각과 연결된 '지각 신경' 등이 있다. 중추, 말초의 모든 신경은 '신경 세포'와 그것을 지지하는 '지..

'비뇨기'와 '생식기'

'소변'을 만들어 배출하는 '비뇨기'는 '생식기'도 겸하고 있다. 이처럼 '비뇨기'와 '생식기'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비뇨기'와 '생식기'에 대해 알아본다. 0. 목차 신장(콩팥 방광 남성의 생식기 여성의 생식기 수정과 임신 불임증 유방 1. 신장(콩팥) 인체를 구성하는 성분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성분은 물이다. 성인 남성의 경우 60% 정도가, 성인 여성의 경우 55% 정도가 물의 비율이다. (일반적으로 지방이 지방이 많고 나이가 많을수록 수분의 비율이 적어짐) 신장은 허리 위 쪽 등 부근에 좌우 하나씩 존재하며, 주먹만 한 크기로 누에콩 모양을 하고 있다. 우리는 하루에 1~1.5L 정도의 소변을 배설하고 있는데, 소변을 만드는 기관이 바로 '신장'이다. 신장은 소변 배출을 통해..

혈액(Blood)

0. 목차 혈액 혈액 검사 혈액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1. 혈액 '혈액(Blood)'은 우리 몸무게의 약 8%를 차지한다. 60kg의 성인이라면 5kg 정도가 혈액인 셈이다. 혈액은 노란색 액체인 '혈장'과 '세포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혈액에서 '적혈구(Erythrocyte)', '백혈구(Leukocyte)', '혈소판(Platelet)' 등의 세포 성분을 제거한 액체 성분을 '혈장(Blood Plasma)'이라고 한다. 또 '혈장'에서 섬유소원인 '피브리노겐(Fibrinogen)'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혈청(Serum)'이다. 혈장은 혈액 전체 부피의 55%를 차지하고 그 대부분은 물이다. 혈장 속에는 '영양소'와 몸의 기능을 조절하는 '호르몬' 등 중요한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다. 나머지 45..

피부(Skin)

0. 목차 피부의 구조 피부의 체온 조절 털과 손발톱 1. 피부의 구조 피부는 우리의 몸 가운데 가장 큰 조직으로, 그 표면적은 약 1.6m² 정도 된다. 피부는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 조직(Fat Layer)'의 개성이 뚜렷한 3개의 층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각의 층에 있는 여러 세포들은 외부와 몸의 접점 역할을 하고 있다. 1-1. 표피 먼저 가장 바깥층인 '표피(Epidermis)'에서는 끊임없이 세포가 증식하고 있다. 표피를 구성하는 것은 '케라틴(Keratin)'이라는 섬유 모양의 단백질을 많이 함유한 납작한 세포이다. 표피의 세포는 때로 벗겨져 떨어진다. 표피에는 이런 세포가 빽빽히 자리 잡고 있어, 외부의 병원균의 침입을 막는다. 만약 이 층에 상처가 ..

심장(Heart)

심장은 몸속의 혈액을 순환 시키기 위해 존재한다. 두꺼운 근육으로 된 심장의 벽이 규칙적으로 수축하면서, 일정한 리듬으로 혈액을 펌프질 한다. 심장은 안정되었을 때 보통 1분 동안 약 5L의 혈액을 내보낼 수 있다. 이것은 온몸의 혈액량인 약 5L에 해당하는 양이다. 즉, 심장에서 나온 혈액은 1분 동안 온몸을 일주하고 심장으로 다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0. 목차 심장의 구조 심장 박동의 5단계 혈액의 순환 1. 심장의 구조 1-1. 심방과 심실 심장은 4개의 방 '우심방(Right Atrium)', '우심실(Right Ventricle)', '좌심방(Left Atrium)', '좌심실(Left Ventricle)'으로 나누어져 있다. '우심계(우심방과 우심실)'는 온몸을 돌고 심장으로 들어오 혈액을..

폐(Lung)

0. 목차 들숨과 날숨 폐의 구조 폐의 질병 1. 들숨과 날숨 성인 남성의 경우, '폐에 들어오는 공기의 양(전 폐활량)'은 4~5L라고 한다. 그리고 '최대한으로 공기를 들이마니고 내쉴 때의 공기의 양(폐활량)'은 3~4L라고 한다. 즉, 우리가 폐 속의 공기를 힘껏 내쉬어도 폐 속에는 1L 정도의 공기가 남아 있는 것이다. 보통 안정되었을 때 1회 호흡으로 출입하는 공기의 양은 약 500mL 정도이다. 또 원래 들이쉬는 공기(들숨)에 들어 있는 산소의 비율은 약 21% 지만, '날숨(내쉬는 공기)'에서는 약 15%로 감소된다. 반면, 이산화탄소는 공기에 0.04% 정도밖에 들어 있지 않지만, 날숨 속에는 4% 정도가 들어있다. 폐는 공기의 출입에 의해 신축하는 풍선 같은 기관이다. 폐는 단독으로 공기..

대장(Large Intestine)

0. 목차 대장의 구조 대장의 기능 장의 질병 1. 대장의 구조 '대장(Large Intestine)'은 입에서부터 이어지는 소화관의 마지막 부분이다. 대장은 순서대로 '맹장(막창자), 결장(잘록창자), 직장(곧창자)로 이루어져 있고 약 1.6m 정도의 관이 소장을 에워싸듯이 위치해 있다. 대장의 첫 영역인 '맹장'에는 길이 7cm 전후의 가늘고 긴 충수(막창자꼬리)가 붙어있다. 대장의 지름은 처음에는 7cm 정도이나, 후반으로 가면서 점차 가늘어진다. 벽의 두께는 2~4mm 정도이다. 대장의 내벽(점막)에는 소장에서 보이는 것괕은 융모가 없다. 그리고 대장의 외벽에는 세 가닥의 근육이 모여 굵은 끈 모양이 된 '결장 끈'이 있다. 이 세 가닥의 결장끈이 관을 따라 뻗어있기 때문에 대장에는 잘록한 부분이..

간(Liver)

0. 목차 '간'이란? 4개의 관 간의 질병 1. '간'이란? '간(Liver)'은 성인의 경우 무게가 1.2이나 되는 거대한 장기로, 영양소의 변환이나 독을 분해하는 등 여러 가지 화학 반응을 하는 '간세포(Hepatocyte)'로 주로 이루어져 있다. 간세포는 50만 개 정도가 모여 지름 1mm 정도의 '간소엽(Hepatic Lobule)'이라는 집합체를 만든다. 간소엽이 간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며, 간으로 드나드는 4개의 관의 '지류(강의 원줄기로 흘러들거나 원줄기에서 갈려 나온 물줄기)'가 '간소엽'을 지난다. '간소엽(Hepatic Lobule)'이 다시 50만 개 정도가 모이면 '간이(Liver)' 된다. 1-1. '간'은 영양분의 저장고 겸 화학 공장 소장에서 흡수된 당이나 아미노산은 소장..

'체성분 분석기'의 원리

0. 목차 체성분 분석기 의료 기관용 - X선을 이용해 신체 조성을 측정 가정용 - 신체에 미세한 전류를 흘려 신체 조성을 측정 1. 체성분 분석기 가정용 체중계는 이제 체지방률, 근육량, 체수분율 같은 몸의 조성을 측정하는 '체성분 분석기'로 진화하고 있다. 체중도 50g 단위도 측정하고, 방금 마신 물의 무게 등 약간의 변화까지 측정할 수 있는 제품도 나왔다. 그런데 '체성분 분석기' 우리의 몸의 조성과 체중을 측정하는 원리는 무엇일까? '체성분 분석기'는 신체에 미약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얻는 전기 저항값, 체중, 신장, 연령, 성별 그리고 그 외의 통계 데이터를 사용해서 추정하는 것이다. 체중은 체중계의 모퉁이에 설치된 '무게 센서'를 이용해서 측정한다. 1-1. BMI 내장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

📖포항공대(Postech) 권장도서 100권 (2016년 ver)

0. 목차 과학/기술 문학/예술 인문/사회 1. 과학/기술 골렘: 과학의 뒷골목 (해리 콜린스, 트레버 핀치) 과학혁명 (스티븐 샤핀) 과학혁명의 구조 (토마스 S. 쿤) 뇌로부터의 자유 (마이클 가자니가)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스티븐 핑커) 부분과전체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불완전성 (레베카 골드스타인) 불편한 진실 (앨 고어) 생명의 느낌 (이블린 폭스 켈러) 서양과학사상사 (존 헨리) 스피노자의 뇌 (안토니오 다마지오) 왜 로봇의 도덕인가 (웬델 월러치, 코린 알렌) 이기적 유전자 (리처드 도킨스) 이중나선 (제임스 왓슨) 인체시장 (로리 앤드루스, 도로시 넬킨) 인포메이션 (제임스 글릭) 종의기원 (찰스 다윈) 진실은 배반한 과학자들 (윌리엄 브로드) 침묵의 봄 (레이첼 카슨) 코스모스 (칼..

카테고리 없음 2021.05.19

📖 카이스트 권장도서 100권 (2007년 선정 ver.)

0. 목차 자연과학/기술공학/의학 분야 문화예술분야 인문/사회 분야 경제/경영 분야 문학 분야 1. 자연과학/기술공학/의학 분야 엘러건트 유니버스 (브라이언 그린 저/박병철 역 | 승산 | 2002년 03월) 인간 등정의 발자취 (제이콥 브로노우스키 저/바다출판사 | 2004년 04월) 빈 서판 (스티븐 핑커 저/김한영 역 | 사이언스북스 | 2004년 02월) 나는 고백한다, 현대의학을 (아툴 가완디 저/김미화 역 | 소소 | 2003년 06월) 교양있는 엔지니어 (새뮤얼 C. 플러먼 저/ 생각의나무 | 2007년 05월)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올리버 색스 저 | 이마고 | 2006년 02월) 통섭 (에드워드 윌슨 저 | 사이언스북스 | 2005년 04월) 링크 (바라바시 저/강병남,김기훈 공역..

카테고리 없음 2021.05.19

코딩의 미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교육국장인 '안드레아스 슐라이허(Andreas Schleicher, 1964~)'는 2019년 '세계 교육혁신회의(WISE; World Innovation Summit for Education)'의 연설에서 "코딩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은 광범위한 교육 문제의 일부가 되고 있다. 그것을 깊게 배우게 하면 큰 실수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코딩은 단지 우리 시대의 기술이고, 지금 세 살 아이가 코딩을 배우면 그들이 사회에 나갈 때쯤에는 코딩이 무엇인지조차 잊게 될 것이며 곧 구식이 될 것이다. 코딩 기술은 아주 빠른 시간 안에 쓸모없어질 것"이라고 설파했다. 사실 코딩은 인공지능이 이미 빠르게 대체해나가고 있다. 그래서 이런 상황에서는 소프트웨어 기술을 습득하는 것보다..

KPOP 보이그룹의 역사

0. 목차 20세기 데뷔 보이그룹 2000년대 데뷔 보이그룹 2010년대 데뷔 보이그룹 2020년대 데뷔 보이그룹 1. 20세기 데뷔 보이그룹 1964년 데뷔 - 애드포(Add4) 1968년 데뷔 - 트윈폴리오 1977년 9월 12일 데뷔 - 산울림 1977년 데뷔 - 벗님들 1979년 데뷔 - 송골매 1985년 데뷔 - 들국화 1986년 데뷔 - 시나위 1986년 데뷔 - 백두산 1986년 데뷔 - 부활 1987년 04월 20일 데뷔 - 소방차 1990년 데뷔 - 현진영과 와와 1990년 데뷔 - N.EX.T 1992년 03월 14일 데뷔 - 서태지와 아이들 1992년 데뷔 - 더 블루(The Blue) 1993년 01월 01일 데뷔 - 듀스(DEUX) 1993년 01월 14일 데뷔 - 노이즈(Nois..

ABC... 2021.04.10

KPOP 걸그룹의 역사

0. 목차20세기 데뷔 걸그룹2000년대 데뷔 걸그룹2010년대 데뷔 걸그룹2020년대 데뷔 걸그룹1. 20세기 데뷔 걸그룹1939년 데뷔 - 저고리 시스터즈1940년 데뷔 - 신향악단 시스터즈1953년 데뷔 - 김 시스터즈(KIM SISTERS)1957년 데뷔 - 정 시스터즈 (J 시스터즈)1957년 데뷔 - 현 시스터즈 (Hyun Sisters)1959년 데뷔 - 강 시스터즈 (K 시스터즈)1960년 데뷔 - 김치캣(Kimchi Kats)1962년 데뷔 - 은방울자매1962년 데뷔 - 블루리본(BLUE RIBBON)1962년 데뷔 - 이시스터즈(Lee Sisters)1963년 데뷔 - 마운틴시스터즈(MOUNTAIN SISTERS)1964년 데뷔 - 코리안 키튼즈(KOREAN KITTENS)1965년 ..

ABC... 2021.04.10

호버보드(Hoverboard)

영화 '백 투 더 퓨처 2(1989)'에서는 바퀴 없이 공중에 뜬 채로 달리는 스케이트보드인 '호버보드(Hoverbroard)'가 나온다. 물론 이 영화에서 나오는 장면은 특수 촬영과 투명 와이어 그리고 시각효과로 만들어낸 것이다. 그런데 정말 호버보드를 만드는 것이 과학적으로 가능할까? 호버보드를 만드는 일이 물리학적으로 가능한 것일까? 실제로 호버보드를 만들기 위한 시도가 많이 있었고 어느 정도 성과를 낸 적이 있었다. 하지만 우리가 원하는 수준의 호버보드는 아닌 것 같다. 그렇다면 현실 세계의 호버보드는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 걸까? 현실 세계에서의 호버보드는 크게 두 가지 종류의 '호버보드(Hoverboard)'가 있다. 바로 팬으로 공기쿠션을 만들어 떠다니는 '공기 부양선'과 표면에서 자력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