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Science)
-
'e스포츠'의 과학과학(Science)/etc... 2023. 11. 26. 23:53
0. 목차 'e스포츠(eSports)'란? 폭력적인 게임이 범죄율을 높인다? 게임과 건강 장시간 게임 훈련 게임 이용 장애 게임 성적과 영양학 게임이 가져오는 효과 e스포츠의 미래 1. 'e스포츠(eSports)'란? 통신의 고속화와 컴퓨터·스마트폰의 보급을 통해 게임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어, 온라인 게임을 즐기는 사람이 많이 늘어났다. 또 스스로 게임을 하는 것만이 아니라, 스포츠처럼 프로게이머의 시합을 관전하고 즐기는 사람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 예로, '도타2(Dota2)'의 2021년 세계 대회 우승 상금은 1820만 8300 달러에 달했다. 이런 국제 대회가 활발히 개최되면서 프로 선수를 목표로 한 플레이어도 증가하고 있다. 'e스포츠(e-Sports)'는 스포츠 경기로도 주목받아 202..
-
학습 장애(Learning Disorder)과학(Science)/심리학 (Psychology) 2023. 11. 26. 04:57
21세기 들어 '발달 장애(Developmental Disability)'가 주목받게 되었다. 잘 알려진 것은 '소통(Communication)'에 지장을 주는 '자폐 범주성 장애(ASD: Autism Spectrum Disorder)'와, 행동면에서 문제가 생기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이다. 그러나 이 밖에 '읽기', '쓰기', '계산' 등 기본적인 학습 일부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는 '학습 장애(LD)'도 있다. 본인의 노력 부족으로 여겨져 괴로워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0. 목차학습 장애(LD)읽고 쓰기 장애'산술 장애'는 4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한다.LD의 원인LD와 ADHD를 함께 가진..
-
발달 장애(Developmental Disability)과학(Science)/심리학 (Psychology) 2023. 11. 25. 20:52
'발달 장애(Developmental Disability)'라는 말은 1963년 미국의 법조문에서 최초로 등장했다. 그리고 한국에는 21세기에 들어와 언론의 보도 등을 통해 '발달 장애'라는 말이 자주 등장하면서 급속하게 알려졌다. '발달 장애'라는 말이 널리 퍼진 결과, 주변 사람들로부터 '상황 파악을 못한다', '사람의 기분을 헤아리지 못한다', '느슨한 성격' 등의 지적을 받으면서, '혹시 내가 발달 장애는 아닌가?'하고 의심하며 전문의를 찾는 사람도 늘어났다. 사실 발달 장애가 있는 사람의 정확한 수는 밝혀지지 않았다. 일본의 경우, 2016년에 후생노동성이 실시한 '생활하기 어려운 상황 등에 관한 조사'에 따르면, 발달 장애로 진단된 사람의 수는 약 48만 1000명으로 2016년의 일본 총인구..
-
'공포'의 기원과학(Science)/심리학 (Psychology) 2023. 11. 23. 04:40
오늘날 '공포(Horror)'는 '공포영화'에서부터 '지정학(Geopolitics)'에 이르기까지 많은 곳에 숨어 있다. '공포(Horror)'라는 단어는 '직립하다(Stand on end)' 또는 '털이 곤두서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동사 'horrere'에서 왔다. 이 단어는 '메리 셸리(Mary Shelly)'의 1818년작 '프랑켄슈타인(Frankenstein)'과 '워싱턴 어빙(Washington Irving)'의 1820년작 '슬리피 할로우(Sleepy Hollow)' 같은 장르소설을 지칭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오늘날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스티븐 킹(Stephen King, 1947~)'의 소설이나 '조지 로메로(George Romero, 1940~2017)', '웨스 크레이븐(Wes Cra..
-
스트레스(Stress)과학(Science)/심리학 (Psychology) 2023. 11. 18. 17:49
0. 목차'스트레스'란 무엇인가?인지 왜곡스트레스 반응은 생물이 살아남기 위한 중요한 반응이었다.'스트레스'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스트레스'의 측정인지 행동 요법감정 표현 불능증1.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우리는 평상시에 다양한 사건을 통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과연 스트레스란 무엇일까? '스트레스'는 원래 물리학에서 물체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가리키는 용어로 쓰인다. 그 용어를 인간에게 적용하기 시작한 사람은 미국의 생리학자 '월터 캐넌(Walter Cannnon, 1871~1945)'과 캐나다의 의학자 '한스 셀리에(Hans Selye, 1907~1982)'였다. 1930년대의 일이다. '스트레스(Stress)' 연구로 유명한 생리학자 '한스 셀리에(Hns Selye, 1907~1982)'는 쥐..
-
아동 학대(Child Abuse)과학(Science)/심리학 (Psychology) 2023. 11. 18. 17:48
0. 목차'아동 학대' 신고 접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아동 학대'의 종류'훈육'과 '학대'의 구분학대 심성 평가 척도'아동 학대'를 저지르는 이유'아동 학대'의 악영향'아동 학대'는 사회 전체의 문제1.아동 학대 신고 접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1년 아동학대 주요 통계'에 따르면, 아동 학대 신고 접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아동 학대 신고 중 아동 학대 의심 사례로 판단된 사례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2021년에 신고 접수 건수는 53932건으로 전년 대비 27.6% 증가하였고, 전체 아동 학대 신고 건수 중 96.6%에 해당하는 52083건이 아동 학대 의심 사례로 판단되었고, 아동 학대 의심 사례 중 30605건이 아동 학대 사례로 판단되었다. '2021년..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과학(Science)/산업 (Industry) 2023. 11. 12. 12:32
0. 목차'CCS' 기술의 배경'CCS' 산업의 특징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이산화탄소 수송 기술이산화탄소 전환 기술이산화탄소 저장 기술'CCS' 산업 동향'CCS' 관련 기업1. 'CSS' 기술의 배경1-1. 이산화탄소와 온실효과의 상관관계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는 '탄소(Carbon)' 원자 하나와 '산소(Oxygen)' 원자 둘이 결합한 화합물로, 화학식은 CO2이다. '이산화탄소'는 고체 상태에서 해빙될 때 바로 기체로 승화하여 '드라이아이스(Dry Ice)'라고도 불린다. '이산화탄소'는 기체 상태일 때는 '무색(Colorless)', '무취(Oderless)', '무미(Tasteless)'로 지구 대기의 0.04%에 불과하지만, 오늘날 '지구 온난화(Global Warming)'..
-
수소 에너지(Hydrogen Energy)과학(Science)/산업 (Industry) 2023. 11. 11. 21:44
0. 목차'수소'의 기본 성질'수소 에너지'란?'수소 에너지' 산업수소 생산 기술수소 저장·운송 기술'수소 에너지'의 이용수소 발전'수소 에너지' 관련 기업1. '수소'의 기본 성질 '주기율표(Periodic Table)'를 보면 '수소(Hydrogen)'의 원자 번호는 1번이다. 원자 번호는 원자 내부에 있는 '양성자(Proton)'의 개수와 같다. 즉, 원자 번호가 1인 수소는 양성자의 수가 1이며, 원자 구조로는 가장 단순한 원소이다. 수소 원자의 중심에는 '양성자(Proton)'가 1개 있고, 그 주위를 1개의 '전자(Electron)'가 돌고 있다. 원소의 질량은 '원자핵(Atomic Nucleus)'에 들어있는 '양성자(Proton)'와 '중성자(Neutron)'의 수를 합한 것으로 정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