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학(Science)/우주 (Universe) 75

WMAP 위성

0. 목차 WAMP 위성 이전 WAMP 위성 우주의 나이를 추정하였다. 우주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인플레이션 이론 우주의 종말을 예측하였다. WMAP 위성 이후 1. WMAP 위성 이전 1-1. 20세기까지만 해도 자료가 부족해, 우주론 연구를 수행하기가 어려웠다. 20세기에는 우주론학자들은 부족한 자료 때문에 제대로 된 '우주론(Cosmology)' 연구를 수행하기가 어려웠다. 그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서도 의견 일치를 보기가 매우 어려웠다. 하지만 관측 기기의 성능이 올라감에 따라 우주론은 상상과 추론이 난무하던 불확실성의 시대를 벗어나, 정확한 관측자료에 입각한 확실성의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그동안 우주론학자들은 사방에서 쏟아지는 비평을 감수해야 했다. 심혈을 기울여 이론을 내놓아도, 그..

외계인은 어떤 생각을 하고 살까?

지난 수십 년 동안 천체물리학이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외계인과 조우할 가능성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외계인을 만났을 때, 우리는 어떤 식으로 대응해야 할까? 이는 절대로 가볍게 생각할 문제가 아니다. 이 판단 하나로 인류의 미래가 결정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판단을 위해서는 우선 외계인이 어떤 '마음(Mind)'과 '의식(Consciousness)'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외계인은 과연 어떤 '마음'과 '의식'을 가지고 있을까? 0. 목차 공상과학물에서의 외계인 가까운 미래에 외계인과 접촉하게 될 것이다. 동물의 의식 환경 세계 두 가지 번식법 외계인은 무엇을 원할까? 1. 공상과학물에서의 외계인 1-1. 우주전쟁 '하버트 조지 웰스(Herbert George Wells)'의 소설 '우주전쟁..

스타십을 위한 '추진 시스템'

'스타십(Starship)'이란 태양계를 벗어나 외계의 별로 가는 우주선의 총칭이다. 하지만 현재 기술 수준으로 항성 간 우주여행은 불가능하다. 가장 큰 문제는 '추진 시스템'이다. 전통적인 화학연료로켓으로는 가장 가까운 별인 '알파 센타우리(Alpha Centauri)'까지 가는 데만도 무려 7만 년이 걸린다. 그러면 항성 간 우주여행을 하려면 우주선 어떤 '추진 시스템'이 필요할까? 항성 간 우주여행에 적용할 수 있는 추진 시스템은 '태양광 항해(Solar sail)', '레이저 항해(Laser Sail)', '핵추진 펄스 로켓(Nuclear pulse rocket)', '램제트 융합(Ramjet fusion)', '반물질 로켓(Antimatter roket)', '나노 우주선(Nanoship)'이 ..

'외계행성'은 어떻게 찾아낼까?

우주 과학의 성배는 뭐니 뭐니 해도 '외계행성(Extra-solar Planet)'에 사는 생명체는 찾는 일이다. 이것은 탐사로봇에게 주어진 첫 번째 임무이기도 하다. 그럼 외계행성으로 탐사로봇이 보내지지 않은 지금은 어떻게 외계행성을 찾아내고 있을까? 0. 목차 목성형 외계행성 찾기 지구형 외계행성 찾기 외계행성의 발견 골디락스존 외에도 생명체가 있을지 모른다. 떠돌이 행성에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1. 목성형 외계행성 찾기 지금까지 천문학자들은 지구에 기반을 둔 천체망원경으로 '외계 태양계'에서 수백 개 이상의 행성을 찾아냈으며, 지금도 새로운 행성이 꾸준히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실망스럽게도 이들은 한결같이 목성형 행성뿐이다. 하지만 '목성형 행성'은 지구보다 덩치가 훨씬 크고 기체로 되..

왜소행성(Drwarf Planet)

0. 목차 '왜소행성'이란 무엇인가? 세레스(Ceres) 명왕성(Pluto) 에리스(Eris) 하우미아(Haumea) 마케마케(Makemake) 1. '왜소행성'이란 무엇인가? '왜소행성(Drwarf Planet)'은 2006년 8월, '국제천문연맹(IAU)'에서 태양계의 행성에 대한 분류법을 새로 계정하면서 만들어진 천체의 한 종류이다. 소행성과 행성의 중간 단계의 천체를 분류할 때 쓰인다. 최근 천문기기의 발달로, 지금껏 보지 못했던 작은 천체들이 계속 발견되었다. 심지어 명왕성의 크기만하거나 더 큰 천체들이 발견되기에 이르자, 2006년 8월 '국제천문연맹(IAU)'에서는 태양계의 행성에 대한 분류법을 새로 개정하면서, 왜소 행성이라는 새로운 명칭을 제정하였다. 왜소행성은 다음과 같이 4가지 항목에..

소행성(Asteroid)

화성과 목성 궤도 사이에는 소행성들이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소행성대(Asteroid Belt)'라고 불리는 이곳에는 '소행성(Asteroid)'들이 띠 모양으로 떠돌고 있다. 그 개수만 해도 약 80만 개 정도로 추정된다고 한다. 발견되는 것의 대부분은, 크기가 작아서 스스로의 중력으로 '공 모양'이 되지 못하고 변형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암석 위주의 천체인 경우, 공 모양이 되기 위해서는 지름 800km 정도가 필요하다고 한다. 여기에서는 이미 생긴 목성 등 거대 행성의 강한 중력에 의해 궤도가 흔들리고 서로 충돌하는 속도가 너무 빨라서, 행성으로 성장하기 보다 파괴되는 경향이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0. 목차 소행성의 기원 소행성 탐사 소행성과 지구가 충돌할 가능성 소행성 목록 1. 소행성의..

혜성(Comet)

'혜성(Comet)'은 행성으로 성장하지 못한 얼음먼지로 주로 '카이퍼대(Kuiper Belt)'와 '오르트 구름(Oort cloud)'에 분포하고 있다. 혜성은 '얼음먼지(Icy Dust)'로 구성되어 있다. 얼음먼지에서 얼음이란 단어는, 먼지의 온도가 낮나는 물리적 설명이 아니라 먼지를 구성하는 성분이 고체형태라는 의미이다. 혜성의 핵은 태양계가 생긴 초기 단계에 태양계의 가장자리에서 생긴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소행성과 마찬가지로, 초기 태양계의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0. 목차 혜성의 정체는 어떻게 밝혀졌는가? 혜성의 종류 혜성의 꼬리 혜성 목록 1. 혜성의 정체는 어떻게 밝혀졌는가? 1-1. 중세시대에 혜성은 대체로 불길한 징조로 간주되었다. 지난 수천 년 동안 '혜성(Comet)..

퀘이사(Quasar)

0. 목차 퀘이사가 화이트홀이라고 주장한 '노비코프' 퀘이사의 정체는 초대질량 블랙홀 초기 우주의 퀘이사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초기 우주의 퀘이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 옛날의 퀘이사가 빛을 잃은 이유 1. 퀘이사가 화이트홀이라고 주장한 '노비코프' 러시아의 천체물리학자 '이고리 드미트리예비치 노비코프(Igor Dmitriyevich Novikov)'는 1964년에 멀리 떨어진 '퀘이사(quasar)'가 '화이트홀(White Hole)'이라는 설을 발표했다. 정체불명의 천체 '퀘이사'가 '화이트홀'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퀘이사는 매우 멀리 떨어진 곳에서 강한 에너지를 복사하는 천체이다. 그는 퀘이사를 늦게 발생한 빅뱅이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실제 퀘이사는 빅뱅이 늦어진 영역에 있지 않았다. 퀘이사가 화..

감마선 폭발(gamma ray burst)

0. 목차 감마선 폭발의 원인은 '극초신성 폭발' 감마선 폭발의 메커니즘 짧은 감마선 폭발의 정체 아주 먼 곳에서 일어난 감마선 폭발이 관측되었다 . 감마선 폭발로 초기 우주를 탐구한다. 감마선 폭발이 지구에 타격을 가할 가능성 1. 감마선 폭발의 원인은 '극초신성 폭발' 1967년에 높은 에너지의 감마선이 우주에서 짧은 시간에 대량으로 쏟아져 내리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감마선 폭발(Gamma Ray Burst)'이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짧은 시간 만에 사라져서, 그 정체가 오랫동안 베일에 싸여있었다. 그러다 1997년에 발사된 이탈리아와 네덜란드의 관측 위성 '베포 삭스(Beppo SAX)'와 2000년에 발사된 일본·미국·프랑스의 소형 위성 '헤테-2(HETE-2)' 등의 활약에 의해 그 정체가 서..

양자 우주론(Quantum Cosmology)

0. 목차 일반 상대성 이론과 빅뱅 우주의 시작은 과학을 초월하는가? '우주의 시작'을 '과학의 영역'으로 끌어들이자. 허수 시간에서 빅뱅까지 1. 일반 상대성 이론과 빅뱅 1-1. 일반 상대성 이론 '일반 상대성 이론(Theory of general relativity)'을 한마디로 말하면, 공간도 변하고 운동한다는 이론이다. 운동을 한다고 해도 우주 공간이 다른 훨씬 큰 공간에 떠 있는 것이 아니므로, 공간 자체가 움직여 다닌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공간의 운동'이란 공간 안의 두 점 사이의 거리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을 말한다. 공간이 여기저기 늘어나거나 줄어들면, 휘어진 공간이 생긴다. 그리고 그 휘어진 공간을 물체가 운동하면, 그 궤도도 휘어지게 된다. 물체가 중력에 끌려서 낙하하는 현상을..

슈퍼 GZK 우주선(Super GZK cosmic ray)

'우주선(cosmic ray)'이란 우주에서 지상으로 내리쬐는 고속의 입자이다. 그런데 에너지가 지극히 높은 우주선인 '슈퍼 GZK 우주선(Super GZK cosmic ray)'을 두고 흥미로운 논쟁이 일어나고 있다. '상대성 이론(Theory of relativity)'을 이용한 계산에 의하면, 이러한 우주선은 관측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올바른 것은 상대성 이론일까? 관측 결과일까? 그래서 이 논쟁에 대해 결론을 짓기 위해, 서로 다른 주장을 한 연구팀이 손을 잡고 대규모 공동 관측을 하였다. 앞으로의 '슈퍼 GZK 우주선'의 검증에 따라, 물리학이나 천문학에 대변혁이 올지도 모른다. 예컨대 아인슈타인이 제창한 '상대성 이론'의 한계가 발견되거나,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천체가 발견..

'은하'의 탄생과 진화

0. 목차 대규모 구조 허블의 분류법(Hubble classification) 은하의 구조 다양한 은하와 각각의 특징 원시 은하 은하의 다양성 형성 '초기 은하의 탄생' 메커니즘 규명의 열쇠 은하 탄생의 규명에 도전하는 국제 공동 프로젝트 1. 대규모 구조 우주에는 수천억 개 정도의 항성이 모인 '은하'가 있고, 은하가 수백 개 정도 모인 '은하단(Galaxy Cluster)'이 있고, 그리고 더 무수히 많은 은하가 이어진 '대규모 구조(Large Scale Structure)'가 있다. 이것이 우리 '우주의 구조'다. 1000만 광년의 지름 안에 50개 이상의 은하가 집단을 이루고 있으면, 그것을 '은하단'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 은하단이 모여 '초은하단'을 이룬다. '초은하단'은 실 모양이나 판 모..

우주론(Cosmology)

0. 목차 우주의 진화 우주론과 '일반 상대성 이론' 빅뱅 이론 우주와 '양자론' 우주의 탄생 1. 우주의 진화 우주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현재의 모습이 되었는지는 인류의 오래된 의문이다. 이 궁극의 의문에 대한 답을 찾아내기 위해, 사람들은 예로부터 시행착오를 거듭해왔다. 20세기에 들어와서는 '우주는 팽창하고 있다'라는 사실을 밝혀냈으며, 더욱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우주는 '무(無)'에서 탄생했다고 생각하는 '우주 탄생론'까지 나왔다. '우주론(Cosmology)'은 20세기에 놀라운 발전을 이룩하였다. 20세기에 이룩한 이 우주론의 성과를 한 마디로 말하면 '우주는 진화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는 것이다. 생물이 진화해 왔다는 사실은 '찰스 다윈(Charles Robert Darwin..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

2021년 말에 발사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은 사상 최대의 천체 망원경이다. 미국의 우주 개발을 주도해 온 NASA의 2대 국장 '제임스 E. 웨브(James E. Webb, 1906~1992)'의 이름을 따서 그 이름을 지었다. '허블 우주 망원경'과 '허셜 우주 망원경'에 이어 다음 세대를 담당할 주력 우주 망원경으로서, 천문학의 발견에 기대가 쏠리고 있다. 새로운 우주 망원경의 목적과 관측 장치, 제작부터 발사까지의 이야기 등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에 대해서 알아보자. 0. 목차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주경'은 18장의 분할 거울 통합 과학 기기 모듈(ISIM) 태양의 열로부터 망원경을 지키는 '차양' 발사와 관측 준비 갤러리 1. 제임스 ..

'초신성'과 '극초신성'

0. 목차 역사에서의 초신성 관측 현대의 초신성 관측 초신성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항성이 탄생하는 메커니즘 항성이 폭발하는 메커니즘 '어두운 초신성'과 '극초신성' 항성의 한계 질량 극초신성 중성미자 천문학 1. 역사에서의 초신성 관측 밤 '초경(初更)'에 '객성(客星)'이 '미수(尾宿)'의 10°의 위치에 있었는데, 북극성과는 110°의 위치였다. 형체는 '세성(歲星)'보다 작고 황적색이었으며, 빛이 반짝이듯 보였다. 위의 내용은 '조선왕조실록'에 나오는 1604년 음력 9월 21의 '초신성(supernova)' 관측 기록이다. 위에서 말한 '객성(客星)'은 '일정한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별'을 뜻하며, 요즘 말하는 초신성, 신성, 변광성, 혜성 등을 포함한다. 우리나라에 관측 ..

블랙홀(Black Hole)

0. 목차 블랙홀, 화이트홀, 웜홀 블랙홀의 존재를 어떻게 알게 되었는가? 항성 질량 블랙홀(Stellar-Mass Black Hole) 거대 질량 블랙홀(Super Massive Black Hole) 블랙홀 속으로 블랙홀 증발(Black-Hole Evaporation) 화이트홀(White hole) 웜홀(Worm hole) 블랙홀 발전 블랙홀 갤러리 1. 블랙홀, 화이트홀, 웜홀 '블랙홀'은 우주에서 가장 불가사의하고 흥미로운 천체이다. 그리고 '블랙홀'과 동시에 예언된 '화이트홀'과 '웜홀'도 기존의 상식을 뛰어넘는 존재이다. 먼저 여기에서는 '블랙홀(Black Hole)', '화이트홀(White Hole)', '웜홀(Worm Hole)'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요약하고 소개한다. 1-1. 블랙홀 '블랙..

'항성'의 일생

일반적으로 '별'이라고 하는 경우, 항성 이외에도 행성이나 소행성이 포함된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특별히 말하지 않는 한, 항성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0. 목차 항성 항성의 일생 항성의 탄생 항성의 나이 항성의 성장 별이 늙으면 부풀어서 거성이 된다. 행성상 성운 백색 왜성 초신성 폭발 중성자별 블랙홀 갤러리 1. 항성 1-1. 항성의 HR도 미국의 천문학자 '헨리 러셀(Henry Norris Russell, 1877~1957)'과 덴마크의 천문학자 '에즈나 헤르츠스프룽(Ejnar Hertzsprung, 1873~1967)'은 별의 밝기를 의미하는 '절대 등급'과 온도를 의미하는 '색(Color)'의 관계에 주목했다. 그리고 밝기를 세로축으로, 색을 가로축으로 하여, 거기에 별들을 나열했다...

컨스털레이션 계획(Project Constellation)

0. 목차 미국과 소련의 냉전 체제 컨스털레이션 계획 오마바 정부가 '컨스털레이션 계획'을 취소시켰다. 1. 미국과 소련의 냉전 체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 사이에 '냉전 체제(cold war)'가 계속되었다. '냉전 체제(Cold War)'란 양극체제하에서 사회주의 진영과 자본주의 진영 간의 잠재적인 권력투쟁를 말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두 나라는 세계에 힘을 과시하기 위해, 우주개발을 하기 시작했다. 1-1. 인공위성 경쟁에서 소련이 앞섰다. 먼저 그 막을 연 것은, 1957년 10월 4일 소련이 발사한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Sputnik 1)'였다. 스푸트니크는 지름이 겨우 58cm에 불과했지만, 스푸트니크 1호의 성공은 미국에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 그리고 같은 해 1..

무인 달 탐사선 '가구야(SELENE)'

0. 목차 달 탐사선 '가구야(SELENE)' '가구야(SELENE)'의 목표 가구야의 발사부터 관측까지 가구야의 성과 1. 달 탐사선 '가구야(SELENE)' '가구야(SELENE)'는 2007년 9월에 발사되어 2009년 6월까지 임무를 완수한 일본의 무인 달 탐사선이다. 가구야는 달의 기원과 진화 등 여전히 남아있는 달의 수수께끼를 규명하기 위해, '아폴로 계획(Apollo Project)' 이후 최대 규모로 탐사 활동을 벌였다. 그 결과, 지하 구조와 중력 이상 등 새로운 연구 성과가 발표되었다. '가구야'의 큰 특징 가운데 하나는 원소, 암석, 광물의 분포 등을 달 전체에 걸쳐 상세하게 관측한 일이다. '가구야' 이전에 달 전체를 상세하게 관측한 사례는 없다. 예컨대, 1960~1970년대에 아..

달(Moon)

0. 기본 데이터 지구와 달의 평균 거리: 38만 4400km 공전 궤도: 27.32일 자전 궤도: 27.32일 적도 반지름: 1738km 질량(지구=1): 0.012300 평균 밀도: 3340kg/m3 이심률: 0.0090 자전축 기울기 (황도면 기준): 1.5424° 자전축 기울기 (궤도면 기준): 6.687° 0-1. 목차 지구의 유일한 위성 과학은 달의 관측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달의 차오름과 이지러짐 달의 기원 달의 표면 조석 일식과 월식 1. 지구의 유일한 위성 상당수의 '행성(Planet)'은 그 주위에 '위성(Satellite)'을 가지고 있다. 태양계의 경우 '위성이 존재하지 않는 행성'은 지구보다 안쪽 궤도를 돌고 있는 '수성(Mercury)'과 '금성(Venus)' 뿐이다. 한편, 지구..

'소천체' 탐사

우리의 태양계에는 '항성(Star)'이 1개, '행성(Planet)'이 1개, '왜소행성(Dwarf Planet)'이 6개, '위성(Natural Satellite)'이 수백 개, 그리고 셀 수 없이 많은 '소행성(Asteroid)'이나 '해왕성 궤도 통과 천체', '혜성(Comet)', '그 밖의 소천체'가 있다. 최근에는 이런 소천체에 대한 탐사들도 이뤄지고 있다. '소천체'의 탐사 목적은 무엇이고, 왜 작은 천체를 탐사하는 걸까? 우리는 작은 천체에서 어떤 정보를 얻을 수 있을까? 0. 목차 위성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소천체에서만 얻을 수 있는 정보 소천체의 연구 1. 위성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위성은 모두 같은 방식으로 탄생한 것이 아니다. 위성이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대해서는 크게 3가지 설이..

명왕성(Pluto) -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한 '왜소 행성'

0. 목차 기본 데이터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한 '왜소 행성' 명왕성의 위성 명왕성은 어떻게 행성 지위를 박탈 당했는가? 1. 기본 데이터 궤도 반지름(천문단위 지구=1): 39.93 공전 주기: 248년 자전 주기: 6.4일 적도 반지름: 1185km 질량(지구=1): 0.0019 평균 밀도: 1852kg/m3 위성 수: 5개 이상 이심률: 0.249 궤도 경사각도: 17.145 2.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한 '왜소 행성' '명왕성은 오랫동안 태양계의 행성 중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행성으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2006년에 새로 정해진 행성의 정의에 따라, 명왕성은 '왜소 행성(Dwarf Planet)'이라는 새로운 범주로 분류되었다. 태양에서 명왕성의 거리는 평균 약 59억 km나 된다. 나아가, 명왕성의..

해왕성(Neptune) - 태양계의 여덟번째 행성

0. 목차 기본 데이터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 해왕성의 위성 1. 기본 데이터 궤도 반지름(천문단위 지구=1): 30.110 공전 주기: 164.77년 자전 주기: 0.671일 적도 반지름: 24764km (지구의 약 3.88배) 질량: 102.420×1024kg (지구의 약 17.15배) 평균 밀도: 1640kg/m3 적도 중력: 약 10.9m/s2 (지구의 약 1.11배) 위성 수: 14개 이상 이심률: 0.0090 궤도 경사각도: 1.770 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약 45억 445만 km (지구의 약 30.1104배) 발견 시기: 1846년 2.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 해왕성은 명왕성이 행성 분류에서 제외된 이후,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으로 인정되고 있는 거대 얼음 행성이다. 반지름은 약 25000k..

천왕성(Uranus) - 태양계의 일곱번째 행성

0. 목차'천왕성'의 기본 데이터청록색의 거대 얼음 행성 '천왕성'천왕성의 고리지금까지 천왕성에 근접한 우주선은 '보이저 2호' 뿐이다.천왕성의 위성1. '천왕성'의 기본 데이터궤도 반지름(천문단위 지구=1): 19.218공전 주기: 84.0223년자전 주기: 0.718일적도 반지름: 25559km (지구의 약 4.01배)질량: 86.833×1024kg (지구의 약 14.54배)평균 밀도: 1270kg/m3적도 중력: 약 8.7m/s2 (지구의 약 0.89배)위성 수: 27이심률: 0.0463궤도 경사각도: 0.773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약 28억 7503만 km (지구의 약 19.2184배)발견 시기: 1781년2. 청록색의 거대 얼음 행성 '천왕성' ..

토성(Saturn) - 태양계의 여섯번째 행성

0. 목차 기본 데이터 아름다운 고리를 가진 거대 가스 행성 토성의 고리 지구에서의 토성 관측 토성의 위성 관측선 1. 기본 데이터 궤도 반지름(천문단위 지구=1): 9.555 공전 주기: 29.4578년 자전 주기: 0.444일 적도 반지름: 60268km (지구의 약 9.45배) 질량: 568.296×1024(지구의 약 95.16배) 평균 밀도: 690kg/m3 위성 수: 83개 이상 이심률: 0.0555 궤도 경사각도: 2.489 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약 14억 2939km (지구의 약 9.5549배) 2. 아름다운 고리를 가진 거대 가스 행성 '토성(Saturn)'은 '목성(Jupiter)'과 마찬가지로 거대 가스 행성이다. 내부 구조도 목성과 아주 비슷하다. 중심 부분의 핵은 암석과 얼음으..

목성(Jupiter) - 태양계의 다섯번째 행성

0. 목차 기본 데이터 목성 목성의 표면 슬링샷 효과 목성의 위성 역대 목성 탐사선 1. 목성 기본 데이터 궤도 반지름(천문단위 지구=1): 5.203 공전 주기: 11.8622일 자전 주기: 0.414일 적도 반지름: 71492km (지구의 약 11.21배) 질량: 약 1898.081×1024 (지구의 약 317.83배) 적도 중력: 약 23.2m/s2 평균 밀도: 1330kg/m3 위성 수: 79개 이상 이심률: 0.0485 궤도 경사각도: 1.303 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약 7억 7830km (지구의 약 5.2026배) 2. 목성 '목성(Jupiter)'은 반지름이 지구의 약 11배, 질량도 지구의 318배나 되는 행성이다. 목성은 지구처럼 딱딱한 지표면을 가진 '지구형 행성'이 아닌, 표면이..

화성(Mars) - 태양계의 네번째 행성

0. 목차 기본 데이터 화성의 환경 화성의 물과 얼음 화성에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 지구로부터의 화성 관측 화성의 위성 포보스와 데이모스에 사람을 보내면 좋은 점 1. 기본 데이터 궤도 반지름(천문단위 지구=1): 1.524 공전 주기: 686.98일 자전 주기: 1.026일 (24시간 37분 22초) 적도 반지름: 3396km (지구의 약 0.38배) 질량: 0.641×1024kg (지구의 약 0.1074배) 평균 밀도: 3930kg/m3 적도 중력: 약 3.7m/s2 (지구의 약 0.38배) 위성 수: 2 이심률: 0.0934 궤도 경사각도: 1.849 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약 2억 2794만 km (지구의 약 1.523배) 2. 화성의 환경 화성은 지구 바깥쪽에 위치한 행성이다. 지구에서도 붉게..

금성(Venus) - 태양계의 두번째 행성

0. 목차 기본 데이터 금성 금성의 환경 지구에서의 관측 역대 금성 탐사선 1. 기본 데이터 궤도 반지름(천문단위 지구=1): 0.723 공전 주기: 224.70일 자전 주기: 243.02일 (역회전) 적도 반지름: 6052km (지구의 약 0.8150배) 질량: 약 4.867×1024 (지구의 약 0.815배) 평균 밀도: 5240kg/m3 위성 수: 0 이심률: 0.0068 궤도 경사각도: 3.395 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약 1억 820만 km (지구의 약 0.7233배) 2. 금성 서양에서는 금성의 이름을 로마 신화에 나오는 미의 여신인 이름을 따서 '비너스(Venus)'라고 부른다. 비너스는 그리스 신화에서는 '아프로디테'라고 불린다. 2-1. 금성은 다른 행성들과 반대 방향으로 자전한다. ..

수성(Mercury) - 태양계의 첫번째 행성

0. 목차 기본데이터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 수성의 표면 수성의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 수성의 거대한 핵은 어떻게 만들어 졌는가? 역대 수성 탐사선 1. 기본 데이터 궤도 반지름(천문단위 지구=1): 0.387 공전 주기: 87.97일 자전 주기: 58.65일 적도 반지름: 2440km (지구의 약 0.38배) 질량: 0.339×1024(지구의 약 0.05527배) 평균 밀도: 5430kg/m3 위성 수: 0 이심률: 0.2056 궤도 경사각도: 7.005 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약 5791만km (지구의 약 0.3781배) 2.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 수성은 태양계에 있는 8개의 행성 중에서 가장 작지만, 평균 밀도는 1m3당 5430kg으로 지구에 이어 둘째이다. 수성의 중력은 지구의 약 ..

NASA의 화성 유인 탐사 계획

0. 목차 화물 운반의 난제 로켓의 추진 시스템 호만 전이 궤도 우주선 내부의 생활 화성으로의 진입 화성의 기후 화성에서의 조사 작업 연료 조달 방사선 문제, 무중력 문제 지구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유인 우주 탐사 훈련'과 '로봇의 실증 실험' 1. 화물 운반의 난제 화성에 갈 때는 편도 6개월 정도가 걸리며, 곧바로 지구로 다시 귀환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이렇게 장기간에 걸친 우주 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물이나 식료품, 산소뿐만 아니라 화성에서 사용할 기지, 화성에 이착륙하기 위한 로켓, 귀환용 우주선 등도 필요하다. 아마 이 화물의 운반이 화성 유인 비행에서 가장 큰 난제일 것이다. NASA의 탐사 시스템 부서 담당 부국장보였던 '더 글러스 쿡'에 의하면, 그 무게의 합은 470톤이나 될 것이라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