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목차
- 식품 산업
- '고부가가치 식품'이란?
- '고부가가치 식품' 관련 기술
- 한국의 식품 산업 정책
- '고부가가치 식품' 관련 기업
1. 식품 산업
대한민국 식품위생법 제2조 제1호에 의하면, '식품'이란 사람이 직접 먹거나 마실 수 있는 농산물이나 농산물을 원료로 하는 모든 음식물로 정의하고 있다. 식품 산업은 '식품생산', '가공', '제조', '조리', '포장', '보관', '수송' 또는 판매하는 사업을 아우르는 산업이다. 식량원인 농수산물의 가공·저장·수송·판매를 통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형태로 필요한 시기에 공급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을 높이고, 생산과정에서 '고용(Employment)'과 '부가가치(Value Added)'를 창출하는 산업이다. 국가통계포털 산업분류표에 의하면, 식품 산업은 크게 '식료품 제조업', '음식점 및 주점업', '음식료품 및 담배 도소매업'으로 나눠진다. 세부내용은 아래의 표와 같다.
분류 | 세부내용 |
식료품 제조업 | 도축, 육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 |
과실, 채소 가공 및 저장 처리업 | |
낙농제품 및 식용 빙과료 제조업 | |
기타식료품 제조업 | |
수산물 가공 및 저장 처리업 | |
동물성 및 식물청 유지 제조업 | |
곡물 가공품, 전분 및 전분제품 제조업 | |
동물용 사료 및 조제식품 제조업 | |
음식점 및 주점업 | 접객시설을 갖추고 구내에서 직접 소비할 수 있는 음식을 조리하여 제공하는 음식점을 운영하는 산업 활동과 접객시설을 갖추고 주류, 다과류 및 비알코올 음료를 판매하는 산업 활동. |
접객시설 없이 고객이 주문한 음식을 직접 조리하여 배달하거나 연회장과 같은 행사장에 출장하여 고객이 주문한 음식물을 조리, 제공하는 산업 활동도 포함. | |
음식료품 및 담배 도소매업 | 과실, 채소, 식용유지, 도축 고기, 수산물, 설탕, 과장류 및 빵류, 음료, 커피차, 코코아 및 조미료, 가공 담배 등을 도소매하는 산업 활동을 말함. |
1-1. 식품 산업 시장의 변화
과거 식품 산업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필수소비재 산업으로, 산업의 영역은 1차 원료 농산물의 생산과 소비, 그리고 1차 원료를 이용한 단순 가공식품 생산·소비 정도가 대부분이었다. 식품 산업의 경우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식품을 제공하기 위해 대량생산체계가 적당하지 못했기에, 소수 대기업과 다수 중소기업이 병해하고 있는 이중 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과거의 식품 산업은 원재료인 농산물·수산물·축산물은 부패·변질의 가능성이 높아 시장 범위가 지역 내로 한정되어 있었다. 또 과거에는 생산비 중 원재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지속적인 먹거리의 생산을 위해서는 '유통'과 '서비스'의 유기적인 연계가 중요했었다.
현재 식품산업은 경제 성장과 함께 고도화된 산업 구조로 변화함에 따라 '저출산',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등의 '라이프 스타일(Life Style)'의 변화로 인한 소비자의 수요 패턴이 변경되고 있다. 이에 맞춘 '고급화', '다양화', '편의화' 등의 기호성 식품 개발 산업 및 식품 안정성 강화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두각 됨에 따라 시장이 변화하고 있다.
2. '고부가가치 식품'이란?
'고부가가치 식품(High Value Food)'은 기존 전통적 개념의 식품인 '건강기능식품'과, 전통식품에 '기능성 소재', '친환경 안전 기술', '저염화 기술', '글로벌화 기술', '첨단 정보통신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을 접목시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식품이다.
2-1. '고부가가치 식품'의 종류
'고부가가치 식품'에 해당되는 종류로는 '건강 기능. 식품', '친환경 안심·편의 식품', '웰빙 전통 식품', 'u-식품 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고부가가치 식품'은 식품안전, 건강 중시에 대한 소비 트렌드와 부합하여, 신성장 동력 산업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반려동물의 인식 변화로 반려동물의 '기능성 사료'에 대한 부분도 포함하고 있다.
- 건강 기능 식품(Health Functional Food): '건강 기능 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가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한 건강기능성 식품을 포함한다. 그리고 60세 이상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건강 유지' 및 '인체 기능 유지'를 위해, 유용한 기능성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가공된 '고령 친화 식품' 등을 포함한다. '건강기능식품'은 적용 기술에 따라 '노화·고령질환 개선 식품', '항암·면역 기능 증진 식품', '항비만·항노화 식품', '건강 유지·향상 식품' 등으로 구분된다.
- 친환경 안심·편의 식품: '친환경 안심·편의 식품'은 환경을 보전하고 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한 농축산물을 공급하기 위한 식품이다 '친환경 안심·편의 식품'은 '유기합성 농약', '화학비료', '사료첨가제' 등 화학자재를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량만을 사용하여 생산한 농축산물과 이를 사용하여 제조·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친환경 안심·편의 식품'은 적용 기술에 따라 '친환경 안전식품 제조 기술', '식품 산도 조절 기술', '비열 살균 기술', '비열 농축 기술', '미생물 및 효소 이용 기술', '기능성 신소재 탐색 기술', '친환경 농자재 생산 기술' 등으로 구분된다.
- 웰빙 전통 식품: '웰빙 전통 식품'은 사용하는 원료와 제조방식에 구분하면 '식물 발효 기술', '양조 기술', '수산물 발효 기술', '가공식품 제조 기술'로 분류된다. '식물 발효 기술'에는 '김치', '장류', '식초류', '절임류', '장아찌류', '식혜' 등을 포함하고 있다. 콩을 발효시킨 된장·고추장·청국장 등의 '장류', 배추나 무와 같은 야채를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김치류' 등은 대표적인 전통 식품에 해당한다.
- u-식품 시스템 (u-Food System): 'u-식품 시스템(u-Food System)'은 식품의 원료 생산부터 가공·유통·판매·소비자에 이르기까지, 전 단계에 걸쳐 관련 정보 및 품질을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예측·관리할 수 있는 차세대 지능형 식품 시스템이다. 'u-식품 시스템'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단체급식 사고', '건전한 식생활', '선진 유통 체계 구축', '식품 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알 권리 해소' 등을 통해 국민 건강 및 식문화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2-2. '고부가가가치 식품'의 발전
'식품 산업'은 단순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보유하는 것이 아닌 'BT(Biology Technology)', 'IT(Information Technology)', 'NT(Nano Technology)' 등의 '첨단 기술', '문화', '관광' 등 타 분야와와 접목되어 고부가가치를 지닌 식품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식품 시장이 확대: 소득 수준의 향상과 핵가족화 등에 따른 식품 소비 트렌드의 변화로 식품 소비 시장이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외식이나 가공식품 등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식품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 특정 소비자층을 위한 식품: 또한 '영유아', '병약자', '노약자', '비만자', '임산부', '수유부' 등 특별한 영양관리가 필요한 특정 소비자층을 위하여, 식품과 영양소를 배합하는 '건강 기능 식품'의 수요 증가로 인해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성분을 이용한 식품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 가공식품의 고품질화: 아울러 가공식품의 고품질화가 진행되면서, 미각 만족도 만족을 위한 관련 기술들도 발달하고 있다.
- 반려동물을 위한 식품: 식품에 대한 고부가가치는 사람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이에 '단순 사료'가 아닌 '신선식품', '동결건조', '수제간식' 등 다양한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사항이 높아졌다.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문성과 특수성을 확보하기 위한 '반려동물 식품' 개발 또한 떠오르고 있다.
3. '고부가가치 식품' 관련 기술
시대 변화에 따라 식품 산업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안정성', '편리성', '위생', '맛', '먹거리'의 원산지 등 소비자들의 니즈에 맞추기 위해 다양한 제품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에 식품 업계에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식품 관련 기술들이 필요하게 되었다.
- 가정간편식(HMR: Home Meal Rep Iacement): '완전 조리' 또는 '반조리' 형태로 제공되어 가정 내에서 바로 또는 간단히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편의성이 부여된 식품
- 특수용도 식품(Care Food): 영·유아, 병약자, 노약자, 비만자, 임산부, 수유부 등 특별한 영양관리가 필요한 특정 대상을 위하여, 식품과 영양소를 배합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
3-1. '가정간편식(HMR)' 제조 기술
'가정간편식(HMR: Home Meal Rep Iacement)'는 가정 내 소비를 위하여 가정 외에서 '완전 조리' 또는 '반조리' 형태로 제공되어 가정 내에서 바로 또는 간단히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편의성이 부여된 식품이다. '가정간편식(HMR)'은 '요리할 때 필요한 식재료 구입', '손질 등 조리 과정에서 드는 노동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탄생했다.
과거에는 불량식품으로 보는 인식도 많았지만, 최근엔 고급화와 프리미엄을 강조하면서 퀄리티가 많이 높아졌다. 최근 방송 프로그램에서 유명 셰프의 레시피를 토대로 한 제품도 등장하면서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전자레인지 조리 가능 용기 사용' 등 기능성 포장재 기술도 발달하고 있다.
HMR 제조 기술 | 개요 |
즉석조리식품 제조 방법 | 식품 내용물의 특성에 맞는 가공·포장 기술 |
간편식 패키징 및 포장 용기 개발 기술 | 간편식의 '장기유통', '사용 편의성', '포장폐기물 저감'을 위한 포장 기술 |
식품 물성 유지 기술 | 소비자의 기호에 최적화된 식품별 물성 조절 기술 |
고령식 즉석조리식품 제조 기술 | 고령자의 기호와 거동 그리고 섭취 특성을 고려한 간편식 제조 기술 |
즉석조리법 관련 기술 | 사용자 편의와 안전을 고려한 즉석 식품 조리 기술 |
가열·냉동 간편식 제조 기술 | 식품별 조리·저장·품질 특성을 고려한 간편식 제조 기술 |
3-2. '특수용도 식품' 제조 기술
'특수용도 식품(Care Food)'이란 영·유아, 병약자, 노약자, 비만자, 임산부, 수유부 등 특별한 영양관리가 필요한 특정 대상을 위하여, 식품과 영양소를 배합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식생활 구조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사회경제적 또는 인구학적 요인 변화로 세대 구성원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로 음식 소비에 한계가 있어 식사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불러왔다. 또한 과학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이에 따른 '특수용도 식품'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영유아 제품의 경우, 단순히 죽이나 밥이 아닌 국수·덮밥·그라탱 등 새로운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또 최근 유기농·고품질 소재를 쓰면서도, 사용의 편리성을 강조하는 식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특수용도 식품' 제조 기술 | 개요 |
노인성 질환 예방/개선 식품 개발 식품 | 노인성 질환 중 상당 부분은 시력 감퇴, 잇몸 악화 등과 관련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 |
노인성 질환이 잇몸 악화 및 시력 감퇴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사용 | |
기능성 천연물 소재를 함유하는 노인성 식물 조성물 개발 기술 | 식물추출물과 같이 안전성이 보장된 천연물을 이용하여 기능성 보조제를 개발 |
'레스베라트롤(RSV)'이라는 포도껍질 속의 폴리페놀류 성분이 항산화, 항노화, 생명 연장, 대사기능 촉진 등 다양한 생리 활성이 밝혀지고 있다. RSV 같은 새로운 물질 탐색과 개발 | |
체중조절용 식품 개발 기술 | 장기 복용 시 혈압 상승, 의존성 설사, 변비, 불면, 불안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므로 비만을 억제하기 위해서 오랜 세월 동안 안전성과 생리 기능이 검증된 여러 식품소재를 이용 |
식이섬유, 생약재, 여러 식품소재를 함유하는 제품들이 개발 | |
저작기능약화를 고려한 노인용 식품조성물 개발 기술 | 죽 종류 식품은 입자가 고아서 특별한 저작활동을 요하지 않아 유아, 노인, 환자들에게 유용하게 이용 |
기능성이 부여되고 관능성이 향상되면서도 저장성이 증대된 영양 죽을 위한 각종 섬유 식자재 첨가 개발 | |
환자 질환 예방·개선용 식품 개살 기술 | 프로바이오틱을 이용한 염증 질환 예방·치료에 용이한 식품을 위주로 개발 |
세균 또는 곰팡이의 감염에 의한 염증을 효율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개발 | |
면역력 개선 건강기능 식품 개발 기술 | 무, 건 홍고추, 마늘, 건표고버섯, 생강, 양파, 검은콩, 건매실 등의 영양 식자재를 첨가 후 고온에서 가열하여 추출한 식품 등을 개발 |
피로회복은 물론 면역력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재료 위주로 기술 개발 |
3-3. '반려동물 식품' 제조 기술
'반려동물 식품'은 주식과 간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주식'은 사료에 속하는 것으로 반려동물의 연령별·특징별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다. '간식'은 사료 식품을 제외한 반려동물의 식품을 칭한다. 또한 사료는 '영양가', '주성분', '유통 여부', '수분함량', '배합 상태', '가공 형태' 등에 따라 분류되며, 수분함량에 따라 '건조사료', '다즙사료', '액상사료'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반려동물'이 단순히 키우는 것이 아닌 삶의 동반자로 보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관련 서비스와 제품은 다방면으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삶의 질 향상과 함께 고품질 식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영양과 맛뿐만 아니라 건강에 도움이 되는 축산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고기능성 축산식품의 필요성'과 함께 '축산물의 생산성', '품질 향상을 위한 면역력', '건강용 기능성 사료'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사람의 음식에서 영감을 받은 제품들이 출시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프리미엄, 차별화 등의 간식 시장이 확대되면서 사료에 대한 전문성·특수성 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반려동물 식품' 제조 기술 | 개요 |
파보바이러스 예방 자견용 사료 | CPV-2종 바이러스에 대한 가능한 면역력 증가 효과에 대한 데이터 확보 |
면역, 치료에 맞춘 사료 영양성분 확보 | |
애견용 습식사료 안정성을 위한 포장용기 개발 | 저장 안정성에 대한 신뢰성 시험 데이터 확보 |
KFDA 기구 및 용기 포장 공전에 의거한 기준 및 확보 | |
잉여 수산물을 이용한 펫 푸드 개발 | 수산물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는 추세에서 펫 푸드는 인간이 먹는 식품 동급의 안정성을 요구하므로, 안정성과 신뢰성 있는 표준 원료 성분비 확보 기술 및 제도화 |
반려동물용 어종에 대한 충분한 R&D 표준 데이터 확보 | |
한방재료를 이용한 사료 첨가제 개발 | 피부, 모질, 연령, 관절 등에 차별화된 한방원료 데이터 및 실험 결과 확보 |
반려동물별 기호성에 맞춘 한방 첨가제의 데이터 확보 | |
프로바이오틱스 기능성 사료 조성물 | 반려동물에 효과가 우수한 장내 유사 균주 확보 |
복합 유산균의 장내 미생물 변화 및 효능 검증 |
3-4. 식품 위해 인자 신속 검출 시스템
식품에 존재하는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위해 인자(Risk Factor)'는 사람에게 감염 또는 섭취 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사전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검출하는 시스템으로, 식품에 존재하는 위해 인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속하게 검출해야 하는데 이런 기술을 '식품 위해 인자 신속 검출 시스템'이라고 한다. '위해 인자'를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시료 전처리', '위해인자에 대한 선택적인 결합', '위해 인자에 대한 표적 염기서열의 선택적 증폭' 등이 있다.
단체급식 및 외식산업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고품질 안전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식품 소비에 대한 패러다임도 안정성·기능성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단체급식이 활발한 집단 구성에 대한 식품안전 확보는 필수적이다. 고품질의 안전한 '단체급식'은 학생의 건강 유지 및 건강 증진을 높일 수 있고, 식중독에 대한 사전 예방이 가능하여 관심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식품안전사고로 인한 사회적·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식품 위해 인자에 대한 접근법도 달라지고 있다. 기존에는 오염 원인 분석 중심 접근 방법에서, 식품 위해 인자 사전 검출·추적을 하는 방법으로 접근 방법이 바뀌고 있다. 또한 성분·물성이 다양한 식품 특성을 고려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식품 위해 인자 검출·추적 기술도 개발 중이다.
'식품 위해 인자 신속 검출' 기술 | 개요 |
식품 위해 곰팡이 독소 검출 기술 | 식품 내 곰팡이와 생산하는 2차 대사 산물인 독소를 검출할 수 있는 기술, 다양한 독성 작용과 만성독성 예방을 위해 요구되는 기술 |
식중독균 핵산 검출 기술 | 식중독균의 핵산 서열 분석 및 검출과 관련된 기술, 식중독균의 DNA 분석을 기반으로 유전자 변이 정보를 분석하여 선제적으로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기술 |
식중독균 검출 배지 | 식중독균의 존재 또는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 배지 제조 및. 검출한계를 낮출 수 있는 기술, 항생물질 및 살균제 실험을 위해 요구되는 기술 |
단백질 상보 활성 측정 기술 | 식중독균의 단백질 상호 작용의 세포 내 위치, 정량화, 공유결합성 여부, 프로테아제 의존성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 식중독균 세포 내 발생하는 생명현상을 파악하여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기술 |
식중독균 유래 펩타이드 검출 기술 | 식중독균이 생산하는 독소의 펩타이드 구조 분석을 통한 특정 펩타이드를 검출할 수 있는 기술, 독소의 단백질 구조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데 요구되는 기술 |
식중독균 검출 방법 관련 기술 (샘플링/전처리) | 식중독균의 화학적·물리적 검출에 있어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사료의 전처리와 관련된 기술 |
3-5. '건강 기능 식품' 제조 기술
'건강 기능 식품(Health Functional Food)'이란 기능성 원료를 사용하여 기능성을 보장하는 일일 섭취량에 맞는 규격에 맞춘 식품을 의미한다. '건강 기능 식품'은 '의약품'과 달리 질병상태의 치료가 목적이 아니라, 생체기능의 활성화를 통해 질병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건강 유지·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고령화 사회 진행에 따른 노인의료비 등 노인 부양비 지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국가적 문제가 되고 있다. 핵가족화의 급속화로 가족 지지 체계의 붕괴가 노인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능성 원료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의 개발은 고령인구뿐만 아니라, 국민의 질병 예병을 통한 의료비 절감에 효과적인 장점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유전정보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건강식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을 이용한 건강 기능 시품 연구도 가속화되고 있다. 또 건강 기능 식품의 '제형 다양화' 및 '질환 예방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관련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건강 기능 식품' 제조 기술 | 개요 |
면역력 증강 기능성 조성물 | 면역력 증강을 목적으로 하는 식물·박테리아 유래 기능성 소재, 첨가물 등의 소재 |
면역, 대사질환 치료 관련 조성물 | 면역 및 대사질환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식물유래 혹은 바이러스 유래 기능성 소재 |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 기술 |
(프로바이오틱스 등의) 위장관 전달 방법 및 전달 효율 향상 기술 | 프로바이오틱스 등을 '위장 관까지 전달하는 방법' 및 '전달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에 관한 기술 |
3-6. 식품 가공 장비
'식품 가공 장비'는 육류, 구운 음식, 해산물, 사육조류, 유제품, 음료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식품을 상업적으로 생산하고 포장하는 기계이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과의 융합 트렌드로 '식품 가공 산업'에는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스마트 패키징(Smart Packaging)' 등이 도입되고 있는 상황이다.
'식품 산업'이 연령·성별·기호 등에 따라 세분화되고, 프리미엄 제품' 및 '간편 식품'의 출시가 증가함에 따라, 가공 과정에 최적화되고 맞춤형 생산이 가능한 설비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무균 포장(Aseptic packaging)', '방사선을 이용한 가공 기술', '초고압 살균 공정(Ultra-High Pressure Sterilization Process)', '액티브 패키징(Active Packaging)', '온도 감응 스마트 라벨(Temperature Sensitive Smart Label)' 등의 '스마트 패키징(Smart Packaging)' 등과 관련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식품 가공 장비' 기술 | 개요 |
식품 가공용 전처리 기계 무인화 | 전처리 공정의 자동화·무인화를 위한 기술 개발 (농·수·축산 원료의 전처리에 해당하는 공정으로 '농산물' 가공은 수확 후 단순 가공 범위, '축산물' 가공은 도축장 설비부터 단순가공 범위, '수산물' 가공은 단순 가공 범위까지 포함함.) |
식품 가공용 소독 기계 무인화 | 식품가공 과정에서 건물 출입 관련 위생설비 및 식품의 직접 접촉 위생설비, 가공기계 소득 설비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 사람이 개입되지 않고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자율방역 기술에 대한 요구 증대 |
식품 가공 과정 조절·최적화 모듈 | 신선식품에 대한 소비자 요구 증대 및 관련 시장 확대에 따라, 식품가공 공정을 최소화하여 신선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 |
신선식품 스마트 패키징 | IoT, 센서 기술 등을 활용해 신선식품의 유통과정에서 'pH', '온도', '발효도' 등을 확인해 식품의 손상 정도를 알려주는 포장 기술 |
인쇄전자 기반 저가형 스마트 패키징 제조 기술 | IoT 및 센서 부품이 적용된 스마트 패키징의 단가 상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 포장 라벨에 Chip 이외의 부분은 유연·인쇄전자 공정을 통해 패키징 단가 절감을 위한 기수 |
친환경 스마트 패키징 소재 및 리사이클링 기술 | 사용된 스마트 패키징 포장 라벨의 분리수거·재활용 등의 친환경 이슈에 유연한 대응을 위해, 수거 라벨의 재활용 및 기판소재에 무관한 인쇄전자 공정 기술 |
4. 한국의 식품 산업 정책
4-1. 제4차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2023~2027)
'농림축산식품부'는 2023년 6월에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케이-푸드(K-Food)' 산업의 세계적 경쟁력을 강화하여 2021년 기준 656조원 규모의 식품산업을 2026년 110조원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제4차 식품산업진흥기본계획(2023~2027)'을 발표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첫째, 푸드테크·그린바이오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식품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여나간다. 푸드테크 10대 핵심기술 분야 중심으로 지역별 '푸드테크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여, 푸드테크를 활용한 중소 식품업체의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또한 '기능성 식품', '고령 친화 식품' 등 미래 유망 식품도 적극 육성한다.
- 둘째, 2027년까지 농식품 수출 150억 불을 달성하기 위해 라면·배 등 수출 유망품목을 '케이-브랜드(K-Brand)'로 육성하고, 현재 11개인 1억 불 이상 수출 품목을 2027년 20개까지 확대한다. 또한 높아진 한식 인지도를 내수-관광-수출로 연결하기 위해, 2027년까지 미식 관광 상품인 15개의 'K-미식 벨트'를 조성하고, 해외 우수 한식당 지정을 확대하여 국산 식재료 수출 확대로 연결한다.
- 셋째, 김치·전통주·장류 등 전통식품 산업도 활성화시킨다. 김치는 안정적 원료 공급 기반 마련, 자동화 공정 개발·보급 등을 통한 품질 경쟁령 강화로 종주국으로서의 위상을 높여나간다. '전통주'는 명주를 육성하여 수출상품으로 키운다. '장류'는 발효 기술의 과학화를 통해 소스 산업으로 육성한다.
- 넷째, 농업과 식품산업 간 지속 가능한 상생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식품기업-농가 간 계약재배를 지원하는 '원료 중계 플랫폼'을 구축하고 '원료 생산 단지 확대', '식품 소재·반가공 산업 활성화', '국산 원료 사용 우수기업에 대한 정책 지원 및 포상 확대 등을 통해 협력체계의 지속가능성을 도모한다.
마지막으로 '사회가치경영(ESG: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등 변화된 경영 환경에 대응하여 식품기업을 위한 'ESG 가이드라인'을 마련, 컨설팅 지원 등 식품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한다.
4-2. 제3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2020~2024)
또 '개방형 혁신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 농림식품산업 육성'을 비전으로 '제3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 계획(2020~2024)' 정책을 마련하였다. 이 정책은 농림식품 산업의 미래 먹거리가 될 '스마트 농업', '바이오 농업', '고품질 농식품', '재난 대응', '삶의 질' 등 5대 중점 연구분야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또 연구 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연구과정을 개방·공유하여 '화학', '기계', '전자' 등 타 분야와의 기술 접목으로 개방형 연구협력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5. '고부가가치 식품' 관련 기업
5-1. 에스엔디
- 국적: 한국
- 설립: 1998년
'에스엔디'는 식품에 기능을 부여하는 '일반 기능 식품 소재' 및 '건강 기능 식품 소재'를 생산·판매를 영위하는 기업이다. 또 신약 및 화장품에 이용되는 천연물 소재의 연구·개발로 사업영역을 다각화하고 있다.
'에스엔디'는 '고부가가치 식품'과 관련하여 천연물 유래의 위기능과 관련한 연구를 추진하여, '위나선균(Helicobacter pylori)'에 의한 위점막 손상을 개선하는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였다. 에스엔디는 2011년부터 3년간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Korea Institute of Planning and Evaluation for Technology in food, agriculture and forestry)'으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아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의 생육 억제 효능과 '우레아제(Urease)' 저해 활성을 가지는 천연물 유래 원료를 확립하는 연구 개발에 나섰다. 이 연구를 주관한 에스앤디 연구팀은 'in-vitro(체외에서 진행되는)' 및 'in-vivo(체내에서 진행되는)' 시험을 통해 가장 우수한 식물성 '다당류 복합체(Polysaccharide Complex)'를 선정했다. 이렇게 개발된 신규소재는 '인진쑥녹차추출복합물(MPG06)'로 국내 유업체에서 판매하고 있는 발효유 원료에 비해 '위나선균(Helicobacter pylori)'에 의한 위점막 세포 보호는 물론, 염증 개선에 우수한 효능이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또한 최적의 혼합 비율을 찾아냄으로써 신규 지식재산권도 확보했다.
5-2. 노바렉스(Novarex)
- 국적: 한국
- 설립: 2008년
'노바렉스(Novarex)'는 '건강기능식품 제조 및 수출입업', '건강기능식품원료 및 수출입업', '건강기능 식품 연구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2008년에 설립되었다. 꾸준한 연구개발 활동을 통해 신규 원료의 개발, 검증 임상을 통하여 신제품 및 건강기능성 원료를 개발하고 있다. 식품영양학, 생화학, 약학, 생명공학 전공자 등으로 구성된 연구개발 인력을 통해 '루테인지아잔틴 164', '초임계 알티지 오메가3' 등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또 '연질'·경질 캡슐', '구미 젤리 음료(Gummy Jelly Drink)' 등 다양한 종류의 제형 연구를 바탕으로 완성도 높은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