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Science)/생태계 (Ecosystem)

도마뱀(Lizard)

SURPRISER - Tistory 2023. 4. 2. 16:58

 '파충류(Reptilia)' 가운데 종의 수가 가장 많은 것이 '도마뱀 무리(도마뱀아목)'다. '도마뱀(도마뱀아목)'은 6100종 이상이 알려져 있는데, 세계 각지의 땅위, 나무 위, 땅 속 등 여러 장소에 다양한 모습을 한 도마뱀 무리들이 서식하고 있다.

0. 목차

  1. '도마뱀'은 벌레를 먹고 번영했다.
  2. '도마뱀'의 계통적 위치
  3. 서식 환경에 따라 다른 혀의 사용법
  4. 도마뱀 갤러리
반응형

1. '도마뱀'은 벌레를 먹고 번영했다.

 '도마뱀아목'의 특징은 크기가 작고 주로 벌레를 먹는 종이 많다는 점이다. '포유류' 등에도 벌레를 주식으로 하는 종이 있지만, 도마뱀에 비하면 그 종류가 적다. 벌레는 한 마리 한 마리가 작기 때문에, 그것을 잡기 위해 필요한 노력에 비해 먹어도 그다지 많은 에너지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항상 높은 체온을 유지하는 '정온 동물'에 비해, 활동하지 않을 때는 체온을 내려 에너지 소비를 억제할 수 있는 '변온 동물'인 도마뱀 쪽이 곤충을 먹는 생활에 훨씬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도마뱀의 대부분은 먹는 지위를 확립해 번영해 온 셈이다.

 또 곤충을 먹는 것으로는 에너지를 대량으로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도마뱀은 크기가 30cm 이하이다. 그 이상 커진 도마뱀은 육식 또는 식물을 먹는 전략을 택했다. '바다이구아나'와 '코모도와도마뱀'은 크게 성장한 도마뱀의 대표적인 예이다.

 또 도마뱀 무리는 성장함에 따라 '탈피(Ecdysis)'를 거듭한다. '탈피(Ecdysis)'란 동물이 체표의 가장 바깥층을 벗는 일을 말하는데, 척추동물에서는 파충류와 양서류에서 볼 수 있고, 무척추동물에서는 절지동물·선형동물 등에서 볼 수 있다. '도마뱀'은 뱀처럼 매끈하게 허물을 남기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너덜너덜하게 피부가 떨어져 나간다.

반응형

2. '도마뱀'의 계통적 위치

 '도마뱀아목(도마뱀)'은 파충류 가운데 가장 큰 그룹인 '뱀목(유린목)'에 속한다. 뱀목에는 '도마뱀아목' 외에 '뱀아목'과 '지렁이도마뱀아목'이 있다. 그중에서도 '도마뱀아목'은 특히 옛날부터 존재한 그룹이다. 도마뱀아목은 크게 '도마뱀붙이하목', '도마뱀하목', '왕도마뱀하목', '이구아나하목'이라는 4개의 '하목(下目)'으로 나누어진다.

  1. 도마뱀붙이하목(Gekkota): 야행성이 것이 많고, 주로 나무 위에서 산다.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하는 네 발이 퇴화한 '뱀붙이도마뱀류(Pygopodidae)'도 포함된다.
  2. 도마뱀하목(Scincomorpha): 도마뱀, 장갑도마뱀 등이 들어간다. 주로 땅위나 땅속에서 생활한다.
  3. 이구아나하목(Iguania): 주행성으로 나무 위에서 사는 그룹이다. 이구아나류, 아가마류, 카멜레온류가 포함된다.
  4. 왕도마뱀하목(Monitor Lizard): 육식인 대형 왕도마뱀류와 네 발이 퇴화한 '무족도마뱀류(Anguidae)'를 포함한다.

2-1. '뱀아목', '지렁이도마뱀아목'은 '도마뱀아목'으로부터 진화했다.

 '쥐라기(약 1억 9900만 년 전~약 1억 4500만 년 전)'에는 이미 하목 수준까지 나누어져 있었다고 한다. 원숭이나 인간을 포함하는 영장류가 출현한 때는 6500만 년 전으로 알려져 있다. '도마뱀아목', '뱀아목', '지렁이도마뱀아목'은 분류학상으로는 다른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다. 그러나 '뱀아목'과 '지렁이도마뱀아목'은 원래는 '도마뱀아목'의 일종에서 진화해 왔다고 생각된다.

  1. 뱀아목의 기원: 땅속 생활을 해서 손발이 사라진 '도마뱀아목' 중에서 턱을 크게 벌릴 수 있게 된 종이 먹이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되어 다양하게 진화해 뱀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발이 없는 도마뱀'과 반대로 '작은 발을 가진 뱀'이 있어서, 발의 유무만으로는 '도마뱀'과 '뱀'을 구별할 수 없다. 그 밖에도 귀의 유무나 눈꺼풀의 유무 등 종합적인 특징을 합쳐 판단한다.
  2. 지렁이도마뱀아목의 기원: 또 '지렁이도마뱀아목'도 땅속 생활을 하던 도마뱀아목의 일종이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종은 발이 없지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뱀아목과는 달리 앞뒤 양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또 뉴질랜드에는 옛도마뱀목에 속하는 '스페노돈(학명: Sphenodon)'이라는 파충류가 있다. 생김새는 도마뱀과 꼭 닮았지만, 도마뱀아목과는 다른 파충류이다. 도마뱀이 출현하기 훨씬 전에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도마뱀아목을 포함한 뱀목과는 골격을 만드는 방식 등이 크게 다르다.

반응형

3. 서식 환경에 따라 다른 혀의 사용법

 도마뱀아목의 각 하목에서는 잘 발달한 감각 기관이 서로 다르다. 예를 들면, 주로 나무 위에서 사는 '이구아나하목'은 시각이 뛰어나다. 한편, 주로 땅 위나 땅속에서 사는 '도마뱀하목'과 '왕도마뱀하목'은 후각이 발달했다.

 도마뱀을 포함한 파충류에는 입천장에 2개의 구멍이 나 있고, 그 끝에 '서비기(Vomeronasal Organ)'라는 후각 기관이 발달해 있다. '서비기'는 혀에 붙은 냄새 물질을 감지하는 기관이다. 땅 위나 땅 속에 살며 후각이 뛰어난 '도마뱀하목'과 '왕도마뱀하목'의 대부분은 부지런히 혀를 내밀면서 혀에 붙은 냄새 물질을 후각기 속으로 운반한다. 또 이들 하목에는 2개의 구멍에 대응하듯 혀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 것이 많다. 한편, 나무 위에서 사는 그룹은 혀의 들락거림은 별로 없고, 혀는 먹이를 잡을 때 등에 사용된다.

반응형

4. 도마뱀 갤러리

4-1. 마다가스카르 나뭇잎 꼬리도마뱀붙이

  1. 분류: 도마뱀붙이하목 도마뱀붙이과
  2. 학명: Uroplatus fimbriatus
  3. 특징: 커다란 입으로 적을 위협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섬(Madagascar Island)'의 동부에서 서식하는 '마다가스카르 나뭇잎 꼬리도마뱀붙이(학명: Uroplatus fimbriatus)'는 주로 곤충을 먹으며 길이는 최대 30cm 정도에 이른다. 야행성으로, 본래는 갈색 몸을 이용해 나무껍질로 의태한다. 입을 벌려 상대를 위협하며, 이들은 늘 뛰어올라 도망갈 준비를 하고 있다.

 우리가 흔히 아는 '도마뱀붙이'와 달리, 넓적하고 커다란 꼬리가 특징이다. 또 눈에는 독특한 붉은 무늬가 들어 있다. 동공은 세로로 한 가닥 직선으로 닫혀 있지만, 조그만 검은 점 부분이 열려 있어, 그곳을 통해 들어온 빛을 감지한다. '마다가스카르 나뭇잎 꼬리도마뱀붙이'는 도마뱀 아목 가운데서도 도마뱀붙이하목 도마뱀붙이과라는 그룹으로 분류된다.

마다가스카르 나뭇잎 꼬리도마뱀붙이
마다가스카르 나뭇잎 꼬리도마뱀붙이
마다가스카르 나뭇잎 꼬리도마뱀붙이

4-2. 사탄나뭇잎꼬리도마뱀붙이

  1. 분류: 도마뱀붙이하목 도마뱀붙이과
  2. 학명: Uroplatus phantasticus
  3. 특징: 마치 마른 잎사귀처럼 생겼음

 '사탄나뭇잎꼬리도마뱀붙이(학명: Uroplatus phantasticus)'는 '마다가스카르 섬(Madagascar Island)' 중부에 서식한다. 길이는 최대 15cm 정도이고, 야행성이며 주로 나무 위에서 산다. 마른 잎사귀를 의태하여 개체에 따라서는 벌레 먹은 흔적까지 재현한 꼬리를 지닌 것도 있다. 도마뱀붙이하목 도마뱀붙이과로 분류된다. 마다가스카르 섬은 지금부터 약 8000만 년 전에 대륙에서 떨어져 나갔다. 그래서 독자적으로 진화를 거친 도마뱀 무리가 많다.

사탄나뭇잎꼬리도마뱀붙이
사탄나뭇잎꼬리도마뱀붙이
사탄나뭇잎꼬리도마뱀붙이
사탄나뭇잎꼬리도마뱀붙이
사탄나뭇잎꼬리도마뱀붙이

4-3. 아르마딜로 도마뱀

  1. 분류: 도마뱀하목 장갑도마뱀과
  2. 학명: Cordylus cataphractus
  3. 특징: 꼬리에 입을 물고 방어 자세

'아르마딜로 도마뱀'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건조 지대에 서식한다. 길이는 최대 20cm 정도이며, 주로 거미나 곤충을 먹이로 한다. 이 도마뱀의 등은 딱딱한 가시 모양의 비늘로 덮여 있다. 하지만 배 쪽은 부드럽고 약하기 때문에, 적에게 습격당하면 꼬리를 입에 물고 마치 아르마딜로처럼 몸을 둥글게 만다. 그 모습 때문에 애완용으로 인기가 많아 많이 남획되고 있다. 현재는 '국제자원보호연맹(IUCN)'에 의해 멸종 위기 2류에 지정되어 있다. 도마뱀하목 장갑도마뱀과로 분류되어 있다.

아르마딜로 도마뱀
아르마딜로 도마뱀
아르마딜로 도마뱀
아르마딜로 도마뱀

4-4. 유럽무족도마뱀

  1. 분류: 왕도마뱀하목 무족도마뱀과
  2. 학명: Anguis fragilis
  3. 영어명: Slow worm
  4. 특징: 발이 없다.

 도마뱀 중에는 앞뒤의 발이 없는 종도 있다. '유럽무족도마뱀'의 그런 예이다. '유럽무족도마뱀(Slow worm)'은 언뜻 뱀처럼 보이지만, 눈에 눈꺼풀이 있다는 점 등으로 뱀과 구별할 수 있다. 이 도마뱀은 어미의 태내에서 알을 부화시켜 새끼를 직접 낳는다. 유럽의 넓은 범위에서 서식하며 최대 50cm 정도가 된다. 왕도마뱀하목 무족도마뱀과로 분류된다.

유럽무족도마뱀(Slow worm)
유럽무족도마뱀(Slow worm)
유럽무족도마뱀(Slow worm)

4-5. 말레이날도마뱀(자바날도마뱀)

  1. 분류: 이구아나하목 아가미과
  2. 학명: Draco volans

 '말레이날도마뱀(자바날도마뱀)'은 동남아시아의 열대 우림에 서식한다. 길이는 최대 20cm 정도이며, 주로 나무 위에서 산다. 몸 좌우에 있는 날개 모양의 막인 '비막(Fly film)'을 펼쳐 활공할 수 있다. 비막 안에는 갈비뼈가 있고, 이 갈비뼈를 움직여 날개를 펴고 접는다. 이 사진에서도 비막 안의 갈비뼈가 들여다보인다. 또 커다란 날개 외에, 목 부분에서도 보조 날개라 불리는 날개 모양의 비늘이 달려 있다. '이구아나하목 아가미과'로 분류된다.

말레이날도마뱀(자바날도마뱀)
말레이날도마뱀(자바날도마뱀)
말레이날도마뱀(자바날도마뱀)
말레이날도마뱀(자바날도마뱀)

4-6. 구멍파기 아가마

  1. 분류: 아구아나하목 아가마과
  2. 학명: Phrynocephalus mystaceus
  3. 특징: 요괴처럼 벌린 입

 '구멍파기 아가마'는 중앙아시아 건조 지대에서 구멍을 뚫어 둥지를 짓고 산다. 길이는 최대 20cm 정도이며, 이 도마뱀의 커다란 특징은 입 양쪽에 주름이 잡혀 있다는 점이다. 보통은 접혀 있지만 위협을 가할 떄는 크게 입을 펼쳐 상대에게 내보인다. '아구아나하목 아가마과'로 분류된다.

구멍파기 아가마
구멍파기 아가마
아르마딜로 도마뱀
구멍파기 아가마
구멍파기 아가마

4-7. 바다이구아나

  1. 분류: 이구아나하목 이구아나과
  2. 학명: Amblyrhynchus cristatus
  3. 특징: 다이빙 전문가

 '바다이구아나(Marine Iguana)'는 갈라파고스 제도의 암초 지대에 무리 지어 서식하고 있다. 길이는 최대 150cm 정도이며, 바닷속에 잠수해 해조류를 먹는 희귀한 유형의 도마뱀이다. 길고 날카로운 발톱이 발달해 있어, 물살이 빠른 바닷속에서도 바위를 움켜질 수 있다. 또 꼬리는 세로로 평평해 좌우로 흔들어 바닷속에서 추진력을 얻을 수 있기에 적합하다. 몸의 표면이 검은 것은 바다에 올라올 때 바닷속에서 낮아진 체온을 일광욕을 통해 효율적으로 올리기 위한 것이라고 여겨진다. 이구아나하목 이구아나과로 분류된다.

바다이구아나(Marine Iguana)
바다이구아나(Marine Iguana)
바다이구아나(Marine Iguana)
바다이구아나(Marine Iguana)

4-8. 그린 바실리스크(Green Basilisk)

  1. 분류: 이구아나하목 이구아나과
  2. 학명: Basiliscus plumifrons
  3. 특징: 알 껍질이 흐늘흐늘

 일부 도마뱀은 얕은 딱딱한 껍질이 아니라, 부드러운 껍질을 갖는다. '그린 바실리스크(Green Basilisk)'의 알이 그렇다. 이런 알의 경우, 알 속의 새끼는 껍질을 두드려서 깨고 나오는 것이 아니다. '난치(Egg Tooth)'라고 하는 예리한 앞니를 사용해 껍질을 면도칼처럼 째고 나온다. 알에서 나오면 난치는 바로 빠져 버린다. '그린 바실리스크'는 부화한 직후의 길이가 10cm 정도이지만, 성장하면 최대 90cm 정도가 된다. '이구아나하목 이구아나과'로 분류된다.

그린바실리스크(Male)
그린바실리스크(Female)
그린바실리스크
그린바실리스크
그린바실리스크

4-9. 팬서카멜레온(Panther Chameleon)

  1. 분류: 이구아나하목 카멜레온과
  2. 학명: Furcifer pardalis
  3. 영어명: Panther Chameleon

 '팬서카멜레온(Panther Chameleon)'은 마다가스카르 섬 북부에 서식하며 최대 길이는 70cm 정도 된다. 이구아나하목 카멜레온과로 분류된다.

팬서카멜레온(Panther Chameleon)
팬서카멜레온(Panther Chameleon)
팬서카멜레온(Panther Chameleon)
팬서카멜레온(Panther Chameleon)
팬서카멜레온(Panther Chameleon)